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관광 목적에 따른 중국인 관광객의 관광 정보 탐색 행동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파워를 조절변수로 = Chinese Tourists’ Information Retrieval Behavior according to the travel purpose Influencing Rerisit Intention: Psychological Poweras a Moderating Variab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98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관광객의 관광 목적이 온라인 여행 포탈을 통한 관광 정보탐색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파워에 따른 관광 정보 탐색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선행 연구 및 참고 문헌 등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체계를 갖추었다. 그리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c-trip과 Qunar사이트를 이용 해서 방한 관광 상품을 구매하는 중국인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 방식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2021년 01월 05일부터 02월 05일까지 한달간 실시하였으며, 총 348부의 유효표본을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분석은 설문 조사를 통해 회수된 유효 표본을 가지고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학과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둘쨰, 관광 목적, 관광 정보 탐색, 재방문 의도, 심리적 파워 변수들에 대한 측정 모델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관광목적과 관광 정보 탐색의 관계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관광 정보탐색과 재방문 의도의 관계를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해서 분석하였고, 관광 정보 탐색과 재방문 의도 사이 심리적 파워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학 특성을 파악한 결과, 대학교를 졸업(56%)한 20~29세(32%) 여성(63%) 저소득(연 10만 위안)인구가 제일 많았다.
      둘째,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최근 3년간 온라인 여행포탈1~2개를 사용한 횟수는 1~3회, 사용한 시기는 3년 이상인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저렴한 가격으로 관광 상품 구입이 가능한 이유로는 온라인 여행 포탈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행 포탈에서 가장 많이 구매한 것은 이동 와이파이다. 단순한 관광 목적을 가지고 한국을 방문한 관광객 중에서 동반자는 가족(26%)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셋째, 신뢰도 분석결과는 Cronbach'a > 0.6 기준으로 관광 목적, 관광 정보 탐색, 재방문 의도, 심리적 파워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분석의 결과, 관광 목적은 일탈·휴식, 사교·한류소비, 지식 확대 체험, 단순 방문 등 4개의 요인으로 묶인다. 관광 정보 탐색은 여행지의 물리적 환경 정보 탐색, 사회·경제·문화·이벤트·쇼핑 정보 탐색, 여행지 정보 탐색, 여행 경비·일정 정보 탐색 4개의 요인로 묶인다. 재방문 의도는 한 가지 요인으로 축약되었고, 심리적 파워는 한가지 요인으로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가설1에 대한 검증 결과, 관광 목적이 온라인 여행 포탈을 이용한 관광 정보 탐색 활동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목적의 하위 요인인 일탈·휴식, 사교·한류 소비, 지식확대체험 등 관광 정보 탐색의 모든 하위 요인이 관광 정보 탐색 활동에 대해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단순 방문 목적은 관광 정보 탐색에 대해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나탔다.
      다섯째, 가설2에 대한 검증 결과, 중국인 관광객들의 온라인 여행 포탈을 이용한 관광 정보 탐색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중국인 관광객들의 온라인 여행 포탈을 이용한 관광 정보 탐색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파워가 순수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심리적 파워가 높을수록 관광 정보 탐색은 재방문 의도에 대한 정적 영향이 약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관광객의 관광 목적이 온라인 여행 포탈을 통한 관광 정보탐색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파워에 따른 관광 정보 탐색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

