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질이 다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물막파괴시간과 고위수차 비교 = Comparison of NIBUT and High Order Aberration between Two Different Contact Lens Mate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03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on tear film stability and quality of vision by comparing the changes in the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BUT) and high-order aberration before and after the contact lens use. Methods: Twenty people were surveyed on their experience before and 20 min and six days after using HEMA and PC-Cbased cosmetic contact lenses, and the high-order aberration and NITBUT were measured, in that order. The use of artificial tear and other solutions to maintain the same environment among the subjects was limited to only a multipurpose solution.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initial use, and preference of PC-C-based len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HEMA-like lenses. No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use of lens and sleep time, weariness, wetness, or general satisfaction. However, the use of lens very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itial overall satisfa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six days later (t = 0.88, p = 0.00). The initial NITBU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20 min (PC-C: 5.73 s; HEMA: 4.79 s) and six days of use (PC-C: 5.68 s; HEMA: 6.35 s) compared to before the use (PC-C: 8.02 s; HEMA: 9.36 s). The average NITBUT also decreased after 20 min (PC-C: 8.99 s; HEMA: 7.55 s) and six days (PC-C: 8.26 s; HEMA: 9.10 s) of use compared to before the use (PC-C: 11.58 s; HEMA: 11.92 s). With both the materials, the high-order aberration of the entire eye decreased after 20 min (PC-C: 0.186; HEMA: 0.184) and six days (PC-C: 0.169; HEMA: 0.151) of use compared to before the use (PC-C: 0.190; HEMA: 0.192). Conclusions: PC-C-based lenses showed better overall satisfaction and long NITBUT compared to HEMA-based lenses. The initial and average NITBUTs decreased after 20 min and six days of use. High-order aberration slightly decreased after 20 min and six days of use with both PC-C and HEMA materials.
      번역하기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on tear film stability and quality of vision by comparing the changes in the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BUT) and high-order aberration before and after the contact lens use. Meth...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on tear film stability and quality of vision by comparing the changes in the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BUT) and high-order aberration before and after the contact lens use. Methods: Twenty people were surveyed on their experience before and 20 min and six days after using HEMA and PC-Cbased cosmetic contact lenses, and the high-order aberration and NITBUT were measured, in that order. The use of artificial tear and other solutions to maintain the same environment among the subjects was limited to only a multipurpose solution.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initial use, and preference of PC-C-based len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HEMA-like lenses. No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use of lens and sleep time, weariness, wetness, or general satisfaction. However, the use of lens very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itial overall satisfa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six days later (t = 0.88, p = 0.00). The initial NITBU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20 min (PC-C: 5.73 s; HEMA: 4.79 s) and six days of use (PC-C: 5.68 s; HEMA: 6.35 