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남 가거도의 식물상 = Flora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9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scular plants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August, 2005 to August, 2011. In the result of survey, the flora of this island consists of 341 taxa totally; 93 families, 246 genera, 289 species, 7 subspecies, 36 varieties and 9 forms. Yellow-fruit bearing plants of Neolitsea sericea which were found in this island are newly named as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There were 8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Hosta yingeri, Impatiens furcillata, Saussurea pseudo-gracilis, etc. Also 3 Korean endangered species which is designating by Ministry of Environment such as Osmanthus insularis and Cyrtosia septentrionalis and 9 rare and remarkable species such as Viburnum japonicum, Asplenium yoshinagae, Broussonetia kazinoki for. koreana, etc. were found in this island. Furthermore, 11 taxa of naturalized plants (3.2%) were also observed in this island.
      번역하기

      Vascular plants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August, 2005 to August, 2011. In the result of survey, the flora of this island consists of 341 taxa totally; 93 families, 246 genera, 289 species, 7 subspecies, 36 varietie...

      Vascular plants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August, 2005 to August, 2011. In the result of survey, the flora of this island consists of 341 taxa totally; 93 families, 246 genera, 289 species, 7 subspecies, 36 varieties and 9 forms. Yellow-fruit bearing plants of Neolitsea sericea which were found in this island are newly named as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There were 8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Hosta yingeri, Impatiens furcillata, Saussurea pseudo-gracilis, etc. Also 3 Korean endangered species which is designating by Ministry of Environment such as Osmanthus insularis and Cyrtosia septentrionalis and 9 rare and remarkable species such as Viburnum japonicum, Asplenium yoshinagae, Broussonetia kazinoki for. koreana, etc. were found in this island. Furthermore, 11 taxa of naturalized plants (3.2%) were also observed in this isla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가거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한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가거도의 관속식물은 93과 246속 289종 7아종 36변종 9품종으로 총 34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열매가 노란색인 참식나무의 새로운 품종이 발견되어 노랑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라고 명명하였다. 가거도의 특산식물은 흑산도비비추, 처진물봉선, 새끼노루귀, 개족도리풀 등 8종이 발견되었으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박달목서와 으름난초 등 3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지리학적으로 흥미있는 종은 푸른가막살, 가거꼬리고사리, 가거애기닥나무 등 9종이다. 귀화식물은 11종이며 귀화율은 3.2%이다.
      번역하기

      가거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한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가거도의 관속식물은 93과 246속 289종 7아종 36변종 9품종으로 총 34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열매가 노란색인 참식...

      가거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한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가거도의 관속식물은 93과 246속 289종 7아종 36변종 9품종으로 총 34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열매가 노란색인 참식나무의 새로운 품종이 발견되어 노랑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라고 명명하였다. 가거도의 특산식물은 흑산도비비추, 처진물봉선, 새끼노루귀, 개족도리풀 등 8종이 발견되었으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박달목서와 으름난초 등 3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지리학적으로 흥미있는 종은 푸른가막살, 가거꼬리고사리, 가거애기닥나무 등 9종이다. 귀화식물은 11종이며 귀화율은 3.2%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행화, "푸른가막살(인동과): 우리나라 미기록종" 한국식물분류학회 33 (33): 3-277, 2003

      2 Lee, J.S., "Vegetation of Huksan Archipelago" 6 : 135-168, 1987

      3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1482-, 2007

      4 Kyeong-Won Yun, "Taxonomic study of Broussonetia (Moraceae) in Korea" 한국식물분류학회 39 (39): 80-85, 2009

      5 Im, B.S, "Studies on flora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Sohuksando Island" 43-77, 1994

      6 Korea Forest Service, "Rare and Endangered Plants"

      7 Kim, C.S.,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ohuksan-do" 2 : 1-41, 1988

      8 Park, S.H.,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75-, 2009

      9 Kim, M.Y.,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408-, 2004

      10 Kyohaksa, "Korean Endangered Wild Animal․Plants" Kyohaksa 150-, 2005

      1 홍행화, "푸른가막살(인동과): 우리나라 미기록종" 한국식물분류학회 33 (33): 3-277, 2003

      2 Lee, J.S., "Vegetation of Huksan Archipelago" 6 : 135-168, 1987

      3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1482-, 2007

      4 Kyeong-Won Yun, "Taxonomic study of Broussonetia (Moraceae) in Korea" 한국식물분류학회 39 (39): 80-85, 2009

      5 Im, B.S, "Studies on flora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Sohuksando Island" 43-77, 1994

      6 Korea Forest Service, "Rare and Endangered Plants"

      7 Kim, C.S.,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ohuksan-do" 2 : 1-41, 1988

      8 Park, S.H.,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75-, 2009

      9 Kim, M.Y.,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408-, 2004

      10 Kyohaksa, "Korean Endangered Wild Animal․Plants" Kyohaksa 150-, 2005

      11 Chung Y.H., "Flora of Sohuksando" 1 (1): 19-29, 1954

      12 Chang Shook Lee, "First Report of Asplenium yoshinagae (Aspleniaceae) from Korea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Based on Morphology" 한국식물분류학회 38 (38): 79-91, 2008

      13 Kim, C.H.,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18 (18): 163-198, 2000

      14 Lee, J.H., "A study on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Osmanthus insularis Koidzumi in Korea" Chungnam Nat'l Univ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