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 硏究는 韓國思想史硏究의 일환으로 韓國思想史 가운데 朝鮮時代 後期의 西學의 成立과 그 傳來에 관한 硏究이다. 즉 朝鮮後期의 西學의 受容이 外部的 조건에 의한 宣敎師들의 주도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本 硏究는 韓國思想史硏究의 일환으로 韓國思想史 가운데 朝鮮時代 後期의 西學의 成立과 그 傳來에 관한 硏究이다. 즉 朝鮮後期의 西學의 受容이 外部的 조건에 의한 宣敎師들의 주도권...
本 硏究는 韓國思想史硏究의 일환으로 韓國思想史 가운데 朝鮮時代 後期의 西學의 成立과 그 傳來에 관한 硏究이다.
즉 朝鮮後期의 西學의 受容이 外部的 조건에 의한 宣敎師들의 주도권으로 이루어진 他律的인 성격을 지닌것이 아니라는 점을 밝히면서 동시에 西學의 受容이 朝鮮學者들이 中國使臣들에 의하여 전해진 漢文으로된 西學書들과 天文科學書들을 연구하면서 저절로 깨닫게된 內部的이고 文化的인 연구에 의하여 發生한 自律的인 意識에 말미암았다는 것을 고찰함이다. 이러한 고찰에서 西學意識의 上昇이 宗敎的인 체험을 통하여 당시 社會의 새로운 思想으로 發展해 갔음을 살펴 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 시대의 韓國人의 西學意識의 흐름과 樣相을 고찰해 보면 우리나라에 西學이 처음 전래했던 시기는 李朝社會가 文化的, 社會的으로 점차 큰 전환기에 처하게 된 시기였다.
즉 17세기에서 부터 양반관료 사회의 諸矛盾이 노출됨에 따라 일부 制度的인 改編을 피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한편 儒敎政治와 그 체제에 대한 자기반성과 批判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다른 측면으로는 明末淸初에 걸쳐 中國에서 발달한 陽明學. 考證學 및 西學의 韓國전래로 인하여 學問·,思想面에 있어서 새로운 전환을 보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實學思想의 발전을 보게 되었던 것이었다.
18세기부터 의식된 넓은 의미에서의 西學思想의 경향은 두가지 면에서 고찰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宗敎的인 측면으로 가토릭시즘이겠고, 둘째는 이 思想의 전래로 자연적으로 傳하여진 西歐科學文明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내용의 文化는 中國으로 부터 전해진 방대한 내용의 西學書들을 朝鮮後期 儒學者들이 연구 고찰함으로써 實學을 集大成하였던 것에서 朝鮮社會에 西學의 受容을 가능케 하였던 것이다. 이때 實學을 成立시킨 中心人物들은 南人 星湖·李瀷과 그 門人一派를 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本稿에서는 이러한 西學 및 實學의 成立을 史科에 의하여 내용적으로 좀더 깊이 분석하면서 이 思想의 成立과정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朝鮮後期의 對外關係史的인 측면에서 소현세자와 중국 선교사 J.Adam Schalle과의 관계 및 17C∼18C까지의 實學∼.西學思想이 조선사회에 끼친 영향을 보았으며, 예수회 宣敎師들이 저술한 東傳漢文西學書의 내용과 韓國社會에 전파 경위를 보았으며, 아울러 당시의 無神論的 性理學의 思想體係에 어떻게 唯神論의 가코릭시즘이 전파되었으며 이러한 전래의 구체적인 例로써 농隱은·.洪儒漢의 宗敎生活과 그 精神體係를 史料에 입각하여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저 한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Milton's Views on the Restoration of Man in "Paradise L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