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불교미술(佛敎美術)에 나타난 동물 이미지에 대한 도상학적 해석 연구 = An Iconological Study of Animal Image in the Buddhist Art of th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8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past, our ancestors have given animals symbolic meanings, including wishes and hopes, to pray for peace and abundance. These animal symbols represent guardians and symbols in Buddhism, and they have brought various forms such as discord, celadon, and Buddhist tools.
      Therefore, in this study, 'dog,' 'dragon,' 'elephant,' and 'lion,' which represent the Bodhisattva that is important among the animals shown in Buddhist art in Korea will be analyzed with the form, characteristics, the symbols and meanings inherent therein. In this study, we employed ancient literature, historical feed, and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 in the Goryeo Dynasty, including the symbolism and meaning of animals therein. Also, we performed an objective analysis by applying the iconographic theory of E. Panofsky (1892 ~ 1968).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ly, 'dog' is an animal that cares for Ksitigarbha Bodhisattva and is unrealistically depicted to emphasize the mystery of dogs; this represents the Buddhist symbol of the Dharmapala, which aids in the direction of the Bodhisattva. Second, 'dragon' is depicted as an extraordinary and auspicious being in Kundika in the form of the dragon head Kwan-yin or the veteran of the Bodhisattva. This animal symbolizes the guardian beside the Bodhisattva, the dignity of the Buddha, and the god of water. Third, 'elephant' is an animal which is taken by Bohyun Bodhisattva, which is depicted as a mysterious and enormous appearance, revealing the spirit of Bodhisattva, the greatness of Bodhisattva, the greatness of Buddha's birth, and the Buddha's whereabouts; it also symbolizes, in the Buddhist meaning, caring for and protecting the Bodhisattva. Fourth, the lion is the animal that Munsu Bodhisattva rides, and it is described as a valiant and sleek appearance. It assists Buddha and Bodhisattva, and acts as guardian of evil; the eighth son of the dragon has Buddhist meanings as a San Ye and a lion taught by Bodhisattva.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primarily focused on art history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form and features of animal images empirically and genuinely, including Buddhist symbols, meanings, and care of animals; thu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primary research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new Buddhist cultural contents by deriving symbols and meanings.
      번역하기

      Since the past, our ancestors have given animals symbolic meanings, including wishes and hopes, to pray for peace and abundance. These animal symbols represent guardians and symbols in Buddhism, and they have brought various forms such as discord, cel...

      Since the past, our ancestors have given animals symbolic meanings, including wishes and hopes, to pray for peace and abundance. These animal symbols represent guardians and symbols in Buddhism, and they have brought various forms such as discord, celadon, and Buddhist tools.
      Therefore, in this study, 'dog,' 'dragon,' 'elephant,' and 'lion,' which represent the Bodhisattva that is important among the animals shown in Buddhist art in Korea will be analyzed with the form, characteristics, the symbols and meanings inherent therein. In this study, we employed ancient literature, historical feed, and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 in the Goryeo Dynasty, including the symbolism and meaning of animals therein. Also, we performed an objective analysis by applying the iconographic theory of E. Panofsky (1892 ~ 1968).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ly, 'dog' is an animal that cares for Ksitigarbha Bodhisattva and is unrealistically depicted to emphasize the mystery of dogs; this represents the Buddhist symbol of the Dharmapala, which aids in the direction of the Bodhisattva. Second, 'dragon' is depicted as an extraordinary and auspicious being in Kundika in the form of the dragon head Kwan-yin or the veteran of the Bodhisattva. This animal symbolizes the guardian beside the Bodhisattva, the dignity of the Buddha, and the god of water. Third, 'elephant' is an animal which is taken by Bohyun Bodhisattva, which is depicted as a mysterious and enormous appearance, revealing the spirit of Bodhisattva, the greatness of Bodhisattva, the greatness of Buddha's birth, and the Buddha's whereabouts; it also symbolizes, in the Buddhist meaning, caring for and protecting the Bodhisattva. Fourth, the lion is the animal that Munsu Bodhisattva rides, and it is described as a valiant and sleek appearance. It assists Buddha and Bodhisattva, and acts as guardian of evil; the eighth son of the dragon has Buddhist meanings as a San Ye and a lion taught by Bodhisattva.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primarily focused on art history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form and features of animal images empirically and genuinely, including Buddhist symbols, meanings, and care of animals; thu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primary research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new Buddhist cultural contents by deriving symbols and mean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부터 우리 선조들은 동물에게 염원을 담아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안녕과 풍요 등을 기원하였다. 이러한동물의 상징은 불교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들은 수호와 상징을 의미하며 불화나 청자, 불구 등 여러 가지형태로 등장했다. 이에 고려시대 불교미술에 나타난 동물 가운데 불교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보살을 상징하는동물인 ‘개’, ‘용’, ‘코끼리’, ‘사자’를 분석하여 형태와 특징 등을 살펴보고 내재된 상징과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고문헌과 역사적 사료, 선행연구 등을 토대로 고려시대 불교미술의 전개와 특징을 살펴보고 불교에서 동물의 상징성과 의미를 논하고 파노프스키 E.Panofsky (1892~1968)의 도상학 이론을 응용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첫째, ‘개’는 지장보살을 모시는 동물로서 신비로운 개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비현실적으로 형상화되었으며 보살의 지시에 따르고 수행을 돕는 호법의 불교적 상징을 나타낸다. 둘째, ‘용’은 용두관음의 형상이나 관음보살의 지물인 정병에도 비범하고 상서로운 존재로 묘사되어 보살의 옆에서 보호하는 수호의 상징과 석가의 위엄을 의미한다. 셋째, ‘코끼리’는 보현보살이 타는 동물로 신비롭고 거대한 외형으로 나타나 보살의 영물로서 위용, 보현보살의 권화, 석가 탄생의 위대함, 석가의 행원을 대변하는 매개체로 보살을 모시고 보호하는 불교적 의미를 상징한다. 넷째, ‘사자’는 문수보살이 타는 동물로서 용맹스럽고 날렵한 외형이다.
      석가와 보살을 보좌하며 악을 물리치는 수호의 역할로 불교적 의미를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동물의 불교적 상징과 의미, 불보살과 동물의 관련성 등 실증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로서 동물 이미지의 형태와 특징을 분석하고 상징과 의미를 도출하여 새로운 불교 문화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 연구로 기대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과거부터 우리 선조들은 동물에게 염원을 담아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안녕과 풍요 등을 기원하였다. 이러한동물의 상징은 불교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들은 수호와 상징을 의미하며...

