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論文は近世の韓日における男子袍に現れた素材の特性を知るために、朝鮮時代と桃山․江戸時代の袍に現れた織物の種類、織り方、表現方法などを調べ、これらを通じて韓国と日本の...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13891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7-186(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論文は近世の韓日における男子袍に現れた素材の特性を知るために、朝鮮時代と桃山․江戸時代の袍に現れた織物の種類、織り方、表現方法などを調べ、これらを通じて韓国と日本の...
本論文は近世の韓日における男子袍に現れた素材の特性を知るために、朝鮮時代と桃山․江戸時代の袍に現れた織物の種類、織り方、表現方法などを調べ、これらを通じて韓国と日本の衣服文化の相違点と類似点を比較研究することにその目的を置いている。研究結果から、朝鮮時代の男子袍は多様な構成線の変化にともなう形態美を追求し、素材の表面装飾は目立たない反面、桃山․江戸時代は表面装飾の変化を重要視して、模様表現と色彩美を追求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特に両国の庶民文化の発達は袍に使われた織物に影響を与えたが、その様相は異なって現れた。すなわち、朝鮮時代は上流層の衣服に追従して、模倣した反面、桃山․江戸時代は庶民の服飾が大衆化するという相反した現象が現われ、同じ用途の普段着の袍といえども両国間において差があることが分かる。これを通じて、朝鮮時代と桃山․江戸時代の袍に現れた織物には、新しく浮び上がった社会主体勢力の指向による当時の社会像がよく反映しており、両国の状況には差が多少あったと見られる。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희, "한중일 남염(藍染)의 비교" 중앙대학교 2002
2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개정판" 교문사 331-, 2006
3 민길자, "한국 전통 직물사 연구" 한림원 2-, 2000
4 조효숙, "한국 전동복식 2천년사" 국립대구박물관 151-, 2002
5 노수정, "조선시대 후기와 에도시대의 식물무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7
6 김주영, "조선시대 철릭의 피륙(織物)연구" 단국대학교 2003
7 정영호, "조선시대 우리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80-, 2006
8 조효숙, "전통염색과 문양-한국복식 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205-, 1995
9 이화영, "일본직물에 관한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1992
10 류정순, "근세 한일 남자포의 색채 및 문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근대학회 26 (26): 131-150, 2009
1 박지희, "한중일 남염(藍染)의 비교" 중앙대학교 2002
2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개정판" 교문사 331-, 2006
3 민길자, "한국 전통 직물사 연구" 한림원 2-, 2000
4 조효숙, "한국 전동복식 2천년사" 국립대구박물관 151-, 2002
5 노수정, "조선시대 후기와 에도시대의 식물무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7
6 김주영, "조선시대 철릭의 피륙(織物)연구" 단국대학교 2003
7 정영호, "조선시대 우리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80-, 2006
8 조효숙, "전통염색과 문양-한국복식 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205-, 1995
9 이화영, "일본직물에 관한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1992
10 류정순, "근세 한일 남자포의 색채 및 문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근대학회 26 (26): 131-150, 2009
11 류정순, "근세 한일 남자포(男子袍)의 형태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일본근대학회 24 (24): 139-156, 2009
12 松本包夫, "正倉院裂と飛鳥天平の染物" 紫紅社 167-, 1984
13 小池三枝, "日本服食史" 光生館
14 丸山伸彦, "日本の美術 9-武家の服飾 No.340" 至文堂 1994
15 河上繁樹, "日本の美術 8-公家の服飾" 至文堂 1994
16 北村哲郞, "日本の織物" 原流社 1988
17 Colohester.Chloe, "The New Textiles" Thames and Hudson 5-, 1990
朝鮮語學習書 韓語通 の言語學的一考察 -動詞についての記述を中心に-
일한 관광사업 발전시기의 공적규제비교 -공적규제의 특징, 전개과정의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524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