s) compared to before the use (PC-C: 8.02 s; HEMA: 9.36 s). The average NITBUT also decreased after 20 min (PC-C: 8.99 s; HEMA: 7.55 s) and six days (PC-C: 8.26 s; HEMA: 9.10 s) of use compared to before the use (PC-C: 11.58 s; HEMA: 11.92 s). With both the materials, the high-order aberration of the entire eye decreased after 20 min (PC-C: 0.186; HEMA: 0.184) and six days (PC-C: 0.169; HEMA: 0.151) of use compared to before the use (PC-C: 0.190; HEMA: 0.192). Conclusions: PC-C-based lenses showed better overall satisfaction and long NITBUT compared to HEMA-based lenses. The initial and average NITBUTs decreased after 20 min and six days of use. High-order aberration slightly decreased after 20 min and six days of use with both PC-C and HEMA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재질이 다른 두 미용렌즈의 눈물막파괴시간(Non-invasive tear film break-up time, NIBUT)과 고위수차량의 변화를 알아보고, 두 렌즈의 재질이 눈물막의 안정성과 굴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20명을 대상으 로 HEMA 재질과 PC-C 재질의 미용렌즈를 착용하기 전, 착용 20분 후, 6일 경과 후에 NIBUT와 고위수차를 측정 하고, 착용상태에 대한 자각적 느낌을 설문으로 작성하였다. 동일한 실험 조건을 위해 인공누액 및 기타 용액 사용 은 제한하였으며 제공되는 다목적 용액만을 사용하여 관리하도록 하였다. 결과: PC-C 재질의 렌즈가 HEMA 재질 의 렌즈보다 전반적인 느낌, 초기 착용감,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면시간, 착용감, 습윤감, 전반적인 느낌 사이 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반적인 느낌과 6일 후의 전반적인 느낌과는 상관성이 아주 높게 나타났 다(t = 0.88, p = 0.00). 최초 NIBUT에서 착용 전(PC-C: 8.02 s; HEMA: 9.36 s)과 착용 20분 후(PC-C: 5.73 s; HEMA: 4.79 s), 착용 6일 후(PC-C: 5.68 s; HEMA: 6.35 s)로 측정되었으며, 착용 전에 비해서 착용 20분 후, 착용 6일 후에 NIBUT 값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평균 NIBUT는 착용 전(PC-C: 11.58 s; HEMA: 11.92 s), 착용 20분 후(PC-C: 8.99 s; HEMA: 7.55 s), 착용 6일 후(PC-C: 8.26 s; HEMA: 9.10 s)를 비교하였을 때, 착용 전보다 20분 후, 6일 후에 평 균 NIBUT가 감소하였다. 두 재질 모두 착용 전(PC-C: 0.190; HEMA: 0.192)에 비하여 착용 20분 후(PC-C: 0.186; HEMA: 0.184), 착용 6일 후(PC-C: 0.169; HEMA: 0.150)에 눈 전체의 고위수차량이 감소하였다. 결론: HEMA 재질의 렌즈에 비해 PC-C 재질의 렌즈에서 전반적인 착용감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착용 전보다 착용 20분 후, 6일 후에 최 초 NIBUT와 평균 NIBUT가 감소하였다. 고위수차는 PC-C 재질과 HEMA 재질 모두에서 착용 전에 비해서 착용 20분 후, 6일 후에 약간 감소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재질이 다른 두 미용렌즈의 눈물막파괴시간(Non-invasive tear film break-up time, NIBUT)과 고위수차량의 변화를 알아보고, 두 렌즈의 재질이 눈물막의 안정성과 굴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목적: 재질이 다른 두 미용렌즈의 눈물막파괴시간(Non-invasive tear film break-up time, NIBUT)과 고위수차량의 변화를 알아보고, 두 렌즈의 재질이 눈물막의 안정성과 굴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20명을 대상으 로 HEMA 재질과 PC-C 재질의 미용렌즈를 착용하기 전, 착용 20분 후, 6일 경과 후에 NIBUT와 고위수차를 측정 하고, 착용상태에 대한 자각적 느낌을 설문으로 작성하였다. 동일한 실험 조건을 위해 인공누액 및 기타 용액 사용 은 제한하였으며 제공되는 다목적 용액만을 사용하여 관리하도록 하였다. 결과: PC-C 재질의 렌즈가 HEMA 재질 의 렌즈보다 전반적인 느낌, 초기 착용감,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면시간, 착용감, 습윤감, 전반적인 느낌 사이 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반적인 느낌과 6일 후의 전반적인 느낌과는 상관성이 아주 높게 나타났 다(t = 0.88, p = 0.00). 최초 NIBUT에서 착용 전(PC-C: 8.02 s; HEMA: 9.36 s)과 착용 20분 후(PC-C: 5.73 s; HEMA: 4.79 s), 착용 6일 후(PC-C: 5.68 s; HEMA: 6.35 s)로 측정되었으며, 착용 전에 비해서 착용 20분 후, 착용 6일 후에 NIBUT 값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평균 NIBUT는 착용 전(PC-C: 11.58 s; HEMA: 11.92 s), 착용 20분 후(PC-C: 8.99 s; HEMA: 7.55 s), 착용 6일 후(PC-C: 8.26 s; HEMA: 9.10 s)를 비교하였을 때, 착용 전보다 20분 후, 6일 후에 평 균 NIBUT가 감소하였다. 두 재질 모두 착용 전(PC-C: 0.190; HEMA: 0.192)에 비하여 착용 20분 후(PC-C: 0.186; HEMA: 0.184), 착용 6일 후(PC-C: 0.169; HEMA: 0.150)에 눈 전체의 고위수차량이 감소하였다. 결론: HEMA 재질의 렌즈에 비해 PC-C 재질의 렌즈에서 전반적인 착용감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착용 전보다 착용 20분 후, 6일 후에 최 초 NIBUT와 평균 NIBUT가 감소하였다. 고위수차는 PC-C 재질과 HEMA 재질 모두에서 착용 전에 비해서 착용 20분 후, 6일 후에 약간 감소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훈,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제로 사용한 고분자재료의 물성 및 콘택트렌즈 응용" 대한화학회 54 (54): 105-109, 2010

