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논문 : 국어학 ; 한국어 "-었-"의 상적 의미와 일본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 연구 = The aspectual meaning of "-었-" and errors by Japanes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2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작문 시 ``-었-``이 요구되는 문장에서 일본인들이 보이는 오류의 원인을 한국어와 일본어, 두 언어의 상(相) 표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이를 객관적으로 증명하...

      본 연구는 한국어 작문 시 ``-었-``이 요구되는 문장에서 일본인들이 보이는 오류의 원인을 한국어와 일본어, 두 언어의 상(相) 표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이를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먼저 이를 위해 한국어 ``-었-``과 일본어 ``-ている``의 상(相,ASPECT)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1. 일본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완결상과 과거 진행상, 그리고 과거 반복상과 습관상완료상 표현인 ``-었-`` 대신 ``-어 있-`` 또는 ``-고 있-``로 사용하는 표현 오류를 보일것이며, 2. 이 오류 양상은 한국어 학습수준이 높을수록 더 빈번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두 가지 가설을 세우고 관련 표현이 있는 문장을 한국어로 해석하도록 했다. 조사 결과 한국어 학습시간과 표현의 오류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상 오류를 범한 학습자가 다른 문장에서 또다시 같은 오류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써 잘못된 ``-고 있다``와 ``-어 있다`` 표현이 일본인에게 쉽게 화석화될 수 있다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들의 오류 원인과 그 양상을 증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이 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교육 방안은 마련하지 못했다. 앞으로 본고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를 진전시키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aspectual errors, especially focusing on ``-었-``, by Japanese who learn the Korean language. It attempts to explain the errors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었-`` and Japanese ``ている``. Korean ``-었-`` has mu...

      This paper examines aspectual errors, especially focusing on ``-었-``, by Japanese who learn the Korean language. It attempts to explain the errors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었-`` and Japanese ``ている``. Korean ``-었-`` has much more aspectual markers than Japanese ``ている``. The hypotheses tested in this paper were as follows: in Korean writings 1. Japanese learners will use different aspectual markers, for example ``-고 있-`` or ``-어 있-``, instead of ``-었-`` 2. There will be correlation between aspectual errors and learning time they have spent. Japanese leaners were asked to translate 10 Japanese sentences into Korean to ascertain the hypothes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in Korean writing 1. Japanese learners use different aspectual markers, for example ``-고 있-`` or ``-어 있-``, instead of ``-었-``. 2. There was no correlation present between aspectual errors and learning time they sp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