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방소영,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 53 (53): 29-47, 2015
2 유구종, "유치원 물리적 환경 변인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7-201, 2014
3 김은영, "유치원 교실의 문해환경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자발적 쓰기활동에 관한 연구: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25-345, 2009
4 문명화,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 - 유아의 상호작용,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127-147, 2020
5 방은정,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10 (10): 25-52, 2015
6 이수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85-410, 2014
7 임현주, "유아의 성별과 출생순위, 어머니변인 및 가정환경,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47-264, 2015
8 서석원,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실환경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54 (54): 293-305, 2016
9 김정화, "유아교실의 문식성 환경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8 (28): 101-113, 2007
10 박남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7 (17): 143-160, 2021
1 방소영,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 53 (53): 29-47, 2015
2 유구종, "유치원 물리적 환경 변인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7-201, 2014
3 김은영, "유치원 교실의 문해환경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자발적 쓰기활동에 관한 연구: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25-345, 2009
4 문명화,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 - 유아의 상호작용,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127-147, 2020
5 방은정,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10 (10): 25-52, 2015
6 이수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85-410, 2014
7 임현주, "유아의 성별과 출생순위, 어머니변인 및 가정환경,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47-264, 2015
8 서석원,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실환경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54 (54): 293-305, 2016
9 김정화, "유아교실의 문식성 환경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8 (28): 101-113, 2007
10 박남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7 (17): 143-160, 2021
11 천향숙, "유아교사의 교수스트레스와 갈등적 교사-유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2) : 87-103, 2012
12 손희진,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5 (35): 191-209, 2014
13 정대현, "유아 의 또래 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01-221, 2006
14 문명화,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실환경,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학습준비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9 (19): 23-45, 2020
15 박성덕, "부모, 교사,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2 (22): 229-251, 2016
16 권미성,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77-296, 2013
17 이지현, "문항묶음: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 35 (35): 327-353, 2016
18 김규수,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실 문해환경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49-74, 2012
19 최효식,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39-356, 2015
20 이선경, "교실환경,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과 또래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25-945, 2016
21 임현주,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12 (12): 153-175, 2020
22 권영애,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115-129, 2017
23 노승희,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놀이행동, 교수효능감 및 교실환경 간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27-50, 2018
24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25 Bredekamp, V. S.,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and procedures of a national accreditation system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University of Maryland 1985
26 Holloway, S. D.,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3 (3): 39-53, 1988
27 Shim, S. Y., "The influence o f Korean preschool teachers’ work environments and self-efficacy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38 (38): 319-339, 2017
28 Goble, P.,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free choice and teacher-directed activity settings : Prediction to school readiness" 28 (28): 1035-1051, 2017
29 Hamre, B. K., "Teachers’ perceptions of conflict with young students : Looking beyond problem behaviors" 17 (17): 115-136, 2008
30 Yoon, J., "Teacher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 Stress, negative affect, and self-efficacy" 30 (30): 485-494, 2002
31 Kim, K. 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Hannarae 2007
32 Huh, M. H., "Statistical methodology" Hannarae 2008
33 Howes, C., "Social-emotional classroom climate in child care, child-teacher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econd grade peer relations" 9 (9): 191-204, 2000
34 May, D. C., "School readiness practices and children at-risk : Examining the issues" 34 (34): 73-84, 1997
35 Pagani, L. S.,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 a French Canadian replication and extension" 46 (46): 984-994, 2010
36 Duncan, G. J.,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43 (43): 1428-1446, 2007
37 Maxwell, K., "Research in review : School readiness assessment" 59 (59): 42-46, 2004
38 Halle, T. G., "Profiles of school readiness among four-year-old Head Start children" 27 (27): 613-626, 2012
39 Hess, R. D., "Maternal variables as predictors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in vocabulary and mathematics in sixth grade" 55 (55): 1902-1912, 1984
40 Schaefer, B. A., "Learning behavior and intelligence as explanations for children’s scholastic achievement" 37 (37): 299-313, 1999
41 Rouse, C., "Introducing the issue" 15 (15): 5-14, 2005
42 Bandura, A.,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5 (5): 307-337, 2006
43 Entwisle, D. R., "First grade and educational attainment by age 22 : A new story" 110 (110): 1458-1502, 2005
44 Murphey, D. A.,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community assessment of school readiness" 4 (4): n2-, 2002
45 김연하,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69-191, 2008
46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154 : 136-136, 1993
47 Seo, M. H.,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hild-care facility accreditation implementation and promotion plan" Child Care Policy Development Center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