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ㅂ쇼, -ㅂ시고, -(으)십사’에 대하여 = 형태 분석과 기본 의미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6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대국어의 어미 구조체인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표현 기능이 그 구성 성분의 기본 의미에서 기인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ㅂ쇼, -ㅂ시고, -(으)십사’를 분석 또는 재분석하여 그 구성 요소를 밝힐 것이다. 이를 통해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표현적 기능이 각 어미 구조체에서 분석된 구성 요소의 기본 의미의 합에 의한 것임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ㅂ쇼, -ㅂ시고, -(으)십사’는 각각 ‘{-읍-}+{-사-}+{-이-}+{-오}’, ‘{-읍-}+{-사-}+{-이-}+{-고-}’, ‘{-(으)시-}+{-읍-}+{-사}’로 분석 또는 재분석할 수 있다. ‘-ㅂ쇼’에서 분석된 형태소의 기본 의미는 ‘선어말어미 {-읍-}의 화자 겸양, 선어말어미{-사-}의 청자의 행동 요구, 선어말어미 {-이-}의 청자 존대, 어말어미 {-오}의 화자 겸양’이다. 그러므로 어미 구조체 ‘-ㅂ쇼’의 기능은 화자가 청자를 존대하면서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낸다. ‘-ㅂ시고’에서 분석된 형태소의 기본 의미는 ‘선어말어미 {-ㅂ-}의 화자 겸양, 선어말어미 {-사-}의 청자의 행동 요구, 선어말어미 {-이-}의 청자 존대, 어말어미 {-고}의 선행 서술을 미완결하고 후행 서술에 연결함’이다. 그러므로 어미 구조체 ‘-ㅂ시고’의 기능은 화자가 청자를 존대하면서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을 미완결하고 후행 서술에 연결하는 것이다. ‘-(으)십사’에서 분석된 형태소의 기본 의미는 ‘선어말어미 {-(으)시-}의 경험주 높임, 선어말어미 {-ㅂ-}의 화자 겸양, 어말어미 {-사}의 청자의 행동 요구’이다. 그러므로 어미 구조체 ‘-(으)십사’의 기능은 화자가 경험주(주체)를 높이면서 화자 자신은 겸양하고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다.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미묘한 표현적 기능은 세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형태소 {사}의 기본 의미인 청자의 행동 요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현대국어의 어미 구조체인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표현 기능이 그 구성 성분의 기본 의미에서 기인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ㅂ쇼, -ㅂ시고, -(으)십사’를 분...

