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네 번째 영역인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한국문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46418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43(1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네 번째 영역인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한국문화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네 번째 영역인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한국문화 영역에 대한 실질적인 출제 범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문화 과목과 하위영역의 출제 빈도를 살펴보고 문항반응이론을통해 한국문화 영역 문항에 대한 난이도와 변별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 영역의 적정 출제 범위는 한국의 현대문화, 한국 역사, 현대한국사회 과목 및 그하위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안된 적정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문항 출제 경향성을 파악한 결과, 현대한국사회 관련 문항의 출제 빈도는 한국의 현대문화 및 한국역사 관련 문항 출제 빈도보다 극히 적게 확인되었다. 셋째,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 분석 결과, 극단적 난이도와 변별도 출현이 다수 목격되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확보를 위한 실제적인 방안이 논의되었다.
만성 조현병 당사자 밴드가 경험한 커뮤니티 음악치료 사례 연구: <광장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봉화 지역어의 세대별 실현 양상과 청소년층의 방언 전환 - 움라우트와 고모음화를 중심으로 -
휴타고지 시대의 고등교육 방안 :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 ![]() |
2022-03-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4-03-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