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택가격지수의 순환주기변동과 거시경제변수의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Cycle Variation of Housing Price Index andthe Effe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8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ycle variation of the national housing price index since 1986 and analyzed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variables on housing price index cycle variation for the period after 1990. Firstly, analyzed trend and cycle variation of housing price index, housing purchase price index was in the expansion phase of sixth cycle, housing jeonse price index was in the contraction phase of fifth cycle. However, reference point March 2005, these price indices showed that contraction phase was longer than the period of the expansion phase. Accordingly this result, this study separated periods by March 2005 and examined the effe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with respect to housing price index cycle variation by Bayesian VAR Model.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showed that these price indices showed a generally negative reaction to the interest rate in two periods. However, impulse response function of these housing price indices were shown a change in reaction degree and direction to the other macroeconomic variabl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ariance decomposition, the effe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to housing purchase price index was significantly reduced. But the effe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to housing jeonse price index was increased and showed the changes in the variables that affect.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may take a different policy approach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market.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ycle variation of the national housing price index since 1986 and analyzed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variables on housing price index cycle variation for the period after 1990. Firstly, analyzed trend...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ycle variation of the national housing price index since 1986 and analyzed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variables on housing price index cycle variation for the period after 1990. Firstly, analyzed trend and cycle variation of housing price index, housing purchase price index was in the expansion phase of sixth cycle, housing jeonse price index was in the contraction phase of fifth cycle. However, reference point March 2005, these price indices showed that contraction phase was longer than the period of the expansion phase. Accordingly this result, this study separated periods by March 2005 and examined the effe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with respect to housing price index cycle variation by Bayesian VAR Model.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showed that these price indices showed a generally negative reaction to the interest rate in two periods. However, impulse response function of these housing price indices were shown a change in reaction degree and direction to the other macroeconomic variabl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ariance decomposition, the effe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to housing purchase price index was significantly reduced. But the effe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to housing jeonse price index was increased and showed the changes in the variables that affect.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may take a different policy approach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86년 이후 전국 주택가격지수의 순환변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1990년 이후 기간에 대하여 주택가격 순환주기변동에 대한 거시경제변수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주택가격지수의 추세 및 순환변동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주택매매 및 전세가격은 각 2번의 추세하락을 나타냈으며, 주택매매가격은 6번째 순환기의 확장기에, 주택전세가격은 5번째 순환기의 수축기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가격지수는 2005년 3월을 기점으로 수축기의 기간이 확장기의 기간보다 길게 나타나는 순환주기의 변동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2005년 3월을 기준으로 기간을 구분하고 기간별 거시경제변수의 영향을 Bayesian VAR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충격반응함수 분석에서는 전⋅후반기에 걸쳐 두 가격지수 모두 이자율에 대하여 대체로 음의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이외의 변수에 대하여는 반응정도 및 방향에서 변화를 나타내었다. 한편, 분산분해 결과에서는 주택매매가격 순환변동에 대하여 거시경제변수의 영향력은 크게 감소한 반면, 주택전세가격 순환변동에 대하여는 거시경제변수의 영향력은 커지며, 이에 영향을 주는 거시경제변수의 항목도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본다면, 주택시장에 대한 정책적 접근 시 주택시장 유형에 따라 다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86년 이후 전국 주택가격지수의 순환변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1990년 이후 기간에 대하여 주택가격 순환주기변동에 대한 거시경제변수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주택가...

      본 연구는 1986년 이후 전국 주택가격지수의 순환변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1990년 이후 기간에 대하여 주택가격 순환주기변동에 대한 거시경제변수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주택가격지수의 추세 및 순환변동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주택매매 및 전세가격은 각 2번의 추세하락을 나타냈으며, 주택매매가격은 6번째 순환기의 확장기에, 주택전세가격은 5번째 순환기의 수축기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가격지수는 2005년 3월을 기점으로 수축기의 기간이 확장기의 기간보다 길게 나타나는 순환주기의 변동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2005년 3월을 기준으로 기간을 구분하고 기간별 거시경제변수의 영향을 Bayesian VAR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충격반응함수 분석에서는 전⋅후반기에 걸쳐 두 가격지수 모두 이자율에 대하여 대체로 음의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이외의 변수에 대하여는 반응정도 및 방향에서 변화를 나타내었다. 한편, 분산분해 결과에서는 주택매매가격 순환변동에 대하여 거시경제변수의 영향력은 크게 감소한 반면, 주택전세가격 순환변동에 대하여는 거시경제변수의 영향력은 커지며, 이에 영향을 주는 거시경제변수의 항목도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본다면, 주택시장에 대한 정책적 접근 시 주택시장 유형에 따라 다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 손종칠, "통화정책 및 실물·금융변수와 주택가격간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한국경제학회 58 (58): 179-219, 2010