      본 연구는 관광객의 관광 목적이 온라인 여행 포탈을 통한 관광 정보탐색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파워에 따른 관광 정보 탐색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선행 연구 및 참고 문헌 등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체계를 갖추었다. 그리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c-trip과 Qunar사이트를 이용 해서 방한 관광 상품을 구매하는 중국인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 방식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2021년 01월 05일부터 02월 05일까지 한달간 실시하였으며, 총 348부의 유효표본을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분석은 설문 조사를 통해 회수된 유효 표본을 가지고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학과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둘쨰, 관광 목적, 관광 정보 탐색, 재방문 의도, 심리적 파워 변수들에 대한 측정 모델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관광목적과 관광 정보 탐색의 관계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관광 정보탐색과 재방문 의도의 관계를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해서 분석하였고, 관광 정보 탐색과 재방문 의도 사이 심리적 파워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학 특성을 파악한 결과, 대학교를 졸업(56%)한 20~29세(32%) 여성(63%) 저소득(연 10만 위안)인구가 제일 많았다.
      둘째,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최근 3년간 온라인 여행포탈1~2개를 사용한 횟수는 1~3회, 사용한 시기는 3년 이상인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저렴한 가격으로 관광 상품 구입이 가능한 이유로는 온라인 여행 포탈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행 포탈에서 가장 많이 구매한 것은 이동 와이파이다. 단순한 관광 목적을 가지고 한국을 방문한 관광객 중에서 동반자는 가족(26%)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셋째, 신뢰도 분석결과는 Cronbach'a > 0.6 기준으로 관광 목적, 관광 정보 탐색, 재방문 의도, 심리적 파워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분석의 결과, 관광 목적은 일탈·휴식, 사교·한류소비, 지식 확대 체험, 단순 방문 등 4개의 요인으로 묶인다. 관광 정보 탐색은 여행지의 물리적 환경 정보 탐색, 사회·경제·문화·이벤트·쇼핑 정보 탐색, 여행지 정보 탐색, 여행 경비·일정 정보 탐색 4개의 요인로 묶인다. 재방문 의도는 한 가지 요인으로 축약되었고, 심리적 파워는 한가지 요인으로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가설1에 대한 검증 결과, 관광 목적이 온라인 여행 포탈을 이용한 관광 정보 탐색 활동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목적의 하위 요인인 일탈·휴식, 사교·한류 소비, 지식확대체험 등 관광 정보 탐색의 모든 하위 요인이 관광 정보 탐색 활동에 대해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단순 방문 목적은 관광 정보 탐색에 대해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나탔다.
      다섯째, 가설2에 대한 검증 결과, 중국인 관광객들의 온라인 여행 포탈을 이용한 관광 정보 탐색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중국인 관광객들의 온라인 여행 포탈을 이용한 관광 정보 탐색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파워가 순수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심리적 파워가 높을수록 관광 정보 탐색은 재방문 의도에 대한 정적 영향이 약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문제 제기 1
      • 제2절 연구의 목적 6
      •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8
      • 제4절 연구의 방법 및 체계 11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문제 제기 1
      • 제2절 연구의 목적 6
      •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8
      • 제4절 연구의 방법 및 체계 11
      • 제5절 연구의 의의 14
      • 제2장 이론적 배경 17
      • 제1절 온라인 여행 포탈 17
      • 1. 온라인 여행사(OTO)의 개념 17
      • 2. 온라인 여행 포탈(Online Travel Portal)의 개념 20
      • 3. 온라인 여행 포탈 발전 및 현황 22
      • 4. 온라인 여행 포탈에 관한 기존 연구 25
      • 제2절 관광 목적 28
      • 1. 관광 목적의 개념 28
      • 2. 관광 목적에 관한 기존 연구 31
      • 제3절 관광 정보 탐색 34
      • 1. 관광 정보 탐색의 개념 34
      • 가. 관광 정보의 개념 34
      • 나. 정보 탐색의 개념 36
      • 2. 관광 정보의 유형 39
      • 3. 중국인의 관광 정보 탐색 실태 41
      • 4. 관광 정보 탐색에 관한 기존 연구 42
      • 제4절 재방문 의도 48
      • 1. 재방문 의도의 개념 48
      • 2. 재방문 의도에 관한 기존 연구 52
      • 제5절 심리적 파워 56
      • 1. 심리적 파워의 개념 56
      • 2. 심리적 파워의 특성 57
      • 3. 심리적 파워에 관한 기존 연구 59
      • 제3장 연구 조사 설계 -63
      • 제1절 연구의 모형 및 가설 63
      • 1. 연구 모형 63
      • 2. 연구 가설 64
      • 가: 관광 목적이 관광 정보 탐색에 미치는 영향 65
      • 나: 관광 정보 탐색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66
      • 다: 관광 정보 탐색와 재방문 의도간 심리적 파워의 조절 역할 67
      •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의 개발 70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70
      • 가: 온라인 여행 포탈 70
      • 나: 관광 목적 70
      • 다: 관광 정보 탐색 71
      • 라: 재방문 의도 72
      • 마: 심리적 파워 72
      • 2. 측정 도구의 개발 72
      • 제3절 연구 조사 설계 76
      • 1. 표본 설계 및 추출 76
      • 2. 분석 방법 77
      • 제4장 분석 결과 79
      • 제1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79
      • 1. 조사 대상자의 인구 통계 학적 특성 79
      • 2.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0
      • 제2절 가설 검증을 위한 기초 분석 83
      • 1. 관광 목적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 84
      • 2. 관광 정보 탐색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 85
      • 3. 재방문 의도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 87
      • 4. 심리적 파워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 88
      • 제3절 가설 검증 89
      • 1. 가설1의 검증 89
      • 2. 가설2의 검증 92
      • 3. 가설3의 검증 93
      • 제5장 결론 96
      •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96
      • 제2절 연구의 시사점 101
      • 1. 이론적 시사점 101
      • 2. 실무적 시사점 103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06
      • 참고 문헌 107
      • 1.국내 문헌 107
      • 2. 국외 문헌 123
      • 설문지 13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관광마케팅, 이정학, , 2019

