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남성작가가 구성하는 몸담론 방법론과 인식론 - 백가흠 작가의 『귀뚜라미가 온다』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76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dy discours and feminism discourse are based on postmodernism, disconstruct existed discours. Our body discourse started and became serious on Feminine writings. But, this research studies man author write body discourse for the whole body discourse. Ga-Heum, Baek author has constructed on body discourse rarely among man author. His heroes are proletarian on the society economy system and they don’t criticize about their environment is excepted them. Heroes are showed body relations, life of body, act of body on real life, therefore expose life’ s real meannings in author’s purpose. There are reapeted materials of violence, murther, death, so we knows that one ego is started and died only with body. This is meaning that body is grounded and established for the self, it is author’s cognition about “The body subject”. Furthermore a closing observate about isolation and solitude of body relationships, body subject is reprsented in a current situation being taken to pieces. The other side, through hero’s relation with woman, proletaria hero exibite phallus force in the presence of a woman, repeatedly practice violence, sexual violence, murther to her. Therefore it is showed that a order Phllocentrism system isn’t taking pieces until now. Ather sides, in relationship among man & woman, Hero pursue desire of Mother, his bodily ego lay open unconcious desire against system control
      번역하기

      Body discours and feminism discourse are based on postmodernism, disconstruct existed discours. Our body discourse started and became serious on Feminine writings. But, this research studies man author write body discourse for the whole body discours...

      Body discours and feminism discourse are based on postmodernism, disconstruct existed discours. Our body discourse started and became serious on Feminine writings. But, this research studies man author write body discourse for the whole body discourse. Ga-Heum, Baek author has constructed on body discourse rarely among man author. His heroes are proletarian on the society economy system and they don’t criticize about their environment is excepted them. Heroes are showed body relations, life of body, act of body on real life, therefore expose life’ s real meannings in author’s purpose. There are reapeted materials of violence, murther, death, so we knows that one ego is started and died only with body. This is meaning that body is grounded and established for the self, it is author’s cognition about “The body subject”. Furthermore a closing observate about isolation and solitude of body relationships, body subject is reprsented in a current situation being taken to pieces. The other side, through hero’s relation with woman, proletaria hero exibite phallus force in the presence of a woman, repeatedly practice violence, sexual violence, murther to her. Therefore it is showed that a order Phllocentrism system isn’t taking pieces until now. Ather sides, in relationship among man & woman, Hero pursue desire of Mother, his bodily ego lay open unconcious desire against system contro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본론
      • 1. 주체 재설정에 따른 몸담론의 전개 양상
      • 2. 체제 밖으로 소외된, 혹은 탈주하는 주체들
      • 3. 폭력 / 성폭력이 가해지는, 몸주체의 실존적 모습
      • Ⅰ. 서론
      • Ⅱ. 본론
      • 1. 주체 재설정에 따른 몸담론의 전개 양상
      • 2. 체제 밖으로 소외된, 혹은 탈주하는 주체들
      • 3. 폭력 / 성폭력이 가해지는, 몸주체의 실존적 모습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 라마자노글루, "푸코와 페미니즘" 동문선 1997

      2 박오복,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또하나의 문화 2003

      3 조현준, "젠더 트러블 :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문학동네 2008

      4 주디스 로버, "젠더 불평등" 일신사 2005

      5 오형근, "유식학입문" 불광출판부 1992

      6 박미선, "유목적 주체" 여이연 2004

      7 이현재,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프리프린트)" 도서출판 여이연 2008

      8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또 하나의 문화 2000

      9 질 들뢰즈, "안티 오이디푸스" 민음사 1994

      10 전혜은, "섹스화 된 몸-엘리자베스 그로츠와 주디스 버틀러의 육체적 페미니즘" 새물결출판사 2010

      1 C. 라마자노글루, "푸코와 페미니즘" 동문선 1997

      2 박오복,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또하나의 문화 2003

      3 조현준, "젠더 트러블 :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문학동네 2008

      4 주디스 로버, "젠더 불평등" 일신사 2005

      5 오형근, "유식학입문" 불광출판부 1992

      6 박미선, "유목적 주체" 여이연 2004

      7 이현재,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프리프린트)" 도서출판 여이연 2008

      8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또 하나의 문화 2000

      9 질 들뢰즈, "안티 오이디푸스" 민음사 1994

      10 전혜은, "섹스화 된 몸-엘리자베스 그로츠와 주디스 버틀러의 육체적 페미니즘" 새물결출판사 2010

      11 제프리 윅스, "섹슈얼리티 : 성의 정치" 현실문화연구 1999

      12 조셉 브리스토우, "섹슈얼리티" 한나래 2000

      13 프로이트,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열린 책들 1997

      14 장회익, "삶과 온생명" 솔출판사 1998

      15 엘리자베스 그로츠, "뫼비우스의 띠로서 몸" 여인연 2001

      16 한국현상학회, "몸의 현상학" 철학과 현실사 2000

      17 G. 레이코프, "몸의 철학" 박이정 2002

      18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04

      19 강미라, "몸, 주체, 권력-메를로 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이학사 2011

      20 서동욱, "들뢰즈의 철학" 민음사 2002

      21 불전간행회, "능엄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7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 한어문교육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