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글문화원"
2 안상수, "한글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09
3 류현국, "한글 활자의 탄생" 홍시 2015
4 구자은, "한글 가로짜기 전환에 대한 사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5 원유홍,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 안그라픽스 2012
6 "타이포그라피 잡지 히읗"
7 "칠십년대 잡지광고, 2013년 프로파간다"
8 노은유, "최정호 한글꼴의 형태적 특징과 계보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9 박병천, "조선시대 한글 서간체 연구" 다운샘 2007
10 이정우, "접힘과 펼쳐짐 : 라이프니츠와 현대" 그린비 2012
1 "한글문화원"
2 안상수, "한글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09
3 류현국, "한글 활자의 탄생" 홍시 2015
4 구자은, "한글 가로짜기 전환에 대한 사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5 원유홍,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 안그라픽스 2012
6 "타이포그라피 잡지 히읗"
7 "칠십년대 잡지광고, 2013년 프로파간다"
8 노은유, "최정호 한글꼴의 형태적 특징과 계보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9 박병천, "조선시대 한글 서간체 연구" 다운샘 2007
10 이정우, "접힘과 펼쳐짐 : 라이프니츠와 현대" 그린비 2012
11 "양장점 펜바탕 Regular 견본집"
1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3 안병학, "비선형 의미 구조를 활용한 잠재 타이포그라피 실험"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285-295, 2015
14 이지원, "바른지원체"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4 (4): 2012
15 마셜 맥루언,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12
16 유지원, "라틴 알파벳의 이탤릭체와 한글의 흘림체 비교연구"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1 (1): 2009
17 최정화, "굴림체의 조형적 특징과 선호도 분석"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3 (3): 2011
18 정영훈, "강조 및 인용 표시를 위한 한글 글자체 디자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6 (6): 54-68, 2014
19 Andrew Haslam, "Lettering a refrence manual of techniques" Laurence King publishing 2001
20 Joep Pohlen, "Letter Fountain" Taschen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