      이 연구는 현대국어의 어미 구조체인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표현 기능이 그 구성 성분의 기본 의미에서 기인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ㅂ쇼, -ㅂ시고, -(으)십사’를 분석 또는 재분석하여 그 구성 요소를 밝힐 것이다. 이를 통해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표현적 기능이 각 어미 구조체에서 분석된 구성 요소의 기본 의미의 합에 의한 것임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ㅂ쇼, -ㅂ시고, -(으)십사’는 각각 ‘{-읍-}+{-사-}+{-이-}+{-오}’, ‘{-읍-}+{-사-}+{-이-}+{-고-}’, ‘{-(으)시-}+{-읍-}+{-사}’로 분석 또는 재분석할 수 있다. ‘-ㅂ쇼’에서 분석된 형태소의 기본 의미는 ‘선어말어미 {-읍-}의 화자 겸양, 선어말어미{-사-}의 청자의 행동 요구, 선어말어미 {-이-}의 청자 존대, 어말어미 {-오}의 화자 겸양’이다. 그러므로 어미 구조체 ‘-ㅂ쇼’의 기능은 화자가 청자를 존대하면서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낸다. ‘-ㅂ시고’에서 분석된 형태소의 기본 의미는 ‘선어말어미 {-ㅂ-}의 화자 겸양, 선어말어미 {-사-}의 청자의 행동 요구, 선어말어미 {-이-}의 청자 존대, 어말어미 {-고}의 선행 서술을 미완결하고 후행 서술에 연결함’이다. 그러므로 어미 구조체 ‘-ㅂ시고’의 기능은 화자가 청자를 존대하면서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을 미완결하고 후행 서술에 연결하는 것이다. ‘-(으)십사’에서 분석된 형태소의 기본 의미는 ‘선어말어미 {-(으)시-}의 경험주 높임, 선어말어미 {-ㅂ-}의 화자 겸양, 어말어미 {-사}의 청자의 행동 요구’이다. 그러므로 어미 구조체 ‘-(으)십사’의 기능은 화자가 경험주(주체)를 높이면서 화자 자신은 겸양하고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다.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미묘한 표현적 기능은 세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형태소 {사}의 기본 의미인 청자의 행동 요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basic meaning of constituents that analyzed into ‘-psyo’ ‘-psigo’ ‘-(?)sipsa’ in modern Korean.
      In chapter Ⅱ, we deal with interpretations of ‘-psyo’ ‘-psigo’ ‘-(?)sipsa’ on six Korean dictionaries. And we find expressional functions of this ending complexes in common. This three ending complexes have very peculiar nuance in discourse context. This function result from sum of constituents's basic meanings that analyzed(or reanalyzed) into ending complexes. In chapter Ⅲ, we analyze constituents of ‘-psyo’ ‘-psigo’ ‘-(?)sipsa’. Therefore ‘-psyo’ is analyzed into ‘-p-’ ‘-sa-’ ‘-i-’ ‘-o’, and ‘-psigo’ is analyzed into ‘-p-’ ‘-sa-’ ‘-i-’ ‘-go’. And ‘-(?)sipsa’ is analyzed ‘-(?)si-’ ‘-p-’ ‘-sa’. The basic morpheme that analyzed into ending complexes has basic meanings and functions as follow. Basic morpheme {-?p-} functions to express speaker's reverence. Basic morpheme {-sa-}(or {-sa}) functions to express speaker's requisition of hearer's action. And basic morpheme {-i-} functions to express hearer's respect.
      Finally, this paper propose analysis in ending complex ‘-psyo’ ‘-psigo’ ‘-(?)sipsa’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ending complexes can be explained the basic meaning's sum of its constituent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basic meaning of constituents that analyzed into ‘-psyo’ ‘-psigo’ ‘-(?)sipsa’ in modern Korean. In chapter Ⅱ, we deal with interpretations of ‘-psyo’ ‘-psigo’ ‘-(?)sipsa’ on six Korean dictionari...

      This paper aims to examine basic meaning of constituents that analyzed into ‘-psyo’ ‘-psigo’ ‘-(?)sipsa’ in modern Korean.
      In chapter Ⅱ, we deal with interpretations of ‘-psyo’ ‘-psigo’ ‘-(?)sipsa’ on six Korean dictionaries. And we find expressional functions of this ending complexes in common. This three ending complexes have very peculiar nuance in discourse context. This function result from sum of constituents's basic meanings that analyzed(or reanalyzed) into ending complexes. In chapter Ⅲ, we analyze constituents of ‘-psyo’ ‘-psigo’ ‘-(?)sipsa’. Therefore ‘-psyo’ is analyzed into ‘-p-’ ‘-sa-’ ‘-i-’ ‘-o’, and ‘-psigo’ is analyzed into ‘-p-’ ‘-sa-’ ‘-i-’ ‘-go’. And ‘-(?)sipsa’ is analyzed ‘-(?)si-’ ‘-p-’ ‘-sa’. The basic morpheme that analyzed into ending complexes has basic meanings and functions as follow. Basic morpheme {-?p-} functions to express speaker's reverence. Basic morpheme {-sa-}(or {-sa}) functions to express speaker's requisition of hearer's action. And basic morpheme {-i-} functions to express hearer's respect.
      Finally, this paper propose analysis in ending complex ‘-psyo’ ‘-psigo’ ‘-(?)sipsa’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ending complexes can be explained the basic meaning's sum of its constitu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ㅂ쇼, -ㅂ시고, -(으)십사’의 사전 뜻풀이와 출현 환경
      • 3. ‘-ㅂ쇼, -ㅂ시고, -(으)십사’ 형태 분석과 기본 의미
      • 4. ‘-ㅂ쇼, -ㅂ시고, -(으)십사’ 기능과 결합 제약
      • [국문초록]
      • 1. 서론
      • 2. ‘-ㅂ쇼, -ㅂ시고, -(으)십사’의 사전 뜻풀이와 출현 환경
      • 3. ‘-ㅂ쇼, -ㅂ시고, -(으)십사’ 형태 분석과 기본 의미
      • 4. ‘-ㅂ쇼, -ㅂ시고, -(으)십사’ 기능과 결합 제약
      • 5.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근, "현대국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118-157, 1974