      과거부터 우리 선조들은 동물에게 염원을 담아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안녕과 풍요 등을 기원하였다. 이러한동물의 상징은 불교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들은 수호와 상징을 의미하며 불화나 청자, 불구 등 여러 가지형태로 등장했다. 이에 고려시대 불교미술에 나타난 동물 가운데 불교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보살을 상징하는동물인 ‘개’, ‘용’, ‘코끼리’, ‘사자’를 분석하여 형태와 특징 등을 살펴보고 내재된 상징과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고문헌과 역사적 사료, 선행연구 등을 토대로 고려시대 불교미술의 전개와 특징을 살펴보고 불교에서 동물의 상징성과 의미를 논하고 파노프스키 E.Panofsky (1892~1968)의 도상학 이론을 응용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첫째, ‘개’는 지장보살을 모시는 동물로서 신비로운 개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비현실적으로 형상화되었으며 보살의 지시에 따르고 수행을 돕는 호법의 불교적 상징을 나타낸다. 둘째, ‘용’은 용두관음의 형상이나 관음보살의 지물인 정병에도 비범하고 상서로운 존재로 묘사되어 보살의 옆에서 보호하는 수호의 상징과 석가의 위엄을 의미한다. 셋째, ‘코끼리’는 보현보살이 타는 동물로 신비롭고 거대한 외형으로 나타나 보살의 영물로서 위용, 보현보살의 권화, 석가 탄생의 위대함, 석가의 행원을 대변하는 매개체로 보살을 모시고 보호하는 불교적 의미를 상징한다. 넷째, ‘사자’는 문수보살이 타는 동물로서 용맹스럽고 날렵한 외형이다.
      석가와 보살을 보좌하며 악을 물리치는 수호의 역할로 불교적 의미를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동물의 불교적 상징과 의미, 불보살과 동물의 관련성 등 실증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로서 동물 이미지의 형태와 특징을 분석하고 상징과 의미를 도출하여 새로운 불교 문화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 연구로 기대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257 밀교부11 다라니집경 외" 동국역경원 1999

      2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157 경집부7 문수사리문경 외" 동국역경원 1999

      3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1992

      4 강병희, "한국의 미-고려시대" 17 (17): 2014

      5 한국문화상징사전편집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2" 두산잡지BU 1995

      6 천진기, "한국동물민속론" 민속원 2003

      7 박경애,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 (17): 120-127, 2008

      8 김강녕, "제5장 고려시대 호국불교의 정치적 함의" 한국민족사상학회 1 (1): 2007

      9 박영수, "유물 속의 동물 상징 이야기" ㈜영교출판 내일아침 2005

      10 Erwin Panofsky, "시각예술의 의미" 한길사 2013

      1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257 밀교부11 다라니집경 외" 동국역경원 1999

      2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157 경집부7 문수사리문경 외" 동국역경원 1999

      3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1992

      4 강병희, "한국의 미-고려시대" 17 (17): 2014

      5 한국문화상징사전편집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2" 두산잡지BU 1995

      6 천진기, "한국동물민속론" 민속원 2003

      7 박경애,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 (17): 120-127, 2008

      8 김강녕, "제5장 고려시대 호국불교의 정치적 함의" 한국민족사상학회 1 (1): 2007

      9 박영수, "유물 속의 동물 상징 이야기" ㈜영교출판 내일아침 2005

      10 Erwin Panofsky, "시각예술의 의미" 한길사 2013

      11 이은지, "르네상스시대 복식에 대한 파노프스키(Panofsky)의 도상학적 해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2 (12): 79-96, 2012

      12 Erwin Panofsky, "도상해석학 연구" 시공사 2003

      13 Ekkehard Kaemmerling,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사계절 출판사 1997

      14 하정룡, "교감역주 삼국유사" 시공사 2003

      15 조은정, "강진 청자요지의 조사 현황과 성과" 2016

      16 장정해, "神仙·道敎 통 속의 龍의 의미" 6 : 1997

      17 紀秀信, "增補佛諸宗佛像圖匯"

      18 "九華山志, 卷1" 上海光印書局 1930

      19 一然, "三國遺事"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