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체시력에 따른 입체시와 원거리 수평사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tereoacuity, Distance Horizontal Phoria accordingto Dynamic Visual Acu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0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dynamic visual acuity (DVA)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ynamic and static stereoscopic measurements. Methods: Experiments of this study were -performed using a rotating mirror apparatus to measure DVA,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used to project an arbitrary Landolt C on a screen. Dynamic stereopsis was evaluated with the Howard-Dolman test. When the subject determined that both bars were aligned on the horizontal line, the data were averaged from five measurements. Static stereoscopy was evaluated with the Ttitmus fly test and measured bilaterally. In situ examination was performed using a prism bar, and the total level of horizontal prism used in the experiment was manufactured in 16 steps, starting from a low prism amount. Results: The overall mean DVA was 79.98 ± 20.98 o/s, and the average dynamic stereoscopic value was 19.28 ± 1.67 s of arc. The average static consolidations were 58.13, 52.50, and 51.00 s of arc in groups A, B, and C, respectively. DVAs based on the amount of inclination were 64.29 o/s, 77.47 o/ s, and 87.27 o/s for 0 Δ, 1~3 Δ, and 4 Δ or above,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group with high DVA had higher dynamic and static stereotypes than the group with low DVA. In the analysis based on exophoria, DVA increased up to an exophoria of 4 Δ but decreased at an exophoria of 4 Δ or higher.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dynamic visual acuity (DVA)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ynamic and static stereoscopic measurements. Methods: Experiments of this study were -performed using a rotating mirror apparatu...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dynamic visual acuity (DVA)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ynamic and static stereoscopic measurements. Methods: Experiments of this study were -performed using a rotating mirror apparatus to measure DVA,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used to project an arbitrary Landolt C on a screen. Dynamic stereopsis was evaluated with the Howard-Dolman test. When the subject determined that both bars were aligned on the horizontal line, the data were averaged from five measurements. Static stereoscopy was evaluated with the Ttitmus fly test and measured bilaterally. In situ examination was performed using a prism bar, and the total level of horizontal prism used in the experiment was manufactured in 16 steps, starting from a low prism amount. Results: The overall mean DVA was 79.98 ± 20.98 o/s, and the average dynamic stereoscopic value was 19.28 ± 1.67 s of arc. The average static consolidations were 58.13, 52.50, and 51.00 s of arc in groups A, B, and C, respectively. DVAs based on the amount of inclination were 64.29 o/s, 77.47 o/ s, and 87.27 o/s for 0 Δ, 1~3 Δ, and 4 Δ or above,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group with high DVA had higher dynamic and static stereotypes than the group with low DVA. In the analysis based on exophoria, DVA increased up to an exophoria of 4 Δ but decreased at an exophoria of 4 Δ or hig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동체시력을 측정하여 동적입체시 및 정적입체시와의 상관성을 비교하고, 각 동체시력 측정값에 따른 피검자의 원거리 수평 사위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실험은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회전거 울식 동체시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임의의 Landolt C 시표를 사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을 사 용하였다. 동적입체시는 Howard-Dolman 검사로 진행하였다. 피검자가 두 개의 막대기를 수평선상에 맞췄다고 판단 했을 때 기준으로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정적입체시검사는 Titmus-fly tset로 진행하였 고 양안으로 측정하였다. 사위검사는 프리즘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실험에 사용된 수평프리즘의 총 단계는 16단계 로 제작되었으며 낮은 프리즘 양부터 순서대로 진행하였다. 결과: DVA를 측정한 전체 평균은 79.98 ± 20.98 o/s, 동적입체시 측정 결과의 평균은 19.28 ± 1.67(sec of arc)이였다. 각 그룹별 정적입체시의 평균값을 보면 그룹 A가 58.13(sec of arc), 그룹 B가 52.50(sec of arc), 그룹 C가 51.00(sec of arc)로 측정되었다. 그룹별 사위량에 따른 DVA 값을 보 면 0 Δ는 64.29 o/s, 1~3 Δ은 77.47 o/s, 4 Δ 이상은 87.27 o/s로 측정되었다. 결론: DVA 값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을 때 DVA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동적 및 정적입체시가 좋게 측정되었다. 원거리 수평 사위에 따른 분석에서는 외사위 4 Δ까지는 동체시력은 증가하였으나, 4 Δ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동체시력을 측정하여 동적입체시 및 정적입체시와의 상관성을 비교하고, 각 동체시력 측정값에 따른 피검자의 원거리 수평 사위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동체시력을 측정하여 동적입체시 및 정적입체시와의 상관성을 비교하고, 각 동체시력 측정값에 따른 피검자의 원거리 수평 사위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실험은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회전거 울식 동체시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임의의 Landolt C 시표를 사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을 사 용하였다. 동적입체시는 Howard-Dolman 검사로 진행하였다. 피검자가 두 개의 막대기를 수평선상에 맞췄다고 판단 했을 때 기준으로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정적입체시검사는 Titmus-fly tset로 진행하였 고 양안으로 측정하였다. 사위검사는 프리즘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실험에 사용된 수평프리즘의 총 단계는 16단계 로 제작되었으며 낮은 프리즘 양부터 순서대로 진행하였다. 결과: DVA를 측정한 전체 평균은 79.98 ± 20.98 o/s, 동적입체시 측정 결과의 평균은 19.28 ± 1.67(sec of arc)이였다. 각 그룹별 정적입체시의 평균값을 보면 그룹 A가 58.13(sec of arc), 그룹 B가 52.50(sec of arc), 그룹 C가 51.00(sec of arc)로 측정되었다. 그룹별 사위량에 따른 DVA 값을 보 면 0 Δ는 64.29 o/s, 1~3 Δ은 77.47 o/s, 4 Δ 이상은 87.27 o/s로 측정되었다. 결론: DVA 값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을 때 DVA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동적 및 정적입체시가 좋게 측정되었다. 원거리 수평 사위에 따른 분석에서는 외사위 4 Δ까지는 동체시력은 증가하였으나, 4 Δ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진, "굴절부등안에서 안경교정이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2 Ludvigh E, "Visibility of the deer fly in flight" 105 (105): 176-177, 1947