      2 고영근, "현대국어 선어말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3 (3): 51-63, 1967

      3 서정목,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 (1)" 국어학회 17 : 97-151, 1988

      4 임동훈, "한국어 어미 ‘-시-’의 문법" 국어학회, 태학사 146-, 2000

      5 이기갑, "한국어 방언들 사이의 상대 높임법 비교 연구" 한국언어학회 21 : 185-217, 1997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사화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92

      8 서태룡, "정동사어미의 형태론" 진단학회 (60) : 159-192, 1985

      9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10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451-453, 2008

      1 고영근, "현대국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118-157, 1974

      2 고영근, "현대국어 선어말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3 (3): 51-63, 1967

      3 서정목,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 (1)" 국어학회 17 : 97-151, 1988

      4 임동훈, "한국어 어미 ‘-시-’의 문법" 국어학회, 태학사 146-, 2000

      5 이기갑, "한국어 방언들 사이의 상대 높임법 비교 연구" 한국언어학회 21 : 185-217, 1997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사화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92

      8 서태룡, "정동사어미의 형태론" 진단학회 (60) : 159-192, 1985

      9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10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451-453, 2008

      11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12 박부자, "선어말어미 ‘--’ 통합순서의 변화에 대하여 -‘-시-’와의 통합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46) : 227-254, 2005

      13 고광모, "상대 높임의 조사 ‘-요’와 ‘-(이)ㅂ쇼’의 기원과 형성 과정」" 국어학회 36 : 259-282, 2000

      14 이윤하, "문말 첨사의 통사․의미적 특성에 대하여" 국어학회 34 : 59-85, 1999

      15 서정목, "명령법 어미와 공손법의 등급-근대 국어와 경상도 방언의 경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8 : 213-246, 1983

      16 운평어문연구소,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1

      17 서태룡, "국어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 탑출판사, 국어학회 261-268, 1988

      18 임홍빈, "국어문법의 심층 1" 국어학 97-142, 1998

      19 임홍빈, "국어문법의 심층 1" 171-229, 1998

      20 임홍빈, "국어문법의 심층 1" 143-169, 1998

      21 임홍빈, "국어문법의 심층 1" 59-96, 1998

      22 이승희, "국어 청자높임법의 역사적 변화" 태학사 3-310, 2007

      23 서정목, "국어 의문문 연구" 탑출판사 138-140, 1987

      24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178-, 2003

      25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1" 태학사 201-208, 1998

      26 김현주, "국어 대우법 어미의 형태화 연구" 고려대학교 2010

      2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고려대 한국어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28 하정수, "現代國語 形態素 {ㅅ}의 意味와 機能"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141-167, 2010

      29 최규일, "‘-요’에 관한 총체적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12 : 171-228, 2003

      30 Dixon, R.M.W, "Basic Linguistic Theory Vol.2, in Grammatical Topics" Oxford University Press 7-3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
      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 1.22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