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진왜란기 대마도의 조선 교섭 =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and Tsushi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8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임진왜란 이전의 대마도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정벌’ 의도에 대하여 처음엔 조선측의 貢物이나 인질 제출로 대체하여 그 의도를 희석시키려 하나 실패한다. 히데요시가 이어 조선국왕의 직접적인 來朝를 명령하게 되자, 入朝가 절대 불가능함을 익히 알고 있는 대마도로서는 통신사의 일본 파견으로 대신하려 조선과 교섭하게 되었고, 1590년 通信使가 渡日할 수 있게 된다.
      통신사측에 히데요시가 제시한 것은 明을 정벌할 것이니 조선이 그 길잡이가 되라는 요구였지만, 대마도는 明에 조공하겠으니 길을 빌려달라는 것으로 그 요구를 바꿔치며 전쟁방지 공작을 벌인다. 이러한 대마도의 공작은 대마도 자신을 위해서였다. 조선과의 무역적 독점관계를 지키기 위해서였고, 일본의 大軍이 대마도를 거쳐 조선으로 향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동시에 일본군으로 징발되는 수난을 겪지 않기 위해서였다. 왜란에 징발된 대마도 병사는 5,000명이나 되었다. 당시 대마도의 인구가 50,000명이라 해도 이는 엄청난 부담이었을 것이다.
      임진왜란기 대마도주 종의지(宗義智)와 그의 외교고문격인 겐소나 야나가와 시게노부는 모두 제1군의 대장 고니시 유키나가의 휘하에서 그의 지시를 받고 있었다. 그러므로 대마도측의 독자적인 조선 교섭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대마도가 전혀 교섭 표면에 나타나지 않은 것은 아니다. 1593년 5월 겐소는 일본 나고야(名護屋)에서 ‘明사절’에게, 히데요시가 明에 ‘假道陳情’하려 한 것을 조선이 방해하여 전쟁이 발생했다고 그 책임을 조선에 전가하고 있다. 또한 정유재란 직전 시게노부는 조선이 인질이나 貢物을 보내와 히데요시의 체면을 세워주면 再侵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선에 교섭하고 있다. 이로 보아 대마도의 조선교섭이 히데요시의 전쟁 수행에 결코 근본적인 변화를 주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1598년 8월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일본군이 철수하였다. 이어 시작된 강화교섭 또한 왜란 이전처럼 대마도가 그 전면에 나서게 된다. 주목되는 것은 대마도의 교섭이 대마도 私的인 조선과의 무역관계 재개를 위한 것이 아니라, 왜란 종식을 위한 講和교섭이었다는 점이다. 특히 1600년 세키가하라의 전투 이후부터의 교섭은, 일본 政局을 장악한 이에야스의 의도를 반영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야스가 대마도를 통해 조선에 요청한 것은 ‘통신사’의 파견이었다.
      계속되는 대마도의 ‘통신사’ 파견 요구에 조선은 왜란 전처럼 조건부 수용의 자세를 나타내게 된다. 그 조건부란 이에야스가 먼저 서한으로 강화를 요청하라는 것이고(‘先爲致書’), 왜란 때 조선왕릉을 훼손한 일본군을 압송해 오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대마도의 주선과 공작으로 두 조건이 이행되었다는 명분을 가지게 된 조선은 1607년 講和의 의미를 가진 사절을 파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명칭은 ‘통신사’를 피해 이에야스의 서한에 회답하고 왜란에 잡혀간 조선인을 송환한다는 의미의 ‘회답겸쇄환사’라 이름하였다.
      ‘회답겸쇄환사’가 일본을 다녀온 다음해인 1608년 1월 이후, 대마도는 겐소 등을 ‘일본국왕사’ 명의로 조선에 파견하여 임진왜란으로 중단된 약조관계를 성립시키기 위한 교섭을 행하게 한다. 교섭의 결과 1609년 조선측은 이른바 12개조의 己酉약조를 결정하고 대마도에 이를 통고한다. 그런데 이 기유약조는 이전의 약조보다 축소 ...
      번역하기

      임진왜란 이전의 대마도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정벌’ 의도에 대하여 처음엔 조선측의 貢物이나 인질 제출로 대체하여 그 의도를 희석시키려 하나 실패한다. 히데요시가 이어 조선...

