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취수정에서 필터층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Experimental Study on Effects of Filter Layers in Pumping Wel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17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실내시험을 통해 필터층을 가진 충적층 지하수 정호에 대한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중필터층과 단일필터층을 모사한 시험장치를 제작하여 시험 및 분석을 수행하여...

      본 연구는 실내시험을 통해 필터층을 가진 충적층 지하수 정호에 대한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중필터층과 단일필터층을 모사한 시험장치를 제작하여 시험 및 분석을 수행하여 초기취수량, 취수효율,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초기 60분 이내 취수량을 분석하면, 이중필터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초기 취수량이 약 19.4%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험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 취수량을 분석한 결과 이중필터취수정이 단일필터 취수정에 비해 68.9%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험결과를 토대로 취수량이 50% 이하로 저감되는 시점을 유추해 보면 단일필터의 경우 약 1.35일의 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중필터의 경우 38.66일 소요되어 장기적인 안정성 면에서 이중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groundwater well installed in alluvial aquifer that has filter layers, using laboratory experiment. We manufactured test equipment that can simulate dual filter layer and single filter la...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groundwater well installed in alluvial aquifer that has filter layers, using laboratory experiment. We manufactured test equipment that can simulate dual filter layer and single filter layer and evaluated the initial volume of water intake, pumping efficiency, and long term stability using the experiment and analysis. In an early stage within 60 minutes, the case that took the dual filter showed an increase of 19.4 % in the initial volume of water intake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it. It was found that after 24 hours of the test, the well installed with the dual filter showed higher than 68.9% compared to the well with single filter. It was calculated that it took 1.35 days to reach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half of the water intake in case of single filter while it took 38.66 days to do so in case of dual filter.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 well with dual filter is much more favorable in the long term st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상호, "청주 상대리지역에서 수막재배가 지하수-하천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9 (49): 105-120, 2016

      2 문상호, "청원-충주지역 수막재배용 지하수 사용량 및 배출량 분석" 대한지질공학회 22 (22): 387-398, 2013

      3 김규범, "강변여과수 개발지역 우물 개량시 철망간 저감 효과" 대한지질공학회 19 (19): 389-400, 2009

      4 Stallman, R. W., "observation and data analysis: U.S. Geological Survey Techniques of Water-Resource Investigations, Book 3"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3

      5 Paul, D. G., "The Fig. 9. Trend line of flow-rate for dual filter and single filter. effect of construction, installation, and development on the turbidity of water in monitoring wells in fine-grained glacial till" 8 (8): 73-82, 1988

      6 Bedinger, M. S., "Practical guide to aquifer tests analysis"

      7 Kraemer, C. A., "Practical Handbook of Ground-Water Monitoring" Lewis Publishers, Inc 334-342, 1991

      8 U.S. EPA, "Operation and Maintenance Inspection Guide"

      9 Lapham, W. W., "Guidelines and standard procedures for studies of groundwater quality,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Wells and Supporting Documentation" U.S. Geological Survey 110-, 1997

      10 Driscoll, F. G., "Groundwater and Wells" Johnson Division 1986

      1 문상호, "청주 상대리지역에서 수막재배가 지하수-하천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9 (49): 105-120, 2016

      2 문상호, "청원-충주지역 수막재배용 지하수 사용량 및 배출량 분석" 대한지질공학회 22 (22): 387-398, 2013

      3 김규범, "강변여과수 개발지역 우물 개량시 철망간 저감 효과" 대한지질공학회 19 (19): 389-400, 2009

      4 Stallman, R. W., "observation and data analysis: U.S. Geological Survey Techniques of Water-Resource Investigations, Book 3"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3

      5 Paul, D. G., "The Fig. 9. Trend line of flow-rate for dual filter and single filter. effect of construction, installation, and development on the turbidity of water in monitoring wells in fine-grained glacial till" 8 (8): 73-82, 1988

      6 Bedinger, M. S., "Practical guide to aquifer tests analysis"

      7 Kraemer, C. A., "Practical Handbook of Ground-Water Monitoring" Lewis Publishers, Inc 334-342, 1991

      8 U.S. EPA, "Operation and Maintenance Inspection Guide"

      9 Lapham, W. W., "Guidelines and standard procedures for studies of groundwater quality,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Wells and Supporting Documentation" U.S. Geological Survey 110-, 1997

      10 Driscoll, F. G., "Groundwater and Wells" Johnson Division 1986

      11 Lohman, S. W., "Groundwater Hydraulics"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 The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83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