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성과 법 = Reason and the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1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reason and its role in the law. Reason i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of objective reason and subjective reason. The former refers to the objective order of the world, while the latter refers to the epistemic capacity of humans. Subjective reason is furthermo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oretical reason through which humans can know the objective world. The other is practical reason through humans can make practical norms with regard to their actions. Practical reason is human capacity to project an alternative world beyond the existing world. Practical reason is the foundation for making the law. In addition, practical reason makes it possible for legislature to choose the purpose and means of the law. Theoretical reaso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aw. Theoretical reason takes part in the formation of concepts and propositions which compose of the legal rules. It also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logical coherence of the legal rules and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for determining the contents of the legal rules. In sum, theoretical reason as well as practical reas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egisl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reason and its role in the law. Reason i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of objective reason and subjective reason. The former refers to the objective order of the world, while the latter refers to ...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reason and its role in the law. Reason i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of objective reason and subjective reason. The former refers to the objective order of the world, while the latter refers to the epistemic capacity of humans. Subjective reason is furthermo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oretical reason through which humans can know the objective world. The other is practical reason through humans can make practical norms with regard to their actions. Practical reason is human capacity to project an alternative world beyond the existing world. Practical reason is the foundation for making the law. In addition, practical reason makes it possible for legislature to choose the purpose and means of the law. Theoretical reaso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aw. Theoretical reason takes part in the formation of concepts and propositions which compose of the legal rules. It also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logical coherence of the legal rules and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for determining the contents of the legal rules. In sum, theoretical reason as well as practical reas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egisl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이성의 본질과 법에 있어서의 이성의 역할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성은 객관적 이성과 주관적 이성이라는 두 범주로 구분된다. 전자는 세계의 객관적인 질서를 지칭하는 것이며, 후자는 인간의 주관적 인식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주관적 이성은 다시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으로 구분된다. 인간은 이론이성을 통해 객관적인 세계를 인식하고 실천이성을 통해 실천적인 행위규범을 정립한다. 이성은 법을 제정하거나 적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법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실천이성이다. 실천이성은 현실적인 세계를 초월하는 대안적인 세계를 기획하는 능력으로서 법규범을 정립하는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법이 추구하는 목적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렇다고 이론이성이 법의 제정이나 집행과 무관한 것은 아니다. 이론이성은 법의 형식과 내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론이성은 법규정을 이루고 있는 다양한 개념과 명제들을 구성하고, 법규정 상호간의 논리적 체계성을 확보하며, 법규범의 내용을 확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따라서 실천이성뿐만 아니라 이론이성도 법의 제정과 적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이성의 본질과 법에 있어서의 이성의 역할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성은 객관적 이성과 주관적 이성이라는 두 범주로 구분된다. 전자는 세계의 객관적인 질서를 지칭하...

      이 논문은 이성의 본질과 법에 있어서의 이성의 역할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성은 객관적 이성과 주관적 이성이라는 두 범주로 구분된다. 전자는 세계의 객관적인 질서를 지칭하는 것이며, 후자는 인간의 주관적 인식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주관적 이성은 다시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으로 구분된다. 인간은 이론이성을 통해 객관적인 세계를 인식하고 실천이성을 통해 실천적인 행위규범을 정립한다. 이성은 법을 제정하거나 적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법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실천이성이다. 실천이성은 현실적인 세계를 초월하는 대안적인 세계를 기획하는 능력으로서 법규범을 정립하는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법이 추구하는 목적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렇다고 이론이성이 법의 제정이나 집행과 무관한 것은 아니다. 이론이성은 법의 형식과 내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론이성은 법규정을 이루고 있는 다양한 개념과 명제들을 구성하고, 법규정 상호간의 논리적 체계성을 확보하며, 법규범의 내용을 확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따라서 실천이성뿐만 아니라 이론이성도 법의 제정과 적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봉철, "현대법철학: 영어권 법철학을 중심으로" 법문사 59-, 2007

      2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362-, 2009

      3 "헌법재판소 1992.12.24, 92헌가8"

      4 백종현,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5 요하네스 헤센, "철학교과서 제3권 현실론:존재론과 형이상학 그리고 세계관론" 서광사 457-, 2011

      6 문성화, "진화론적 인식론"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1

      7 박은정, "자연법의 문제들" 세창출판사 6-9, 2007

      8 박이문, "이성의 시련" 문학과지성사 2001

      9 조극훈, "이성의 복권: 헤겔 철학과 이성사회 실현" 리북 18-, 2003

      10 화이트헤드, "이성의 기능" 통나무 35-, 1998

      1 최봉철, "현대법철학: 영어권 법철학을 중심으로" 법문사 59-, 2007

      2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362-, 2009

      3 "헌법재판소 1992.12.24, 92헌가8"

      4 백종현,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5 요하네스 헤센, "철학교과서 제3권 현실론:존재론과 형이상학 그리고 세계관론" 서광사 457-, 2011

      6 문성화, "진화론적 인식론"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1

      7 박은정, "자연법의 문제들" 세창출판사 6-9, 2007

      8 박이문, "이성의 시련" 문학과지성사 2001

      9 조극훈, "이성의 복권: 헤겔 철학과 이성사회 실현" 리북 18-, 2003

      10 화이트헤드, "이성의 기능" 통나무 35-, 1998

      11 이진우, "이성은 죽었는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 문예출판사 1998

      12 장춘익, "의사소통행위이론." 나남출판 33-, 2006

      13 백종현,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73-, 2005

      14 스피노자, "에티카" 서광사 132-, 2007

      15 김진성,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이제이북스 1003-, 2007

      16 백종현, "시대와의 대화: 칸트와 헤겔의 철학" 아카넷 244-, 2010

      17 칸트, "순수이성비판" 아카넷 2006

      18 오세혁, "법철학사" 세창출판사 74-, 2004

      19 헤겔, "법철학" 지식산업사 32-, 1996

      20 마르틴 크릴레, "법발견의 이론" 유로 2013

      21 한상수, "로스쿨시대 법학의 기초" 인제대학교출판부 330-346, 2011

      22 박구용, "도구적 이성 비판" 문예출판사 2006

      23 이경희, "데카르트의 봉상(Bon Sens) 개념, In 이성의 다양한 목소리" 철학과현실사 41-70, 2009

      24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1193-, 2006

      25 신현정, "개념과 범주화" 아카넷 28-, 2000

      26 백종현, "‘이성’ 개념의 역사" 한국칸트학회 (23) : 53-86, 2009

      27 Herbert Schnädelbach,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Reason" 1 (1): 1998

      28 Susan Neiman, "The Unity of Reason:Rereading Kant" Oxford University Press 125-129, 1994

      29 Brian Bix, "Natural Law: The Modern Tradition, In The Oxford Handbook of Jurisprudence and Philosophy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63-64, 2002

      30 Ryan Gabriel Windeknecht, "Law without Legitimacy or Justification?: The Flawed Foundations of Philosophical Anarchism" 18 (18): 2012

      31 A. John Simmons, "Justification and Legitimacy: Essays on Rights and Oblig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2 Kenneth Einar Himma, "Inclusive Legal Positivism, In The Oxford Handbook of Jurisprudence and Philosophy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125-, 2002

      33 Robert P. Wolff, "In Defence of Anarchism" Harper & Low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4 1.0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