      임진왜란 이전의 대마도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정벌’ 의도에 대하여 처음엔 조선측의 貢物이나 인질 제출로 대체하여 그 의도를 희석시키려 하나 실패한다. 히데요시가 이어 조선국왕의 직접적인 來朝를 명령하게 되자, 入朝가 절대 불가능함을 익히 알고 있는 대마도로서는 통신사의 일본 파견으로 대신하려 조선과 교섭하게 되었고, 1590년 通信使가 渡日할 수 있게 된다.
      통신사측에 히데요시가 제시한 것은 明을 정벌할 것이니 조선이 그 길잡이가 되라는 요구였지만, 대마도는 明에 조공하겠으니 길을 빌려달라는 것으로 그 요구를 바꿔치며 전쟁방지 공작을 벌인다. 이러한 대마도의 공작은 대마도 자신을 위해서였다. 조선과의 무역적 독점관계를 지키기 위해서였고, 일본의 大軍이 대마도를 거쳐 조선으로 향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동시에 일본군으로 징발되는 수난을 겪지 않기 위해서였다. 왜란에 징발된 대마도 병사는 5,000명이나 되었다. 당시 대마도의 인구가 50,000명이라 해도 이는 엄청난 부담이었을 것이다.
      임진왜란기 대마도주 종의지(宗義智)와 그의 외교고문격인 겐소나 야나가와 시게노부는 모두 제1군의 대장 고니시 유키나가의 휘하에서 그의 지시를 받고 있었다. 그러므로 대마도측의 독자적인 조선 교섭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대마도가 전혀 교섭 표면에 나타나지 않은 것은 아니다. 1593년 5월 겐소는 일본 나고야(名護屋)에서 ‘明사절’에게, 히데요시가 明에 ‘假道陳情’하려 한 것을 조선이 방해하여 전쟁이 발생했다고 그 책임을 조선에 전가하고 있다. 또한 정유재란 직전 시게노부는 조선이 인질이나 貢物을 보내와 히데요시의 체면을 세워주면 再侵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선에 교섭하고 있다. 이로 보아 대마도의 조선교섭이 히데요시의 전쟁 수행에 결코 근본적인 변화를 주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1598년 8월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일본군이 철수하였다. 이어 시작된 강화교섭 또한 왜란 이전처럼 대마도가 그 전면에 나서게 된다. 주목되는 것은 대마도의 교섭이 대마도 私的인 조선과의 무역관계 재개를 위한 것이 아니라, 왜란 종식을 위한 講和교섭이었다는 점이다. 특히 1600년 세키가하라의 전투 이후부터의 교섭은, 일본 政局을 장악한 이에야스의 의도를 반영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야스가 대마도를 통해 조선에 요청한 것은 ‘통신사’의 파견이었다.
      계속되는 대마도의 ‘통신사’ 파견 요구에 조선은 왜란 전처럼 조건부 수용의 자세를 나타내게 된다. 그 조건부란 이에야스가 먼저 서한으로 강화를 요청하라는 것이고(‘先爲致書’), 왜란 때 조선왕릉을 훼손한 일본군을 압송해 오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대마도의 주선과 공작으로 두 조건이 이행되었다는 명분을 가지게 된 조선은 1607년 講和의 의미를 가진 사절을 파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명칭은 ‘통신사’를 피해 이에야스의 서한에 회답하고 왜란에 잡혀간 조선인을 송환한다는 의미의 ‘회답겸쇄환사’라 이름하였다.
      ‘회답겸쇄환사’가 일본을 다녀온 다음해인 1608년 1월 이후, 대마도는 겐소 등을 ‘일본국왕사’ 명의로 조선에 파견하여 임진왜란으로 중단된 약조관계를 성립시키기 위한 교섭을 행하게 한다. 교섭의 결과 1609년 조선측은 이른바 12개조의 己酉약조를 결정하고 대마도에 이를 통고한다. 그런데 이 기유약조는 이전의 약조보다 축소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sushima attempted to dilute Toyotomi Hideyoshi’s intention to conquer Joseon through that country’s submission of tribute or hostages, but failed. When Hideyoshi subsequently ordered the King of Joseon to visit Japan, Tsushima,knowing that this was impossible, decided to negotiate with Joseon in order to substitute the dispatch of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for direct assistance, and a diplomatic mission from Joseon went to Japan in 1590.
      Hideyoshi had actually demanded Joseon through the diplomatic mission to guide the army along the way to conquering Ming China, but Tsushima replaced that demand with a request to borrow a path to Ming China in order to submit tribute to China, attempting to sabotage the war. This effort by Tsushima was for Tsushima itself. Tsushima intended to secure its monopolistic trade relationship with Joseon and to prevent the Japanese forces from advancing into Joseon through Tsushima. At the same time, Tsushima intended to prevent any suffering from being drafted into the Japanese forces, though almost 5,000 soldiers from Tsushima were drafted. Even if we assume that the total population of Tsushima was 50,000, this would have been an enormous burden for Tsushima.
