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대 의약시장의 상업화와 ‘매약’ = Commercialization of the Pharmaceutical Market and Patent Medicine in the Qi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명청대 이후의 중국의 대도시에는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고 처방을 내려주면 환자가 약포로 가서 약재를 고르고 미리 제조된 매약(賣藥)을 사는 의약분업이 점차 자리를 잡았고, 그만큼 대중...

      명청대 이후의 중국의 대도시에는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고 처방을 내려주면 환자가 약포로 가서 약재를 고르고 미리 제조된 매약(賣藥)을 사는 의약분업이 점차 자리를 잡았고, 그만큼 대중이 매약에 의존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 즉 명청대의 의료 환경에서 약포와 매약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19세기 이후에는 상인이 전문적으로 약포를 경영하고 매약을 판매하였다. 상인이 운영하는 약포에서는 일상생활의 갖가지 질병과 관련된 약을 제조했고 당시 사회에서 요구하는 의약품의 수요를 만족시키려고 하였다. 청대 후기 전염병이 유행하고 전란이 빈번하던 시기에는 이에 맞는 전염병 치료나 외과 치료와 관련된 약품의 종류가 추가되기도 하였다. 청대 사회에서 매약은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일종의 상품이기도 했고 약포들은 매약이라는 상품을 광고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사용했다. 약포는 약목을 출판하여 약포에서 생산하는 매약이 항상 검증된 좋은 약재를 쓰고 옛 약방을 준수하여 제조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약단이나 벽보같은 수단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청말 근대 매체가 들어온 이후에는 신보와 같은 신문이 새로운 광고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ing- Qing cities in China, once doctors had examined and given prescriptions to patients, the patients went to the pharmacy to select and buy pre-made medicines. This kind of separation between the prescription and distribution of pharmaceutic...

      In the Ming- Qing cities in China, once doctors had examined and given prescriptions to patients, the patients went to the pharmacy to select and buy pre-made medicines. This kind of separation between the prescription and distribution of pharmaceuticals gradually settled during the Ming-Qing China. Since then, the public’s dependence on drug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Hence, the pharmacy and medicine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of the Ming-Qing Society. After the 18th and 19th centuries, merchants professionally carried medicinal herbs and sold patent drugs. The drugstore, run by merchants, manufactured drugs related to various diseases in daily life and tried to satisfy the societal demand for medicines at that time. While infectious diseases were prevalent and war was frequent in the late Qing society, the types of drug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 or surgical treatment were incorporated accordingly. In the Qing society, drugs were not only aimed at treating diseases, but also a kind of product, and drugstores used various methods to advertise products called drugs. Pharmacists emphasized that their patent medicines always used proven superb medicinal herbs and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rules based on reliable traditional methods. They also used means such as pamphlets and posters. Although newspapers became a new advertising means after the arrival of modern media, but traditional advertisement methods, such as traditional prescriptions and the use of provincial medicinal herbs, were still persuasive. Trust in patent drugs and traditional advertising elements seems to have continued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to have still been influential in the late Qing’s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호, "편작‧ 화타와 그 후예들의 이야기- 중국의 의약신앙과 사회사" 지식산업사 2021

      2 최지희, "청대 의약업의 성장과 약목(藥目)의 출판" 의료역사연구회 5 : 73-98, 2020

      3 김대기, "중국 원대 의료관원의 선발과 관리-의호(醫戶)제도와 의학과거제의 실시를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6 (26): 455-502, 2017

      4 김태우, "위생(衛生), 매약(賣藥), 그리고 시점(視點)의 전이: 한국사회 생명정치 시선에 대한 고찰" 한국과학기술학회 14 (14): 35-57, 2014

      5 설혜심, "소비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7

      6 梁其姿, "面對疾病——傳統中國社會的醫療觀念與組織"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2

      7 徐大椿, "醫學源流論" 中國中醫藥出版社 2008

      8 張燕妮, "論清代中藥業的經營與貿易" 鄭州大學 2006

      9 陳仁壽, "話說國醫·江蘇卷" 河南科學技術出版社 2017

      10 周旭霞, "穿越時空的杭商" 浙江工商大學出版社 2016

      1 이민호, "편작‧ 화타와 그 후예들의 이야기- 중국의 의약신앙과 사회사" 지식산업사 2021

      2 최지희, "청대 의약업의 성장과 약목(藥目)의 출판" 의료역사연구회 5 : 73-98, 2020

      3 김대기, "중국 원대 의료관원의 선발과 관리-의호(醫戶)제도와 의학과거제의 실시를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6 (26): 455-502, 2017