      2 조승권, "포스포릴콜린 소재가 첨가된 컨벤셔널 콘택트렌즈의 위험관리 측면에서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한국안광학회 23 (23): 11-18, 2018

      3 임동규, "젊은 성인 근시안에서 비구면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후 구면수차와 코마수차의 변화" 대한시과학회 20 (20): 469-482, 2018

      4 김정미, "재질이 다른 두 실리콘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착용에 따른 렌즈 전면의 비침입성 TBUT 비교" 대한시과학회 21 (21): 89-98, 2019

      5 김창진, "일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와 2주 교체용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임상성능 비교" 한국안광학회 14 (14): 15-26, 2009

      6 김희성, "연령대별 고위수차의 변화 양상 분석" 한국안광학회 22 (22): 243-252, 2017

      7 이세희, "써클콘택트렌즈가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 20 (20): 125-131, 2015

      8 김소라, "써클 콘택트렌즈와 동일 재질 소프트 콘택트렌즈의각막에서의 움직임 비교" 한국안광학회 17 (17): 27-35, 2012

      9 김소라,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시 조도에 따른 동공의 가려짐과 시력 변화" 한국안광학회 18 (18): 19-25, 2013

      10 박상희, "써클 및 동일 재질 콘택트렌즈의 임상 적용시 눈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 16 (16): 147-157, 2011

      1 김태훈,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제로 사용한 고분자재료의 물성 및 콘택트렌즈 응용" 대한화학회 54 (54): 105-109, 2010

      2 조승권, "포스포릴콜린 소재가 첨가된 컨벤셔널 콘택트렌즈의 위험관리 측면에서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한국안광학회 23 (23): 11-18, 2018

      3 임동규, "젊은 성인 근시안에서 비구면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후 구면수차와 코마수차의 변화" 대한시과학회 20 (20): 469-482, 2018

      4 김정미, "재질이 다른 두 실리콘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착용에 따른 렌즈 전면의 비침입성 TBUT 비교" 대한시과학회 21 (21): 89-98, 2019

      5 김창진, "일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와 2주 교체용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임상성능 비교" 한국안광학회 14 (14): 15-26, 2009

      6 김희성, "연령대별 고위수차의 변화 양상 분석" 한국안광학회 22 (22): 243-252, 2017

      7 이세희, "써클콘택트렌즈가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 20 (20): 125-131, 2015

      8 김소라, "써클 콘택트렌즈와 동일 재질 소프트 콘택트렌즈의각막에서의 움직임 비교" 한국안광학회 17 (17): 27-35, 2012

      9 김소라,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시 조도에 따른 동공의 가려짐과 시력 변화" 한국안광학회 18 (18): 19-25, 2013

      10 박상희, "써클 및 동일 재질 콘택트렌즈의 임상 적용시 눈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 16 (16): 147-157, 2011

      11 조선아, "습윤성 향상을 위한 1,4-butanediol 및 (±)-1,2,4-butanetriol이 포함된 친수성 콘택트렌즈 소재의 물리적 특성 연구" 대한시과학회 14 (14): 69-76, 2012

      12 우철민,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유형에 따른 각막형태의 변화" 한국안광학회 19 (19): 111-120, 2014

      13 김명진,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미용 콘택트렌즈의 건성안진행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안광학회 16 (16): 375-381, 2011

      14 이군자,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평상시 나타난 증상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13 (13): 19-28, 2008

      15 이철우, "석시닐-키토산 가교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물성 및 단백질 흡착 특성" 대한시과학회 19 (19): 313-322, 2017

      16 손금수, "생체친화성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임상성능 비교" 대한시과학회 9 (9): 333-350, 2007

      17 김대현,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대한시과학회 10 (10): 239-259, 2008

      18 이세희, "동일 재질의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정상안과 건성안의 눈물막 안정성 차이" 한국안광학회 21 (21): 11-21, 2016

      19 김효진,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대한 미용 칼라렌즈의 탈색 관찰" 한국안광학회 19 (19): 295-304, 2014

      20 권혁, "근시안에서 구면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후 동공중심 offset과 고위수차에 관한 연구" 대한시과학회 21 (21): 117-128, 2019

      21 김진형, "국내 콘택트렌즈 관련 합병증 양상에 대한 설문 조사: 한국콘택트렌즈학회" 대한안과학회 55 (55): 20-31, 2014

      22 김소라, "관리용액 점안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건성안의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 23 (23): 85-95, 2018

      23 김정미, "Comparison of Higher-Order Aberrations and Visual Quality in Eyes Wearing Aspheric and Spherical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대한시과학회 17 (17): 343-354, 2015

      24 김정미, "Change of Spherical Aberration with Aspheric Soft Contact Lens Wear" 한국안광학회 17 (17): 365-37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Ophalmic Optics Society -> 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8 0.69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