      The Governor of Tsushima Sō Yoshitoshi and his diplomatic advisors Keitetsu Genso and Yanagawa Shigenobu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were under the command of the general of the first army Konishi Yukinaga. Therefore,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for Tsushima to negotiate with Joseon independently. However, Tsushima did appear in the center of negotiations. In the fifth lunar month of 1593, Genso told the envoy of Ming China in Nagoya, Japan, that the war occurred because Joseon prevented Hideyoshi from submitting tribute to Ming China and attempted to shift responsibility to Joseon.
      Further, just prior to the second invasion of Joseon in 1597, Shigenobu negotiated with Joseon, persuading Joseon that it could prevent a second invasion if the government would send hostages or tribute to Japan,keeping face for Hideyoshi. According to this, Tsushima’s negotiations with Joseon could not make a fundamental change in Hideyoshi’s conduct of war.
      The Japanese forces withdrew in the eighth lunar month of 1598 due to the death of Hideyoshi. Tsushima also took the leading role in the following peace negotiations that began, just as prior to the 1592invasion. It is notable that Tsushima negotiated the peace treaty to end the Japanese invasion, not to resume its private trade relationship with Joseon. In particular, the negotiations after the Battle of Sekigahara in 1600 were just a reflection of the intention of Tokugawa Ieyasu, who dominated the political situation in Japan. Through Tsushima Ieyasu requested of Joseon the dispatch of a “diplomatic mission.”Joseon took the position of conditional acceptance of the continuous requests of Tsushima to dispatch a “diplomatic mission,” just as prior to the invasion in 1592. The conditions included a request put to Ieyasu for peace in writing and for sending under escort the Japanese troops who damaged the royal tombs of Joseon during the war. After these two conditions were met with the arrangement and maneuvering of Tsushima, Joseon was able to dispatch an envoy under the meaning of peace to Japan in 1607. However, the title borne by the embassy was not “diplomatic mission” but “Response and Repatriation Mission.” That is, this mission was a response to Ieyasu’s text and to the repatriation of Koreans who were taken to Japan during the invasion.
      After the first lunar month of 1608, or one year after the “Response and Repatriation Mission” went to Japan, Tsushima dispatched Genso and others to Joseon as the diplomatic envoy of the King of Japan and negotiated with Joseon for establishing an agreement that was suspended due to the invasion in 1592. As a result of negotiations,Joseon accepted and not...
      번역하기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sushima attempted to dilute Toyotomi Hideyoshi’s intention to conquer Joseon through that country’s submission of tribute or hostages, but failed. When Hideyoshi subsequently ordered the King of J...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sushima attempted to dilute Toyotomi Hideyoshi’s intention to conquer Joseon through that country’s submission of tribute or hostages, but failed. When Hideyoshi subsequently ordered the King of Joseon to visit Japan, Tsushima,knowing that this was impossible, decided to negotiate with Joseon in order to substitute the dispatch of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for direct assistance, and a diplomatic mission from Joseon went to Japan in 1590.
