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257 밀교부11 다라니집경 외" 동국역경원 1999
2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157 경집부7 문수사리문경 외" 동국역경원 1999
3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1992
4 강병희, "한국의 미-고려시대" 17 (17): 2014
5 한국문화상징사전편집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2" 두산잡지BU 1995
6 천진기, "한국동물민속론" 민속원 2003
7 박경애,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 (17): 120-127, 2008
8 김강녕, "제5장 고려시대 호국불교의 정치적 함의" 한국민족사상학회 1 (1): 2007
9 박영수, "유물 속의 동물 상징 이야기" ㈜영교출판 내일아침 2005
10 Erwin Panofsky, "시각예술의 의미" 한길사 2013
1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257 밀교부11 다라니집경 외" 동국역경원 1999
2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157 경집부7 문수사리문경 외" 동국역경원 1999
3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1992
4 강병희, "한국의 미-고려시대" 17 (17): 2014
5 한국문화상징사전편집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2" 두산잡지BU 1995
6 천진기, "한국동물민속론" 민속원 2003
7 박경애,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 (17): 120-127, 2008
8 김강녕, "제5장 고려시대 호국불교의 정치적 함의" 한국민족사상학회 1 (1): 2007
9 박영수, "유물 속의 동물 상징 이야기" ㈜영교출판 내일아침 2005
10 Erwin Panofsky, "시각예술의 의미" 한길사 2013
11 이은지, "르네상스시대 복식에 대한 파노프스키(Panofsky)의 도상학적 해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2 (12): 79-96, 2012
12 Erwin Panofsky, "도상해석학 연구" 시공사 2003
13 Ekkehard Kaemmerling,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사계절 출판사 1997
14 하정룡, "교감역주 삼국유사" 시공사 2003
15 조은정, "강진 청자요지의 조사 현황과 성과" 2016
16 장정해, "神仙·道敎 통 속의 龍의 의미" 6 : 1997
17 紀秀信, "增補佛諸宗佛像圖匯"
18 "九華山志, 卷1" 上海光印書局 1930
19 一然, "三國遺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