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소 E-Business 기업 근로자의 역할 특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LMX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 of LMX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Burnout for Small and Medium E-business Employe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by demonstrating that LMX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and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role overload,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conflict (β =. 001, ρ <.01), LMX (β =. 022, ρ <.0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Particularly,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 of age and gender were analyzed and had a quite substantial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when employees had a good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ambiguity (β =. 000, ρ <.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rsonalization.
      LMX(β=.000, ρ<.05) was analyzed to have a influence on personal accomplishment significantly. Role ambiguity was found to have a effect on the personal accomplishment with relation to LMX.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we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by demonstrating that LMX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and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role overload, role ambiguity, and role c...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by demonstrating that LMX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and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role overload,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conflict (β =. 001, ρ <.01), LMX (β =. 022, ρ <.0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Particularly,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 of age and gender were analyzed and had a quite substantial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when employees had a good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ambiguity (β =. 000, ρ <.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rsonalization.
      LMX(β=.000, ρ<.05) was analyzed to have a influence on personal accomplishment significantly. Role ambiguity was found to have a effect on the personal accomplishment with relation to LMX.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we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직무소진을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라는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고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역할갈등이라는 역할특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LMX가 직무소진과 역할특성 관계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갈등(β=.001, ρ<.01), LMX(β=.022, ρ<.05)이 정서적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통계 변수 중 성별과 연령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데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좀 더 정서적 소진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5, ρ<.05, .081, ρ<.10). 역할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LMX에 따라 정서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65, ρ<.10, .092, ρ<.10).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높을수록 정서적 소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모호성(β=.000, ρ<.01)이 비인격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역할갈등과 LMX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β=.000, ρ<.05)이 개인적 성취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역할모호성이 LMX에 따라 개인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0, ρ<.05). 다시 말해,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 높을수록 개인성취감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직무소진을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라는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고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역할갈등이라는 역할특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에 ...

      본 연구에서는 직무소진을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라는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고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역할갈등이라는 역할특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LMX가 직무소진과 역할특성 관계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갈등(β=.001, ρ<.01), LMX(β=.022, ρ<.05)이 정서적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통계 변수 중 성별과 연령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데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좀 더 정서적 소진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5, ρ<.05, .081, ρ<.10). 역할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LMX에 따라 정서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65, ρ<.10, .092, ρ<.10).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높을수록 정서적 소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모호성(β=.000, ρ<.01)이 비인격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역할갈등과 LMX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β=.000, ρ<.05)이 개인적 성취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역할모호성이 LMX에 따라 개인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0, ρ<.05). 다시 말해,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 높을수록 개인성취감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호선,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6판>" 시그마프레스 2009

      2 조영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도와 조직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15 (15): 1985

      3 문형구,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동향과 향후 방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4 (34): 117-187, 2010

      4 이인석, "직무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금융권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한경영학회 20 (20): 2879-2900, 2007

      5 이종목, "직무 스트레스 척도제작에 관한 연구(I)" 4 (4): 241-262, 1988

      6 엄광섭,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1

      7 차용준, "지방 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원인 분석" 1997

      8 신강현,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 소직 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6 (16): 1-17, 2003

      9 "오마이뉴스 (2011.09. 16), 삼성이 애플을 못 따라잡는 이유"

      10 박혜남,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관리방안으로서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22 (22): 231-260, 1998

      1 이호선,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6판>" 시그마프레스 2009

      2 조영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도와 조직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15 (15): 1985

      3 문형구,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동향과 향후 방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4 (34): 117-187, 2010

      4 이인석, "직무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금융권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한경영학회 20 (20): 2879-2900, 2007

      5 이종목, "직무 스트레스 척도제작에 관한 연구(I)" 4 (4): 241-262, 1988

      6 엄광섭,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1

      7 차용준, "지방 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원인 분석" 1997

      8 신강현,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 소직 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6 (16): 1-17, 2003

      9 "오마이뉴스 (2011.09. 16), 삼성이 애플을 못 따라잡는 이유"

      10 박혜남,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관리방안으로서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22 (22): 231-260, 1998

      11 박동수, "소진의 직무요구-자원모형에서 감성지능의 조절역할" 한국인사관리학회 31 (31): 69-94, 2007

      12 송지준, "관광호텔 종사원의 LMX 질에 따른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4 (14): 157-174, 2005