      3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4 엄근용, "주택경기의 순환 주기적 특징과 시사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1

      5 강민석, "주택경기 순환주기 분석" 한국주택학회 13 (13): 69-95, 2005

      6 한용석, "주택가격의 순환변동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0 (10): 229-243, 2009

      7 이영수, "주택가격과 물가의 동학: 한국의 경험"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8 (18): 55-72, 2012

      8 심성훈,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의 순환변동에 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2 (12): 147-164, 2006

      9 심성훈,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간의 순환관계에 관한 연구 : Hedorick-Prescott Fil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1 (11): 97-118, 2005

      10 전해정, "주택 매매가격의 추세와 순환 분해" 서울연구원 14 (14): 77-86, 2013

      1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 손종칠, "통화정책 및 실물·금융변수와 주택가격간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한국경제학회 58 (58): 179-219, 2010

      3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4 엄근용, "주택경기의 순환 주기적 특징과 시사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1

      5 강민석, "주택경기 순환주기 분석" 한국주택학회 13 (13): 69-95, 2005

      6 한용석, "주택가격의 순환변동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0 (10): 229-243, 2009

      7 이영수, "주택가격과 물가의 동학: 한국의 경험"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8 (18): 55-72, 2012

      8 심성훈,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의 순환변동에 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2 (12): 147-164, 2006

      9 심성훈,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간의 순환관계에 관한 연구 : Hedorick-Prescott Fil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1 (11): 97-118, 2005

      10 전해정, "주택 매매가격의 추세와 순환 분해" 서울연구원 14 (14): 77-86, 2013

      11 이준용, "자료 주기에 따른 벡터시계열모형 결과의 차이: 서울시 아파트 시장의 분석사례" 한국주택학회 18 (18): 117-139, 2010

      12 이영수, "우리나라 주택가격의 추세-순환 분해 및 평균회귀 현상 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9 (19): 41-54, 2013

      13 김경환, "외환위기 전후 주택시장 구조변화와 주택정책" 한국경제학회 55 (55): 369-399, 2007

      14 "국민은행 KB주택가격동향 시계열자료"

      15 이긍희, "국민소득 통계의 추세 및 순환 변동 계열추출 방법" 한국은행 1 : 23-58, 2000

      16 정영식, "국내외 자본유출입 규제의 대안 모색 :조건부 금융거래세를 중심으로" 국제금융학회 1-35, 2011

      17 유복근, "국내외 금융시장의 연계성 변화분석: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009

      18 황종률, "경제성장률 단기예측 모형-베이지언 VAR 접근방식에 의한 예측" 국회예산정책처 68 : 2011

      19 강창구, "결합추정기법을 이용한 분기 GDP추정" 한국은행 32 : 46-73, 2008

      20 Hodrick, R. J., "Postwar U.S. Business Cycl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29 (29): 1-16, 1997

      21 Litterman, R. B., "Forecasting with bayesian vector autoregressions - five years of experienc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4 (4): 25-38, 1986

      22 성병희, "Bayesian VAR모형을 이용한 경제전망" 한국은행 7 (7): 59-90, 2001

      23 정승, "2014년 울산경제, 생산⋅고용 늘며 ‘3.1% 성장률’전망-베이지안(Bayesian) VAR모형을 이용한 울산경제 예측-" 울산발전연구원 77 :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감정평가연구 -> 부동산연구
      외국어명 : Korean Appraisal Review -> Korea Real Estate Review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6 1.1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