      2. (201), 마케팅, 윤만희, 박종무, 박명호, 경문사, , 2014

      3. 소비자행동론, 홍성태, 임종원, 이유재, 경문사, , 1999

      4. 소비자 행동론, 임종원, 서울: 경문사, , 1997

      5. 외래관광객실태조사., 관광지식정보시스템, , 2017

      6. IT기업 체험매장의 효과, 한계숙, 『유통연구』. 12(2). 1-22, , 2007

      7. 국민 해외여행 실태조사, 중국관광연구원, 중국관광연구원, , 2019

      8. 관광안내시스템 구축방안, 김향자, 『한국관광연구원』. 1999, , 1999

      9. 인터넷 핫이슈 포털 사이트, 박철우, 안중호, 『LG주간경제, , 2000

      10. 인터넷 핫이슈, 포탈 사이트, 이계평, 『LG주간경제』. 42-47, , 1999

      1. 관광마케팅, 이정학, , 2019

      2. (201), 마케팅, 윤만희, 박종무, 박명호, 경문사, , 2014

      3. 소비자행동론, 홍성태, 임종원, 이유재, 경문사, , 1999

      4. 소비자 행동론, 임종원, 서울: 경문사, , 1997

      5. 외래관광객실태조사., 관광지식정보시스템, , 2017

      6. IT기업 체험매장의 효과, 한계숙, 『유통연구』. 12(2). 1-22, , 2007

      7. 국민 해외여행 실태조사, 중국관광연구원, 중국관광연구원, , 2019

      8. 관광안내시스템 구축방안, 김향자, 『한국관광연구원』. 1999, , 1999

      9. 인터넷 핫이슈 포털 사이트, 박철우, 안중호, 『LG주간경제, , 2000

      10. 인터넷 핫이슈, 포탈 사이트, 이계평, 『LG주간경제』. 42-47, , 1999

      11. 관광안내정보 표준 기본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 연구원, , 2005

      12. 한식당의 선택속성, 고객만족, 김경민, 최병창, 재방문의도 간의 구 조관계 연구. 29(6). 273-290, , 2015

      13. 『사이버 관광사업 육성방안』, 김대관, 나무위기. 포털 사이트. namu.wiki/w/포털%20사이트, , 2000

      14. 관광안내정보 시스템 구축 방안, 한국관광연구원, , 1999

      15. 기획-해외OTA의 영향과 대응방향, 이정민, Trawel DAILY』, , 2017

      16. 어촌관광 방문동기에 관항 연구, 신동주, 손재영, 『관광학연구』. 32(3). 255-273, , 2008

      17. 1984-2018년 출입국 국가별 월별통계, 한국관광공사, , 2018

      18. 문화유산관광자의 특성과 유형 분류, 박은경, 현호, 『관광경영연 구』. 2015(65). 151-168, , 2015

      19. 관광정보 탐색 행동유형에 관한 연구, 박재헌, 황현철, 『산업경제 연구』. 13(2). 215-232, , 2001

      20. 한국 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세장세분화, 박천우, 『생산성논집』. 22(2). 187-210, , 2008

      21. SOC사업 추진상의 사회적 갈등 해소방안, 교통개발연구원, , 1994

      22. 모니터 각도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민동원, 『상품학연구』. 31(5). 61-72, , 2013

      23. 온라인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이보미, 이형룡, 『대한관 광경영학회 학술연구발표 논문집』. 174-187, , 2008

      24. 효과적 관광 Website를 위한 Site Content분석, 최병긴, 『관광경영 연구』. 8(1). 357-378, , 2004

      25. 온라인 여행사의 브랜드 인지도 강화 전략, 서임정, 『ceri엔터테인 먼트연구』. 2004(2). 139-162, , 2004

      26. THAAD배치와 중국 정부의 관광산업 제한조치, 이재민, 『국제경제 법연구』. 15(2). 7-42, , 2017

      27. 국 내외 온라인 여행사 이용객의 유형 분석, 홍정우, 유형숙, 김미정, 『관광레저연구』. 31(10). 207-223, , 2019

      28. 여행 목적 통행의 교통수단 선택행태 모 형, 고승영, 김동규, 『한국ITS학회 학술대회 』. 2009(1). 60-66, , 2011

      29. 국외관광자 관광상품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이시우, 『관광경영연 구』. 2002(14). 190-215, , 2002

      30. 문화관광객 류형 분류에 의한 세분시장 분석, 오정학, 윤유식, 『관광학연구』. 34(8). 167-189, , 2010

      31. 온라인 여행사서비스의 수용 영향요인 연 구, 강명수, 이정훈,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2016. 118-119, , 2016

      32. 중국인 재방문 유치 전략에 관한 탐새적 연구, 김진선, 김병헌, 『관광진흥연구』. 3(1). 37-54, , 2015

      33. AHP 기법을 사용하 관광포털사 이트 평가 연구., 김근형, 문성종, 김민철, 이성준, 『한국경영경제연구』. 6(2). 91-105., , 2006

      34. 관광지내의 관광정보 서비스 체계에 관한 연구, 이명진, 『관광레 저연구』. 6(1). 69-93, , 1994

      35. 항공, 관광, 서비스 산업의 융합과 글로벌 경영, 윤지영, 이민우, 『한국항공경영학회』. 2004. 181-191, , 2004

      36. 전통문화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강, 하정화, 『Tourism Research』. 40(1). 205-225, , 2015

      37. 지능형 가상 관 광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이태종, 김기석, 조현호, 송근원, 김석출, 유영준, 『한국지방정부학회』. 4(2). 337-365, , 2001