      Hideyoshi had actually demanded Joseon through the diplomatic mission to guide the army along the way to conquering Ming China, but Tsushima replaced that demand with a request to borrow a path to Ming China in order to submit tribute to China, attempting to sabotage the war. This effort by Tsushima was for Tsushima itself. Tsushima intended to secure its monopolistic trade relationship with Joseon and to prevent the Japanese forces from advancing into Joseon through Tsushima. At the same time, Tsushima intended to prevent any suffering from being drafted into the Japanese forces, though almost 5,000 soldiers from Tsushima were drafted. Even if we assume that the total population of Tsushima was 50,000, this would have been an enormous burden for Tsushima.
      The Governor of Tsushima Sō Yoshitoshi and his diplomatic advisors Keitetsu Genso and Yanagawa Shigenobu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were under the command of the general of the first army Konishi Yukinaga. Therefore,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for Tsushima to negotiate with Joseon independently. However, Tsushima did appear in the center of negotiations. In the fifth lunar month of 1593, Genso told the envoy of Ming China in Nagoya, Japan, that the war occurred because Joseon prevented Hideyoshi from submitting tribute to Ming China and attempted to shift responsibility to Joseon.
      Further, just prior to the second invasion of Joseon in 1597, Shigenobu negotiated with Joseon, persuading Joseon that it could prevent a second invasion if the government would send hostages or tribute to Japan,keeping face for Hideyoshi. According to this, Tsushima’s negotiations with Joseon could not make a fundamental change in Hideyoshi’s conduct of war.
      The Japanese forces withdrew in the eighth lunar month of 1598 due to the death of Hideyoshi. Tsushima also took the leading role in the following peace negotiations that began, just as prior to the 1592invasion. It is notable that Tsushima negotiated the peace treaty to end the Japanese invasion, not to resume its private trade relationship with Joseon. In particular, the negotiations after the Battle of Sekigahara in 1600 were just a reflection of the intention of Tokugawa Ieyasu, who dominated the political situation in Japan. Through Tsushima Ieyasu requested of Joseon the dispatch of a “diplomatic mission.”Joseon took the position of conditional acceptance of the continuous requests of Tsushima to dispatch a “diplomatic mission,” just as prior to the invasion in 1592. The conditions included a request put to Ieyasu for peace in writing and for sending under escort the Japanese troops who damaged the royal tombs of Joseon during the war. After these two conditions were met with the arrangement and maneuvering of Tsushima, Joseon was able to dispatch an envoy under the meaning of peace to Japan in 1607. However, the title borne by the embassy was not “diplomatic mission” but “Response and Repatriation Mission.” That is, this mission was a response to Ieyasu’s text and to the repatriation of Koreans who were taken to Japan during the invasion.
      After the first lunar month of 1608, or one year after the “Response and Repatriation Mission” went to Japan, Tsushima dispatched Genso and others to Joseon as the diplomatic envoy of the King of Japan and negotiated with Joseon for establishing an agreement that was suspended due to the invasion in 1592. As a result of negotiations,Joseon accepted and no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프로이스, "프로이스의 ‘일본사’를 통해 다시 보는 임진왜란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국립진주박물관 2003

