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의 관련 요인 탐색 : 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을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Financial and Health Preparation for Retirement among the Korean Baby Boo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83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resources on retirement preparation of Korean Baby Boomers, focusing on two dimensions of retirement preparation: preparation in finance and health. A total of 3,783 non-retirees, born from 1955 to 1963, were analyzed. Psychological factors (i.e., positive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environmental mastery) and resources (i.e., retirement knowledge, financial burden, and health status) were included as predictors of retirement preparation in this study. Our findings show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ositive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environmental mastery, enhanced the level of preparation in finance and health as well as resources, specifically, retirement knowledge and financial burden. Also, significant interaction impacts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resources on retirement preparation revealed that the extent of resource determined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retirement prepar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resources on retirement preparation of Korean Baby Boomers, focusing on two dimensions of retirement preparation: preparation in finance and health. A total of 3,78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resources on retirement preparation of Korean Baby Boomers, focusing on two dimensions of retirement preparation: preparation in finance and health. A total of 3,783 non-retirees, born from 1955 to 1963, were analyzed. Psychological factors (i.e., positive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environmental mastery) and resources (i.e., retirement knowledge, financial burden, and health status) were included as predictors of retirement preparation in this study. Our findings show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ositive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environmental mastery, enhanced the level of preparation in finance and health as well as resources, specifically, retirement knowledge and financial burden. Also, significant interaction impacts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resources on retirement preparation revealed that the extent of resource determined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retirement prepa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한국의 중년층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이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직 은퇴하지 않은 베이비붐 세대(1955년에서 1963년 출생 코호트) 3,78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심리적 요인으로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기반하여 태도 요인과 지각된 행동통제 요인에 해당되는 은퇴전망과 통제감을 고려하였고, 자원 요인으로는 은퇴지식과 재정적 부담, 그리고 건강상태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요인이 은퇴 준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은퇴 후 삶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재정적 준비 수준이 높고 통제감이 높을수록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 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자원 요인이 은퇴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은퇴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 수준이 높고, 재정적 부담이 낮을수록 재정적 준비 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은퇴지식 수준이 높고 재정적 부담이 낮은 경우 은퇴 후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재정적 준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의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감이 건강 준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은퇴지식 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은퇴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의 중년층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이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본 연구는 한국의 중년층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이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직 은퇴하지 않은 베이비붐 세대(1955년에서 1963년 출생 코호트) 3,78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심리적 요인으로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기반하여 태도 요인과 지각된 행동통제 요인에 해당되는 은퇴전망과 통제감을 고려하였고, 자원 요인으로는 은퇴지식과 재정적 부담, 그리고 건강상태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요인이 은퇴 준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은퇴 후 삶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재정적 준비 수준이 높고 통제감이 높을수록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 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자원 요인이 은퇴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은퇴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 수준이 높고, 재정적 부담이 낮을수록 재정적 준비 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은퇴지식 수준이 높고 재정적 부담이 낮은 경우 은퇴 후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재정적 준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의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감이 건강 준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은퇴지식 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은퇴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윤경,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중산층 가계의 주관적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10 (10): 129-155, 2007

      2 안정신, "한국 중년성인의 심리적 복지감 척도구조와 문항정보"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75-93, 2004

      3 신계수,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96-312, 2011

      4 김인숙, "중년기 직업종사자의 은퇴 후를 대비한 재정적 준비: 공적 연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7 (17): 67-87, 2006

      5 박창제,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75-297, 2008

      6 홍성희,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89-104, 2007

      7 홍성희,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89-104, 2007

      8 안종범, "은퇴자가구의 적정 소득 대체율" 한국경제연구학회 15 : 5-34, 2005

      9 배문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 42 (42): 89-102, 2004

      10 전승훈, "은퇴 후 필요소득수준과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의 자산충분성" 한국경제학회 57 (57): 67-100, 2009

      1 여윤경,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중산층 가계의 주관적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10 (10): 129-155, 2007

      2 안정신, "한국 중년성인의 심리적 복지감 척도구조와 문항정보"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75-93, 2004

      3 신계수,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96-312, 2011

      4 김인숙, "중년기 직업종사자의 은퇴 후를 대비한 재정적 준비: 공적 연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7 (17): 67-87, 2006