      38. 해외여행객의 위험지각과 관광정보탐색의 관계, 김정훈, 최해수, 이상건, 『觀光硏究』. 25(2). 317-340, , 2010

      39. 관광정보에 대한 인지 감정과 관광정보탐색시간, 이준남, 『국제 관광학회 학술대회』. 2006. 129-150, , 2006

      40. 방한 중국인관광객의 뷰티관광 소비에 관한 연구, 김병혁, 『뷰티 산업연구』. 8(2). 5-26, , 2014

      41. “소비자만족에 미치는 호텔서비스 환경의 영향”, 조선배, 『관광학 연구』. 19(1). 89-104, , 1995

      42. 관광교육 서비스 평가, 만족,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최규환, 『소 비문화연구』. 2005(8). 135-152, , 2005

      43. 축제 체험요인과 축제만족,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현혜경, 『한국 컨텐츠학회지』. 14(9). 494-50, , 2014

      44. 관광객의 특성, 관광동기와 정보탐색행동간의 관련성, 강재정, 『産 經論集』. 2003(18). 1-22, , 2003

      45. 관광정보탐색관여가 만족 및 탐색의도에 미치는 영향, 손일락, 이혜미, 『호텔경영학연구』. 27(3). 207-217, , 2018

      46. 관광정보탐색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행동에 관한 연구, 안지미, 이병철, 『관광레저연구』. 26(3). 25-44, , 2014

      47. 중국 관광객의 여행 행동 및 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병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6(1). 47-63, , 2018

      48. 대학생의 웹사이트를 통한 여행정보 탐색에 관한 연구, 문혜영, 배기형, 『관광레저연구』. 24(3). 247-262, , 2012

      49. 관광객 유형에 따른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헌철, 『Tourism Research』. 44(3). 21-39, , 2019

      50. 온라인 여행사 셰청왕(携程網(Ctrip))과 상하이 여행문화, 최은진, 『관광연구저널』. 29(1). 19-33, , 2015

      51. 추자도 관광객의 관광동기 유형별 만족 및 재방문 연구, 이진희, 허유순, 『관광연구저널』. 33(1). 141-155, , 2019

      52. 근린체육시설 서비스폼질과 관여도, 재방문의도의 관계, 조태수, 최종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3(1). 13-25, , 2008

      53. 온라인 여행업의 신뢰, 고객만족, 재구매 의도와의 관계, 김미자, 『여행학연구』. 2005(23). 209-224, , 2005

      54. 축제관광객의 유형세분화와 SWOT분석을 이용한 운영전략, 한성호, 『관광학연구』. 33(1). 365-380, , 2009

      55. IPA 모델을 적용한 중국 온라인 여행사 e-서비스품질 분석, 김연성, 김서영, 담단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눈문지』. 6(10). 509-517, , 2016

      56. 관광 웹사이트와 여행정보 탐색자 관계형성의 선 행변수, 成俊虎, 嚴瑞浩, 『관광학연구』. 26(1). 275-284, , 2002

      57. 섬 관광객의 관광동기가 섬관광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안태기, 『관광경영연구』, 21(6). 29-47, , 2017

      58. 심리적 파워가 보상형 크라우드펀딩 참여에 미치는 영향, 구지은, 『마케팀관리연구』. 25(3). 1-16, , 2020

      59. 중국 외식소비자 SNS구전정보가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강, 진문강, 양리화, 『동북아고나광학회』. 15(2). 243-263, , 2019

      60. 관광 안내정보 웹사이트 특성이 고객행동 에 미치는 영향, 한혜숙, 허경석, 변정우, 『호텔경영학회』. 16(4). 135-147, , 2007

      61. 관광지 전문성이 관광정보 탐색 비용에 미치는 영향 고찰, 유예경, 오세현, 류지호, 『觀光硏究』. 32(5). 379-397, , 2017

      62. 소셜 미디어 정보가치와 관광정보 탐색행동에 관 한 연구, 정희진, 이계희, 『관광학연구』. 36(5). 289-308, , 2012

      63. 여행 목적과 관광객 만족에 의한 생태관광객 동기 세분화, 오민재, 이소연, 『관광연구저널』. 22(1). 277-290, , 2008

      64. 전시회 서비스 속성의 중요도-만족도간의 차이 비교 분석, 조민, 이원옥, 『大韓經營學會誌』. 24(30). 1519-1537, , 2011

      65. 한국의 전자상거래시장에 있어 온라인 여행업의 방향모색, 장희정, 양위주, 『경제경영연구』. 2001(2). 55-80, , 2001

      66. 섬 방문객의 관광동기가 관광 후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 구, 김재호, 『관광경영연구』. 18(4). 125-145, , 2014

      67. 이용자 특성별 온라인 여행업체(OTA) 선택속성에 관한 연 구, 곽대영, 『관광진흥연구』. 8(1). 101-117, , 2020

      68. 패키지 관광일정표에 대한 관광자 정보탐색욕구유 형 고찰, 김남조, 김종상, 『觀光硏究』. 27(4). 141-160, , 2012

      69. 스마트폰을 활용한 관광정보탐색이 삷의 질에 미 치는 영향, 김남조, 이진희, 『觀光硏究論叢』. 2019(86). 371-375, , 2019