      3 Ludvigh E, "The visibility of moving objects" 108 (108): 63-64, 1948

      4 E.J. Ludvigh, "The Gradient of Retinal Illumination and Its Practical Significance" Elsevier BV 20 (20): 260-265, 1937

      5 Wilson TA, "Sports vision: training for better performance" Human Kinetics 184-, 2004

      6 Won CH, "Sports vision traning" Daihakseolim 21-38, 1993

      7 Ludvigh E, "Extrafoveal visual acuity as measured with Snellen test-letters" 24 (24): 303-310, 1941

      8 Saladin JJ, "Effects of heterophoria on stereopsis" 72 (72): 487-492, 1995

      9 Hoffman LG, "Dynamic visual acuity : a review" 52 (52): 883-887, 1981

      10 Lim KH, "Dynamic stereoacuity in normal individuals" 41 (41): 106-112, 2000

      1 김수진, "굴절부등안에서 안경교정이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2 Ludvigh E, "Visibility of the deer fly in flight" 105 (105): 176-177, 1947

      3 Ludvigh E, "The visibility of moving objects" 108 (108): 63-64, 1948

      4 E.J. Ludvigh, "The Gradient of Retinal Illumination and Its Practical Significance" Elsevier BV 20 (20): 260-265, 1937

      5 Wilson TA, "Sports vision: training for better performance" Human Kinetics 184-, 2004

      6 Won CH, "Sports vision traning" Daihakseolim 21-38, 1993

      7 Ludvigh E, "Extrafoveal visual acuity as measured with Snellen test-letters" 24 (24): 303-310, 1941

      8 Saladin JJ, "Effects of heterophoria on stereopsis" 72 (72): 487-492, 1995

      9 Hoffman LG, "Dynamic visual acuity : a review" 52 (52): 883-887, 1981

      10 Lim KH, "Dynamic stereoacuity in normal individuals" 41 (41): 106-112, 2000

      11 Ahn BC, "Dynamic and kinetic visual acuity of athletes and nonathletes" 16 (16): 238-244, 1998

      12 Chung SJ,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methods of measuring heterophoria and effects of heterophoria on stereopsis" 4 (4): 19-27, 2002

      13 Carlson NB, "Clinical procedures for ocular examination" Daihakseolim 43-51, 2008

      14 Yi MH,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dynamic visual acuity for athletes and nonathletes" 2 (2): 1-6, 2000

      15 Yi MH,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dynamic visual acuity" 16 (16): 155-161,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Ophalmic Optics Society -> 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8 0.69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