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중교통 선택행태 및 이용 영향요인 분석: 도시철도 및 버스 간 비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Affecting Factors on the Usage of Public Transportation: -Focused on Metro and B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923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s is the public transportation which has to go side by side with the metro, because they can complement their weakness each other.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usage of metro or bus, and suggests som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ncreasing usage of public transport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usage of public transportation is related to income level, car owning, distance, transit transfer, parking, etc. These results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point to the metro/bus station, the discomfort in transit transfer, and so on, as well as personal or housing characteristics of passengers.
      번역하기

      The bus is the public transportation which has to go side by side with the metro, because they can complement their weakness each other.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usage of metro or bus, and suggests some political implications f...

      The bus is the public transportation which has to go side by side with the metro, because they can complement their weakness each other.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usage of metro or bus, and suggests som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ncreasing usage of public transport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usage of public transportation is related to income level, car owning, distance, transit transfer, parking, etc. These results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point to the metro/bus station, the discomfort in transit transfer, and so on, as well as personal or housing characteristics of passeng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무, "통행수단 선택모형의 구조적 변화에 기초한 지하철보행역세권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177-194, 2014

      2 김준, "토지이용특성별 역세권 이용자의 도보거리 추정에 관한 실증분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2

      3 오영택,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대한토목학회 29 (29): 467-472, 2009

      4 강수철, "직장인의 차량보유 결정요인 및 통근수단 선택행태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287-302, 2009

      5 김경환, "지하철과 버스의 서비스권역 비교 및 이용자들의 도보거리 추정 - 부산시를 중심으로 -" 대한토목학회 30 (30): 541-552, 2010

      6 이승일, "지하철 통근통행시간이 역세권의 공간범위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119-127, 2008

      7 최창식, "지하철 건설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공간적 영향분석- 서울 지하철 7호선을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5 (5): 1-12, 2004

      8 박한, "주상복합 거주와 지하철 이용과의 연관관계 분석: 통근통행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8 (8): 29-42, 2007

      9 김원진, "서울시 출근자의 교통수단선택 행태분석: 성남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3

      10 성현곤,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3 (23): 19-29, 2005

      1 이창무, "통행수단 선택모형의 구조적 변화에 기초한 지하철보행역세권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177-194, 2014

      2 김준, "토지이용특성별 역세권 이용자의 도보거리 추정에 관한 실증분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2

      3 오영택,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대한토목학회 29 (29): 467-472, 2009

      4 강수철, "직장인의 차량보유 결정요인 및 통근수단 선택행태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287-302, 2009

      5 김경환, "지하철과 버스의 서비스권역 비교 및 이용자들의 도보거리 추정 - 부산시를 중심으로 -" 대한토목학회 30 (30): 541-552, 2010

      6 이승일, "지하철 통근통행시간이 역세권의 공간범위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119-127, 2008

      7 최창식, "지하철 건설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공간적 영향분석- 서울 지하철 7호선을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5 (5): 1-12, 2004

      8 박한, "주상복합 거주와 지하철 이용과의 연관관계 분석: 통근통행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8 (8): 29-42, 2007

      9 김원진, "서울시 출근자의 교통수단선택 행태분석: 성남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3

      10 성현곤,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3 (23): 19-29, 2005

      11 김희정, "서울시 역세권 토지이용 유형별 녹색연계 교통수단 이용자의 선택행태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2

      12 김태호, "보행거리에 따른 역세권 내부 지가분포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 수도권 기성시가지와 신시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9 (9): 93-105, 2008

      13 김남주, "도보접근거리분포 및 주택가격변화에 따른 지하철 역세권의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중앙선 구리, 남양주시 지하철역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9-38, 2012

      14 성현곤,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효과분석 및 유도기법 적용방안" 한국교통연구원 2007

      15 김성희, "대중교통으로의 보행거리가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 36 (36): 297-307, 2001

      16 이주아, "대중교통수단별 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013

      17 정민희, "대중 교통 지향 개발 관점으로 본 주택 유형과 통행 수단 선택 특성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3 (13): 35-46, 2012

      18 윤대식, "대구지하철 역세권의 공간적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22 (22): 251-274, 2006

      19 문영일,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서울시 도시철도 역세권의 대중교통 이용수요 인과관계 모형개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149-160,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도시정책연구 -> 도시부동산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Urban Policies -> Journal of Urban Studies and Real Esta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도시정책학회 -> 한국도시부동산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Urban Policies -> Korea Urban & Real Estate Associ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