      70. 온라인 여행업에서 구매의도에 대한 태도의 매개 변수 역할, 이보미, 이형륭, 『관광연구』. 23(2). 283-304, , 2008

      71. 온라인 여행업에서 구매의도에 대한 태도의 매개변수 역 할, 하홍열, 『서비스경영학회지』. 10(2). 59-84, , 2009

      72. 중국인 관광객의 해외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도 비교분 석, 장치밍, 『한국관광학회』. 2019(86). 1081-1089, , 2019

      73. 지역관광정보 웹사이트의 효과적인 구축 방안에 관한 연 구, 채예병, 『觀光政策學硏究』. 4(2), 223-244, , 1998

      74. 항공승객의 여행목적별 항공사 선택속성 차이에 관 한 연구, 김홍범, 김경숙, 『관광학연구』. 21(1). 66-84, , 1997

      75. 슬로우 투어리즘의 만족과 재방문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최병길, 『관광연구저널』. 23(3). 375-389, , 2011

      76. 제주도 관광지의 관광동기유형에 따른 관광만족에 관한 연구, 이진희, 『관광학연구』. 37(7), 11-32, , 2013

      77. 국외여행객의 관광정보원천과 정보탐색내용의 정준상관관 계, 장은경, 『관광연구저널』. 27(2). 185-196, , 2013

      78. 농촌관광목적지 속성에 따른 관광객 유형별 동기 및 체험분석, 오민제, 이승곤, 『관광연구저널』. 21(4). 19-33, , 2007

      79. 방한 중국인 관광객들의 관광지 선택속성 중요도-민족도 연구, 정유리, 진애니 , 정병웅, 『사회과학연구』. 48(2). 165-184, , 2009

      80. 외래 관광자의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재방문에 미 치는 영향, 김은혜, 이재곤, 『관광연구』. 29(1). 179-199, , 2014

      81. 인터넷 의류 쇼핑동기에 따른 정보탐새과 충동구 매행동 연구, 임현정, 홍금회, 『한국의류학회지』. 28(8). 10365-1075, , 2004

      82. 관광수요자의 정보탐색특성을 이용한 관광웹사이 트 품질평가, 김재석, 한범수, 『e-비즈니스 연구』. 7(3). 13, , 2006

      83. 방한 중국인관광객의 여행상품선택속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용철, 여창원, 김광근, 『관광연구』. 22(1). 133-153, , 2007

      84. 온라인 여행업의 고객만족, 고객 충성도, 재구매의도 관계연구, 강한승, 이주형, 윤지현,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2006. 665-687, , 2006

      85. 외식기업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곽공호, 『관광연구저널』. 29(9). 219-231, , 2015

      86. R-IPA분석을 적용한 외래관광객의 관광수용테세 개선 요 소 분석, 이승훈, 『디지털용복합연구』. 16(6). 9-18, , 2018

      87. 온라인 여행사(OTA)의 선택속성이 호텔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 이근수, 한진수, 『기업경영연구』. 25(4). 107-128, , 2018

      88. 관광객의 관광동기, 정보탐색, 탐색 후 행동의도 간의 영향 관계, 이정은, 『한국이벤트학연구』. 5(2). 71-87, , 2006

      89. 방한 중국 광광객의 관광지 선택속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경숙, 하흠, 『동복아관광연구』. 14(2). 173-196, , 2018

      90. 제주도 어촌관광 동기분석에 따른 관광활성화 방안에 관 한 연구, 이진희, 『농촌계획』. 17(3). 43-53, , 2011

      91. 전시회의 서비스품질, 경헌가치, 만족도, 재방문의도간 영 향관계, 김현지, 『무역전시연구』. 11(1). 51-72, , 2016

      92. 지역 축제를 통한 관광객의 호의적 재방문의도 형성에 관 한 연구, 원미란, 『관광학연구』. 9(2). 855-864, , 2019

      93. 대학생의 스키리조트 선택속성과 고객만족 및 재 방문의도의 관계, 이종호, 이광우, 『한국스포츠』. 17(4). 393-404, , 2019

      94. 축제의 재방문의도, 방문 만족도, 지역파급효과 인 식의 관계 연구, 항석종, 석정자, 『FoodService Industry Journal 』. 16(3). 211-222, , 2020

      95. 심리적 파워가 브랜드 확장 제품의 스테레오타이 핑에 미치는 영향, 김지헌, 민동원, 『관고학연구』. 23(7). 35-61, , 2012

      96. 관광옴니채널상의 관광 정보탐색 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김영하, 오암석, 박중환, 박현지, 『관광연구』. 14(10). 147-157, , 2016

      97. 여행 블로그의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 에 미치는 영향, 최화열, 이혁진, 『관광연구저널』. 24(1). 209-225, , 2010

      98. 장소이미지, 체험가치, 방문만족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제원, 이주호, 『기업경영연구』. 16(4). 165-182, , 2009

      99. 중국 여행사 모바일 앱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민보영, 왕리나, 『한국관광레저학회』. 30(10). 165-185, , 2018

      100. 한류가 연령별 외국인 관광객 방한애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심기은 , 이윤재, 홍혜정, 『경영과 정보연구』. 36(2). 21-33, , 2017