      2 유성룡, "징비록"

      3 민덕기, "조선시대 일본의 대외 교섭" 경인문화사 2010

      4 이민호, "조선 宣祖朝의 對日외교연구" 남양문화 1999

      5 손은주, "임진왜란기의 강화교섭에 관한 고찰 : 소서행장의 강화교섭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3

      6 김문자, "임진왜란기의 강화교섭과 加藤淸正 -조선왕자의 送還문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42) : 383-416, 2012

      7 김문자, "임진왜란기 일·명 강화교섭의 파탄에 관한 一考察: 사명당(松雲大師)·加藤淸正 간의 회담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8 (28): 225-254, 2005

      8 김경태, "임진왜란 직후,대일강화정책의 성격연구" 한국사연구회 (138) : 39-74, 2007

      9 김경태, "임진왜란 직후 조선의 대일강화정책 성격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0 민덕기, "임진왜란 이후의 朝·日 講和교섭과 대마도(1)(2)" (39·40) : 1987

      1 프로이스, "프로이스의 ‘일본사’를 통해 다시 보는 임진왜란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국립진주박물관 2003

      2 유성룡, "징비록"

      3 민덕기, "조선시대 일본의 대외 교섭" 경인문화사 2010

      4 이민호, "조선 宣祖朝의 對日외교연구" 남양문화 1999

      5 손은주, "임진왜란기의 강화교섭에 관한 고찰 : 소서행장의 강화교섭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3

      6 김문자, "임진왜란기의 강화교섭과 加藤淸正 -조선왕자의 送還문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42) : 383-416, 2012

      7 김문자, "임진왜란기 일·명 강화교섭의 파탄에 관한 一考察: 사명당(松雲大師)·加藤淸正 간의 회담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8 (28): 225-254, 2005

      8 김경태, "임진왜란 직후,대일강화정책의 성격연구" 한국사연구회 (138) : 39-74, 2007

      9 김경태, "임진왜란 직후 조선의 대일강화정책 성격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0 민덕기, "임진왜란 이후의 朝·日 講和교섭과 대마도(1)(2)" (39·40) : 1987

      11 윤유숙, "임진왜란 발발전 한일교섭의 실태" (7) : 2006

      12 윤유숙,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발발전 한일교섭 실태" 한국일본학회 0 (0): 347-362, 2007

      13 김성일, "국역 학봉전집 1" 1998

      14 "黑田家譜 朝鮮陣記"

      15 "通航一覽"

      16 北島万次, "豊臣秀吉の朝鮮侵略" 吉川弘文館 1995

      17 田中敏昭, "豊臣政權의 日本統合과 對馬島主 宗氏의 朝鮮交涉" 5 : 1999

      18 山科言經, "言經卿記"

      19 天荊, "西征日記"

      20 笠谷和比古, "秀吉の野望と誤算" 文英堂 2000

      21 中里紀元, "秀吉の朝鮮侵攻と民衆·文祿の役-日本民衆の苦惱と朝鮮民衆の抵抗" 文獻出版 1993

      22 三鬼淸一郞, "秀吉の國家構想と朝鮮出兵, In 海外視点 日本の 歷史8" ぎょうせい 1986

      23 老峯 閔鼎重, "泉谷集, In 泉谷先生集卷之二, 附錄, 壬辰遺聞"

      24 "朝鮮通交大紀" 名著出版 1978

      25 민덕기, "朝鮮後期 朝·日 講和와 朝·明관계" 국사편찬위원회 12 : 1990

      26 勸修寺晴豊, "晴豊記"

      27 "時慶卿記"

      28 中村榮孝, "日鮮關係史の硏究(下)" 吉川弘文館 1969

      29 池內宏, "文祿慶長の役 正編 第1"

      30 金文子, "文祿·慶長期に於ける日明和議交涉と朝鮮" お茶の水女子大學大學院 1991

      31 李啓煌, "文祿·慶長の役と東アジア" 臨川書店 1997

      32 荒野泰典, "大君外交體制の確立, In 講座日本近世史2 鎖國" 有斐閣 1981

      33 김문자, "壬辰倭亂期 일본사료연구—풍신수길의 조선침략관련 사료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30) : 453-496, 2008

      34 홍성덕, "壬辰倭亂 직후 日本의 對朝鮮 講和交涉" 3 : 1995

      35 한문종, "壬辰倭亂 직전의 국내정세와 韓日關係" 인문과학연구소 (21) : 223-243, 2009

      36 田中敏昭, "壬亂前의 豊臣政權과 對馬島主宗氏의 朝鮮外交 : 總無事令을 中心으로"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6

      37 新井白石, "國書復號紀事, In 新井白石全集"

      38 北島万次, "加藤淸正" 吉川弘文館 2007

      39 "加藤文書"

      40 민덕기, "前近代 동아시아 세계의 韓·日관계" 경인문화사 2007

      41 ロナルド·トビ, "初期德川外交政策における『鎖國』の位置づけ, In 新しい江戶時代史像を求めて"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