      5 박창제,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75-297, 2008

      6 홍성희,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89-104, 2007

      7 홍성희,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89-104, 2007

      8 안종범, "은퇴자가구의 적정 소득 대체율" 한국경제연구학회 15 : 5-34, 2005

      9 배문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 42 (42): 89-102, 2004

      10 전승훈, "은퇴 후 필요소득수준과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의 자산충분성" 한국경제학회 57 (57): 67-100, 2009

      11 백은영, "은퇴 후 소득 적정성 및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27-51, 2008

      12 박창제, "연령별 재무적 노후준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39-166, 2008

      13 김상호, "연금자산과 가계저축: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한 실증분석" 한국경제학회 55 (55): 119-142, 2007

      14 최혜지, "사회·심리적 패러다임에 의한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중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415-434, 2005

      15 이철용,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주식 및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 LG경제연구원 2006

      16 이소정,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활동 특성과 정책과제" 4 : 2011

      17 백은영,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357-383, 2011

      18 여윤경, "목표 소득대체율을 통한 은퇴소비의 추정" 대한가정학회 40 (40): 83-97, 2002

      19 Petkoska, J.,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retirement planning" 24 : 245-251, 2009

      20 Reitzes, D., "Transition to retirement: Stages and factors that influence retirement adjustment" 59 (59): 63-84, 2004

      21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 179-211, 1991

      22 Noone, J., "The process of retirement planning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22 (22): 520-531, 2010

      23 Caliendo, F, "Short-term planning and the life-cycle consumption puzzle" 31 : 1392-1415, 2007

      24 Dorfman, L., "Retirement preparation and retirement satisfaction in the rural elderly" 8 (8): 432-450, 1989

      25 Lee, W, "Retirement planning and retirement satisfaction: The need for a national retirement program and policy in Hong Kong" 23 (23): 212-233, 2004

      26 Newmans, E, "Retirement expectations and plans: A comparison of professional men and women, in Women’s Retirement: Policy Implications of Current Research" Sage 113-112, 1982

      27 Ameriks, J, "Retirement consumption: Insights from a survey" 89 : 265-274, 2007

      28 Denton, M, "Reflexive planning for later life" 23 : 71-82, 2004

      29 Hershey, D,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40 : 687-697, 2010

      30 Noone, J, "Preretirement planning and well-being in later life: A prospective study" 31 : 295-317, 2009

      31 Schnellenberg, G, "Preparing for retirement" 78 : 8-11, 2005

      32 MacEwen, K, "Predicting retirement anxiety: The roles of parental socialization and personal planning" 135 (135): 203-209, 1995

      33 Kim, J., "Moving into retirement: Preparation and transitions in late midlife, In The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John Wiley 487-527, 2001

      34 Hershey, D, "Mapping the minds of retirement planners: A cross-cultural perspective" 38 : 361-382, 2007

      35 Lusardi, A., "Information, expectations, and savings for retirement, In Behavioral Dimensions of Retirement Economics" Brookings Institution and Russell Sage Foundation 81-115, 1999

      36 Lusardi, A., "How ordinary consumers make complex economic decisions: Financial literacy and retirement readiness" National Bureau 2009

      37 Glass J. Jr, "Financial planning for retirement: An imperative for baby boomer women" 24 : 595-617, 1998

      38 Joo, S, "Factors affecting workers’ retirement confidence: A gender perspective" 13 (13): 1-10, 2002

      39 Joo, S, "Factor associated with seeking and using professional retirement-planning help" 30 : 37-63, 2001

      40 Noone, J, "Do men and women differ in their retirement planning? Testing a theoretical model of gendered pathways to retirement preparation" 32 (32): 715-738, 2010

      41 Lusardi, A., "Baby boomers retirement security: The role of planning, financial literacy and housing wealth" 54 : 205-224, 2007

      42 Topa, 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retirement planning and decision-making: A meta-analysis and model" 75 : 38-55, 2009

      43 Richardson, V., "Adjustment to retirement: continuity vs discontinuity" 32 (32): 151-169, 1991

      44 차경욱, "20, 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149-164,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