      101. 게스트하우스 물리적환경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 도에 미치는 영향, 강혜숙, 문정인, 『관광연구』. 33(5). 237-256, , 2020

      102. 스키리조트 가격 공정성 인식이 기업신뢰와 구매행동 간의 관계분석, 김태형, 이지환, 『한국체육과학회지』. 505-515, , 2019

      103. 카지노 운영에서의 식음료서비스의 위치와 품질인 식 및 재방문의도, 김정아, 정유경, 『관광학연구』. 42(9). 11-31, , 2018

      104. 여행목적 스마트폰 수용 집단별 수용 의사 결정의 영향요인 차이연구, 김민형, 황영현, 맹파, 『관광학연구』. 36(7). 139-156, , 2012

      105. 온라인 여행사 선택속성이 관광자 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허지현, 『관광한국연구』. 1(3). 161-181, , 2006

      106. 온라인 여행사의 웹서비스 품질 요소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서민정, 『국제관광연구』. 3(2). 195-217, , 2006

      107. 온라인 여행사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경제성 평가모형 정 립 : IRR적용, 노정철, 『전자상거래학회지』. 5(3). 23-42, , 2004

      108. 관광객 유형, 센세이션추구 및 지각된 위험이 모험추구에 미치는 영향, 박수완, 『호텔관광연구』. 5(2). 86-104, , 2013

      109. 문화예술마을 방문동기가 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 치는 영향, 김미성, 『문화산업연구』. 14(4)> 73-80, , 2014

      110. 국내여행객의 온라인 관광정보원천별 관광정보 탐색 유형 에 관한연구, 김대관, 전승, 『이벤트 컨벤션 연구』. 13(2). 65-84, , 2017

      111. 방한 중국관광객의 라이프 스타일, 관광정보, 행동의도 간 의 영향관계, 최동희, 『관광학연구』. 42(2). 11-28, , 2018

      112. 베이커리카페의 물리적 환경, 브랜드이미 지와 재방문의도의 영향관계, 이종호, 우이식, 『산업혁신연구』. 28(4). 241-264, , 2012

      113. 제주 방문 중국인 개별 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선택속성, 만족도 고찰, 김문찬, 『제주관광학회 학술대회』. 2018(6). 83-100, , 2018

      114. 중국 정부의 한국 여행제한조치가 국내 소비재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산업연구원, 『산업경제이슈』. 19, , 2017

      115. 방한 중국인들의 의료관광동기가 만족도 및 재방 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경완, 적반반 , 『관광연구』. 30(3). 351-366, , 2015

      116. 호텔 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방 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자, 고미애, 『관광연구저널』. 28(11). 203-214, , 2014

      117. 문화공간 카페의 특성이 고객만족도 및 재방문의 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은지, 김철중, 『문화산업연구』. 20(4). 163-174, , 2020

      118. 실버관광객의 관광위험지각이 정보탐색행동과 관 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영수, 진보라, 『관광레저연구』. 30(4). 23-43, , 2018

      119. 온라인 여행사의 추천정보가 구매의사결 정과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엄태휘, 구철모, 정남호,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 문집』. 2017(06), , 2017

      120. 중국인 관광객 재방문을 위한 하류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 한 탐색적 연구, 박인수, 『관광레저연구』. 28(9). 27-40, , 2016

      121. 군산지역의 향토음식 속성이 관광객 충성 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승신, 김수인, 송창해, 『외식경영학회』. 22(4). 171-203, , 2019

      122. 방한 중국개별관광객의 여행정보우너천과 소비자출액 간의 관계비교 연구, 박민희, 이재곤, 김정아, 『관광경영연구』. 2016(70). 83-102, , 2016

      123. Q방법론을 활용한 온천의료관광 선택속성 에 따른 관광객 유형별 특성 연구, 유성종, 이영관, 이광옥, 『관광연구저널』. 32(12). 213-234, , 2018

      124. 관광지 선택 동기가 관광지 이미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변상우, 『경영과정보연구』. 34(3). 197-212, , 2015

      125. 생태관광 방문객의 지각된 위험이 신뢰 및 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종철, 안대희, 『관광연구저널』. 2014(2). 75-89, , 2014

      126. 스마트폰 활용 관광정보탐색이 관광자만족와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종, 유은경, 『e-비즈니스연구』. 15(6). 315-334, , 2014

      127. 골프장 서비스스케이프 품질이 골프장이 미지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규, 김차용, 최세웅, 『한국스포츠학회지』. 15(3). 349-360, , 2017

      128. 여행사 웹사이트 신뢰형성이 여행상품구 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성혁, 황수영, 김용일, 『관광연구』. 22(3). 281-301, , 2007

      129. 온라인 여행상품선택속성이 신뢰와 관계지속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신상준, 『관광경영연구』. 2019(93). 593-609, , 2019

      130. 중국인 관광객 관광선택속성이 행동의도에 미치 는 영향-관광제약 조절효과, 곽춘려, 신은경, 『관광경연구』. 2013(55). 1-19, , 2013

      131. 레스토랑이용고객의 이용편리성과 이용유용성이 재방문의 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훈,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 y』. 19(50). 234-248, , 2013