      13 Ivancevich, J. M., "Worksit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45 : 252-261, 1990

      14 Burke, R. J., "Workaholism among Norwegian senior managers: New research directions" 21 (21): 415-426, 2004

      15 Ganster, D.C., "Work stress and employee health" 17 (17): 235-271, 1991

      16 Bakker, A. B., "Validat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An internet study" 15 : 245-260, 2002

      17 Freudenberger, H. J., "The staff burnout syndrome in alternative institutions" 12 (12): 73-82, 1975

      18 Moon, B., "The source and consequences of corrections officer's: A South Korean example" 32 (32): 359-370, 2004

      19 Martin, C. L., "The role of justice judgement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1 (21): 84-104, 1996

      20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86 (86): 499-512, 2001

      21 Katz, D.,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Wiley 1966

      22 Schaufeli, W. B.,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In Maslach Burnout Inventory test manual, 3rd"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26, 1996

      23 Black, R., "Stress and correctional office" 5 (5): 10-16, 1982

      24 Rudow, B., "Stress and Burnout in the Teaching Profession: European Studies, Issues, and Research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teacher burnou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5 Rizzo, J.,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 15 : 150-163, 1970

      26 Graen, G. B., "Relationship-based approach to leadership: Development of LMX theory of leadership over 25 years" 6 (6): 219-247, 1995

      27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Hill 1978

      28 Cooke, D. J., "Psychology in prison" Routledge 1990

      29 Halbesleben, J. R. B., "Pluralistic ignorance: historic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applications" 42 (42): 126-138, 2004

      30 Cordes, C. L., "Patterns of burnout among managers and professionals: A comparison of models" 18 : 685-701, 1997

      31 Kahn, R. L., "Organiz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John Wiley 1964

      32 Pfeffer, J., "Organisations and Organisation Theory" Pitman 1982

      33 Liden, R. C., "Multidimension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n empirical assessment through scale development" 24 (24): 3-73, 1998

      34 Maslach, C., "Maslach Burnout Inventory: Second Edition"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6

      35 Schriesheim, C. A., "Leader–member exchange (LMX) research: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ory, measurement, and data analytic practices" 10 : 63-113, 1999

      36 Schaufeli, W.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25 : 293-315, 2004

      37 Maslach, C., "Job burnout" 52 : 397-422, 2001

      38 Chin, W. W.,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2 (22): 7-16, 1998

      39 Kerlinger, F. N., "Foundation of Behavioral Research"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6

      40 Dory, A.,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life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13 (13): 441-455, 1988

      41 Jackson, S. E., "Educator burnout: sources and consequences" 10 (10): 1986

      42 Shirom, A., "Does burnout affect physical health? A review of the evidence, In Research Companion to Organizational Health Psychology" Edward Elgar 599-622, 2005

      43 Schreisheim, C. A.,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 short scale to measure leader-member exchange (LMX) in organizations" 52 : 135-147, 1992

      44 Farber, B. A., "Crisis in Education: Stress and Burnout in the American Teacher" Jossey-Bass 1991

      45 Pines, A., "Combatting staff burn-out in a day care center: A case study" 9 : 5-16, 1980

      46 Maslach, C., "Burnout: The Cost of Caring" Prentice-Hall 1982

      47 Schaufeli, W. B., "Burnout: An overview of 25 years of research and theorizing, In The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2th" John Wiley & Sons, LTD 384-425, 2003

      48 Muhammad, A. H., "Burnout, supervisory support and work outcomes: A study from and Arabic cultural perspective" 15 (15): 230-243, 2005

      49 Corrigan, P. W., "Burnout and collegial support in state psychiatric hospital staff" 51 (51): 7103-7110, 1995

      50 Dansereau, F. Jr, "A vertical dyad linkage approach to leadership within formal organization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role making process" 13 : 46-78, 1975

      51 Cordes, C. L.,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18 (18): 621-656, 1993

      52 Lee, R. T.,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burnout" 81 : 123-133, 1996

      53 Fisher, C. D., "A meta-analysis of the correlates of role conflict and ambiguity" 68 : 334-337, 1983

      54 Jackson, S. E., "A meta-analysis and conceptual critique of research on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in work settings" 36 : 16-78, 1985

      55 Graen, G., "A Role-making Model of Leadership in Formal Organizations: A Developmental Approach" Kent State University Press 19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2 0.96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