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구와 주택특성이 거주기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n the Duration of Reside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Panel survey data basically provide useful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and status change of households because the same subject is repeatedly investigated by follow-up studies. However, making a history data containing the dynamics of household or individual requires the expertise and compactness in the data management.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process of building residential history data based on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It is expected that this history data will be a useful asset for related researchers. In order to examine the completeness and applicability of developed data, we present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survival analysis model of residential duration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residence. Empirical evidence from the shared-frailty survival model shows that age and education level of household head, household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under high school and the non-metropolitan residence variable yield the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the residential duration in a specific residence. Meanwhile, the effect of marital status and rental household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Step-by-step explanation for the building process of residential history data can be used as a guide for reference and practical assistance in creating similar types of historical data.
      번역하기

      Panel survey data basically provide useful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and status change of households because the same subject is repeatedly investigated by follow-up studies. However, making a history data containing the dynamics of household or in...

      Panel survey data basically provide useful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and status change of households because the same subject is repeatedly investigated by follow-up studies. However, making a history data containing the dynamics of household or individual requires the expertise and compactness in the data management.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process of building residential history data based on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It is expected that this history data will be a useful asset for related researchers. In order to examine the completeness and applicability of developed data, we present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survival analysis model of residential duration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residence. Empirical evidence from the shared-frailty survival model shows that age and education level of household head, household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under high school and the non-metropolitan residence variable yield the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the residential duration in a specific residence. Meanwhile, the effect of marital status and rental household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Step-by-step explanation for the building process of residential history data can be used as a guide for reference and practical assistance in creating similar types of historical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패널조사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동일 대상을 여러 차수에 걸쳐 관찰하고 추적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기 때문에 조사대상의 이동 및 상태 변화와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력 변화를 분석용 데이터로 만드는 일은 전문성과 치밀성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데이터에 근거하여 조사가구의 주거력 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러한 이력 데이터는 관련 패널분석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주거력 데이터의 완성도 및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가구특성과 주택특성이 거주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생존분석모형 추정결과를 통해 제시한다. 반복 사건을 고려한 Shared-Frailty모형 추정결과, 가구주의 나이와 교육수준, 가구소득, 고등학생 이하 자녀수, 비광역시 거주변수는 특정 주거력에서의 거주기간을 증가시키는 양(+)의 효과를 보인 반면, 기혼 유배우 또는 전월세 가구의 경우에는 거주기간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주거력 데이터 구축 과정에 대한 단계별 설명은 유사한 형태의 이력 데이터를 만들 때 참고 및 실질적 도움이 되는 가이드라인으로 기여할 수 있다.
      번역하기

      패널조사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동일 대상을 여러 차수에 걸쳐 관찰하고 추적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기 때문에 조사대상의 이동 및 상태 변화와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

      패널조사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동일 대상을 여러 차수에 걸쳐 관찰하고 추적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기 때문에 조사대상의 이동 및 상태 변화와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력 변화를 분석용 데이터로 만드는 일은 전문성과 치밀성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데이터에 근거하여 조사가구의 주거력 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러한 이력 데이터는 관련 패널분석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주거력 데이터의 완성도 및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가구특성과 주택특성이 거주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생존분석모형 추정결과를 통해 제시한다. 반복 사건을 고려한 Shared-Frailty모형 추정결과, 가구주의 나이와 교육수준, 가구소득, 고등학생 이하 자녀수, 비광역시 거주변수는 특정 주거력에서의 거주기간을 증가시키는 양(+)의 효과를 보인 반면, 기혼 유배우 또는 전월세 가구의 경우에는 거주기간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주거력 데이터 구축 과정에 대한 단계별 설명은 유사한 형태의 이력 데이터를 만들 때 참고 및 실질적 도움이 되는 가이드라인으로 기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근식, "표본선택이변량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지역내외 주거이동특성분석 - 고령·교육·결혼·직장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14 (14): 135-146, 2016

      2 이경희, "패널조사 응답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7 (17): 1-24, 2016

      3 민인식, "자동차 소유력과 구매력데이터 구축 및 활용" 2016

      4 최은선, "자가가구와 전세가구의 거주기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비교분석" 서울연구원 12 (12): 123-136, 2011

      5 양세화, "자가 거주 가구와 임차가구의 주거이동 특성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3-22, 2011

      6 임미화, "우리나라 가구의 주거이력유형과 자산변동" 한국부동산연구원 23 (23): 79-97, 2013

      7 최열,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30 (30): 313-321, 2010

      8 이창효, "가구 구성원 변화에 따른 주거이동의 영향 요인 분석 -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택 거주기간을 고려하여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05-217, 2012

      9 Caldera Sánchez, A., "To Move or Not to Move: What drives residential mobility rates in the OECD?" OECD Economics Department 2011

      10 민인식, "Stata를 활용한 노동패널 실증분석" 2016

      1 문근식, "표본선택이변량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지역내외 주거이동특성분석 - 고령·교육·결혼·직장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14 (14): 135-146, 2016

      2 이경희, "패널조사 응답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7 (17): 1-24, 2016

      3 민인식, "자동차 소유력과 구매력데이터 구축 및 활용" 2016

      4 최은선, "자가가구와 전세가구의 거주기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비교분석" 서울연구원 12 (12): 123-136, 2011

      5 양세화, "자가 거주 가구와 임차가구의 주거이동 특성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3-22, 2011

      6 임미화, "우리나라 가구의 주거이력유형과 자산변동" 한국부동산연구원 23 (23): 79-97, 2013

      7 최열,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30 (30): 313-321, 2010

      8 이창효, "가구 구성원 변화에 따른 주거이동의 영향 요인 분석 -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택 거주기간을 고려하여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05-217, 2012

      9 Caldera Sánchez, A., "To Move or Not to Move: What drives residential mobility rates in the OECD?" OECD Economics Department 2011

      10 민인식, "Stata를 활용한 노동패널 실증분석" 2016

      11 Lennon, M. C., "Residential mobility and wellbeing: Exploring children’s living situa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housing policy" 7 (7): 197-200, 2016

      12 van der Vlist, A. J., "Residential mobility and local housing-market differences" 34 (34): 1147-1164, 2002

      13 Decoster, A., "Residential Mobility in Belgium: A Duration Analysis" Center for Economic Studies,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2005

      14 Gambaro, L., "Moving home in the early years: What happens to children in the UK?" 7 (7): 265-287, 2016

      15 Withers, S. 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the analysis of residential mobility: A test of duration, state dependence, and associated events" 29 (29): 354-372, 1997

      16 Lupton, R., "Housing polic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residential moves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7 (7): 288-301, 2016

      17 Beck. B., "Home moves and child wellbeing in the first five years of life in the United Stats" 7 (7): 240-264, 2016

      18 Bründerl, J., "Collecting event history data with a panel survey: Combining an electronic event history calendar and dependent Interviewing" 11 (11): 45-66,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토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5 1.2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