      4 김태우, "위생(衛生), 매약(賣藥), 그리고 시점(視點)의 전이: 한국사회 생명정치 시선에 대한 고찰" 한국과학기술학회 14 (14): 35-57, 2014

      5 설혜심, "소비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7

      6 梁其姿, "面對疾病——傳統中國社會的醫療觀念與組織"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2

      7 徐大椿, "醫學源流論" 中國中醫藥出版社 2008

      8 張燕妮, "論清代中藥業的經營與貿易" 鄭州大學 2006

      9 陳仁壽, "話說國醫·江蘇卷" 河南科學技術出版社 2017

      10 周旭霞, "穿越時空的杭商" 浙江工商大學出版社 2016

      11 張仲民, "當糖精變爲燕窩——孫鏡湖與近代上海的醫藥廣告文化" 2017

      12 "申报"

      13 徐珂, "清稗類鈔" 中華書局 2003

      14 吳靜銀, "清前中期醫政與民間醫療研究—以江南地區爲中心" 南京大學 2018

      15 陳新謙, "清代的中藥鋪老字號" 26 (26): 1996

      16 余新忠, "清代江南的瘟疫與社會:一項醫療社會史的研究"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3

      17 朱德名, "浙江醫藥曲折曆程(1840-1949)"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2

      18 江蘇省博物館, "江蘇省明清以來碑刻資料選集" 生活·讀書·新知三聯書店 1959

      19 張仲民, "晚清上海藥商的廣告造假現象探析" 85 : 2014

      20 朱紹祖, "明清至民國禹州“藥都”的形成與地域社會變遷" 南開大學 2019

      21 童光東, "明清時期新安藥鋪及其醫藥學作用" 25 (25): 1995

      22 陳曼麗, "明末清初民間的一種醫藥活動-販痧藥" 2015

      23 김문기, "明末淸初의 荒政과 王朝交替" 중국사학회 (89) : 111-170, 2014

      24 邊和, "新史學 9" 中華書局 2017

      25 冉貝貝, "我國傳統藥市的形成與發展探究" 25 (25): 2019

      26 楊映輝, "慈溪人的老字號" 寧波出版社 2018

      27 王雨濛, "刀針, 膏貼與湯藥:清代的外科" 南開大學 2013

      28 唐廷猷, "中國藥業史" 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13

      29 上海市醫藥公司, "上海近代西藥行業史" 上海社會科學院出版社 1988

      30 牛亞華, "『棲芬室藏中醫典籍精選』 第2輯, 蘇州勞松壽堂丸散膏丹膠露目錄"

      31 牛亞華, "『棲芬室藏中醫典籍精選』 第2輯, 葉種德堂丸散譜" 北京科學技術出版社 2017

      32 牛亞華, "『棲芬室藏中醫典籍精選』 第2輯, 育寧堂頤世方書" 北京科學技術出版社 2017

      33 牛亞華, "『棲芬室藏中醫典籍精選』 第2輯, 姜衍澤堂發記丸散膏丹錄" 北京科學技術出版社 2017

      34 沈宇斌, "『新史學』第9卷" 中華書局 2017

      35 安冠英, "『中華百年老藥鋪』華東卷" 中國文史出版社 1993

      36 徐大椿, "『中國醫學大成』第9冊, 醫論分冊" 中國醫藥出版社 1997

      37 韓凱利, "“藥目”考釋" 2019

      38 Chistopher Cullen, "Patients and Healers in Late Imperial China—Evidence from the Jinpingmei" 31 (31): 1993

      39 Paul U. unschuld, "Medicine in China-Historical Artifacts and images" Prestel Verlag 2000

      40 Paul U. unschuld, "Curren Perspectives in the History of Science in East Asi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99

      41 He Bian, "Assembling the Cure Materia Medica and the Culture of Healing in Late Imperial China" Harvard University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 -> 역사학연구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회 -> 호남사학회
      영문명 : Chonnam Historical Association -> Honam Histor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18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