      132. 여행사의 온라인여행사(OTA)선택속성과 재방문 시 선택속 성에 관하 비교연구, 양찬열, 『경영과정보연구』. 37(4). 175-193, , 2005

      133. 미용서비스업의 내부마케팅, 내부고객 만족, 서비스품질, 재 방문의도의 관계, 송연숙, 『한국모발학회지』. 1(1). 111-119, , 2008

      134. 시베리아 관광 한국인의 관광동기와 만족 및 충성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이상건, 『한국시베리아연구』, 12(2). 219-243,

      135. 여행자의 온라인 여행사(OTA)선택속성과 재방문 시 선택 속성에 관한 비교연구, 양찬열, 『경영과 정보연구』. 37(4). 175-193, , 2018

      136. 온라인 여행업의 e-서비스품질이 신뢰와 몰입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찬덕희 , 허용덕, 『고객만족경영연구』. 13(1). 233-252, , 2011

      137. 온라인 여행업의 웹사이트 명성, 지각된 위험, 신뢰, 구매의도 간의 관계 연구, 천덕희, 『관광연구』. 28(6). 21-39, , 2014

      138. 확장된 합리적행동이론을 적용한 중국인 미용성형관관 행 동의도에 관한 연구, 양은주, 『觀光硏究論叢』. 26(2). 127-151, , 2014

      139. 섬 관광객의 관광동기가 섬관광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를 조절효과로, 안태기, 『관광경영연구』. 21(6). 29-47, , 2017

      140. 여행블로그 구성요소가 이용자의 정보탐 색 의도와 정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지성, 황영현, 김민형, 『MICE관광연구』. 19(2). 79-94, , 2019

      141. 온라인 여행상품 선택 속성의 정렬가능성 과 범주화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류가연, 차재빈, 조성찬, 『관광학연구』. 43(3). 219-233, , 2019

      142. 상업용 리테일 부동산 구성요소가 소비자 의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여향, 박태원, 김신일, 『도시재성과 관광, , 2016

      143.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객들 의 관광정보 탐색 행동의 구저적 특징, 강상훈, 이계희, 박득희, 『서울도시연구』. 18(2). 145-158, , 2017

      144. 계절형 ARIMA-Intervention 모형을 이용한 여행목적 별 제주 관광객 수 예측에 관한 연구, Song,,Junmo, 송준모, 『한국데이터정보 과학회』. 27(3). 725-732, , 2016

      145. 농가맛집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고객만족도 와 메뉴만족도에 대한 방문형태, 김용일, 박모라, 『관광연구』. 32(4). 237-251, , 2017

      146.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여행예약 모바일 앱 이용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윤성환, 『동북아관광연구』. 14(3). 23-53, , 2018

      147. 잠재관광객의 위험지각이 태도, 정보탐색 구매의도 및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권난경, 이기종, 김상범, 『관광레저연구』. 29(2). 5-23, , 2017

      148. 중국인 관광객의 면세점 선택속성과 쇼핑 만족도 분석: 부산지역 면세점을 중심으로, 김동일, 황성준, 『디자털융복합연구』. 15(12). 137-145, , 2017

      149. 온라인여행사의 핵심서비스 품질과 관계혜택이 곡 개만족,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규선, 박현지, 『관광레저연구』. 25(2). 135-153, , 2013

      150. 섬 관광객의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제약이 관광 만족도와 재방문 의 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아, 최일선, 홍장원, 『관광연구논집』. 31(4). 121-138, , 2019

      151. 관광지 인터넷 사이트 정보탐색에서 사전지식의 역할과 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미혜, 『觀光硏究』. 26(4). 567-589, , 2011

      152.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커피 소비동기가 커피전문 점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자영,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5). 2871-2888, , 2013

      153. 온라인 여행사의 초기신뢰집단과 성숙신뢰집단의 차 이-중국 씨트립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염, 황영현, 『MICE관광연구』. 19(1). 154-160, , 2019

      154. 한국관광공사 웹사이트 관광정보의 방문객 태도가 관광목 적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 『동복아관광연구』. 9(3). 67-78, , 2013

      155. 순수 관광목적으로 방한한 중국인 개별자유여행객(FIT)의 소비지출 구조 및 영향요인 분석, 김도훈, 『MICE관광연구』. 18(1). 67-86, , 2018

      156. 애국심과 적개심이 관광목적지 이미지, 관광만족, 재방문 및 타인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성민, 『관광레저연구』. 23(8). 23-40, , 2011

      157. 온라인 여행사의 서비스채널에 따른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판수, 이한신, 『경영교육연구』. 34(1), 429-4564, , 2019

      158. 고객만족이 추천의도와 재방문의 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우량고객과 일반고객의 차이, 이영란, 김성미, 박상준, 『산업 혁신연구』. 27(4). 165-189, , 2011

      159. Effect of Customers’ Psychological Power on Service Expectation and Response to Service Failure in a Restaurant Context, KIM So Jung AHN, 『프랜차이즈경영연구』. 11(3). 19-26, , 2013

      160. Effect of Customers’ Psychological Power on Service Expectation and Response to Service Failure in a Restaurant Context, 안소정, 김지언, 『프랜차이즈경영연구』. 11(3). 19-26, , 2020

      161. 관광객의 정보탐색 동기가 탐색 만족과 지속적 정 보 저장 및 탐색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석주, 한진주, 『관광레저연구』. 30(6). 25-42, , 2018

      162. 서비스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 이 점포태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경수, 홍수복, 『경영과 정보연구』. 31(4). 197-215, , 2012

      163. 순수 관광목적을 가진 중국인 개별자유여행객의 한국관 광지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 연구, 김영규, 김도훈, 『관광연구』. 32(4). 219-236, , 2017

      164. 이용객 혼잡지각이 쾌락적 가치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E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이려정, 『관광레저연구』. 26(2). 223-242, , 2014

      165. 게스트하우스의 지각된 가치가 인적서비 스 품질과 고객충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진, 양재영, 『관광연구 저널』. 29(12). 155-171, , 2015

      166. 전통한옥민박체험관광의 관광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관 한 연구, 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문창현, 『관광연구저널』. 23(3). 61-79, , 2009

      167. 지식기반관점에서 온라인 여행업의 제휴형태 및 네트워크 효율성이 제휴 성과에 미치는 역량, 박현지, 『관광연구』. 21(3). 20-235, , 2006

      168. 인천국제공항 관광안내소 서비스붐질이 정보신뢰 성,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주희, 임근욱, 『관광연구저널』. 33(7). 161-177, , 2019

      169. 순수 관광목적목적으로 방한한 중국인 개별자유여행객(FIT) 의 소비자출 구조 및 영향요인 분석, 김도훈, 『MICE관광연구』. 18(1). 67-86, , 2018

      170. 온라인 여행업의 e-서비스품질, 인지된 가치, 그리고 고객 만족도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은, 김홍범, 『서비스경영학회 지』. 10(2). 251-276, , 2009

      171. 방한 중국인들의 국내 의료관광에 대한 지각된 가치 가 만족, 신뢰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영향, 축청 , 오석윤, 『호텔관광연구』. 18(2). 94-112, , 2016

      172. 백화점 및 브랜드 점포속성이 중국인 관광객의 백 화점 및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제갈란, 박민정, 『소비자학연구』. 27(5). 221-244, , 2016

      173. 화장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관계품질, 가격이구매행 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벤처대학원, 이병효, 박사학위논문, , 2017

      174. 관광정보의 탐색과 과거경험이 관광객의 Should/Will Expectation형성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소고, 조윤식, 『경제경영 연구』. 2007(8). 241-269, , 2007

      175. 온라인 맛집 리뷰 이용자들의 정보탐색 유형에 따른 관여 대상과 매체이용 및 소비행동의 관계 비교, 이해영, 『관광연구』. 26(6). 309-326, , 2012

      176. 외식소비자의 다양성 추구 성향이 관계혜택, 고객 만족 및 재방문의도 간 구조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김영자, 김동진, 『관광연 구』. 30(5). 245-265, , 2015

      177. 국내, 외 브랜드에 따른 커피전문점 물리적 환경 이 고객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형주, 서지연, 『호텔경 영학연구』. 21(2). 131-147, , 2012

      178. 정교화가능성모델을 이용한 온라인 여행 커 뮤니티 구성원의 관광정보탐색행동과 이용동기별 차이분석, 정남호, 한희정, 구철모, 『관광학연구』. 37(5). 219-240, , 2013

      179. 농촌관광객 선택속성 잠재프로파일 분석 -선택속성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관광만족 및 재방문 의도 차이, 오현성, 김경희, 황대용, 『동복아관광연구』. 16(2). 191-213, , 2020

      180. 온라인 여행상품의 메시지 프레이밍과 희소성 메시 지 및 가격할인 메시지구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영현, 김민형, 『관광 학연구』. 40(5). 183-195, , 2016

      181. 제주도 생태관광주제공원의 서비스케이프가 중국인 관광객들의 방문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진영, 장설 , 정경일, 『관광연구저널』. 32(8). 5-19, , 2018

      182. 동계올림픽 특구의 향토음식이 지역이미지, 은식관광 및 재 방문의도,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구조관계 연구, 최웅, 『호텔경영학연 구』. 26(5). 151-170, , 2017

      183. 여행사 온라인스토어 성과에 미치는 서비스요인: PC 기반 웹사이트와 모바일기기 기반 App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정훈, 『한국항공 경영학회지』. 16(6). 171-192, , 2018

      184.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한식당 반문 선택속 성, 만족도, 지각된 가치, 행위의도간의 인과관계 분석에 관한 연 구, 박근순, 현성협, 정철, 『관광연구』. 27(3). 431-452, , 2012

      185.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a coffee shop’s: Focused on Daegu area,”, 고범석, 이수진, Food Service Industry Journal, 8(2), 63-91, , 2012

      186. 방중 한국인 관광객의 관광동기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드 배치로 인한 갈등을 중심으로 『호텔경 영학연구』, 한희섭, 김진경, 정규엽, 26(5). 171-187, ,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