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수호, "한국의 정권교체와 대북정책 변화: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35-165, 2010
2 "한겨레신문"
3 정성장, "한.미의 북한 급변사태 논의와 대북 군사전략 과제" 세종연구소 2009
4 "통일부"
5 박성조, "통일독일과 분단한국"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6 이정철, "탈냉전기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 정책연합의 불협화음과 전환기 리더십의 한계"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131-161, 2012
7 장형수, "최근 통일 논의에 대한 재고찰" 한국개발연구원 2015
8 "조선중앙통신"
9 "조선일보"
10 이정철, "조선 로동당 3차 당 대표자회와 김정일 후계 체제 - 개혁 개방기 덩샤오핑의 후계전략과 비교를 중심으로" 아시아.유럽미래학회 8 (8): 187-205, 2011
1 임수호, "한국의 정권교체와 대북정책 변화: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35-165, 2010
2 "한겨레신문"
3 정성장, "한.미의 북한 급변사태 논의와 대북 군사전략 과제" 세종연구소 2009
4 "통일부"
5 박성조, "통일독일과 분단한국"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6 이정철, "탈냉전기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 정책연합의 불협화음과 전환기 리더십의 한계"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131-161, 2012
7 장형수, "최근 통일 논의에 대한 재고찰" 한국개발연구원 2015
8 "조선중앙통신"
9 "조선일보"
10 이정철, "조선 로동당 3차 당 대표자회와 김정일 후계 체제 - 개혁 개방기 덩샤오핑의 후계전략과 비교를 중심으로" 아시아.유럽미래학회 8 (8): 187-205, 2011
11 대통령 기록관, "제49주년 광복절 경축사"
12 박대광, "외부사조의 북한 내 유입 확대 방향" 한국국방연구원 2011
13 임을출, "악의 축과의 대화: 북미 핵․미사일 협상의 정치학" 한울아카데미 2004
14 이근욱,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미국의 딜레마: 전략과 국내정치, 그리고 마약을 둘러싼 미국의 선택" 신아시아연구소 22 (22): 45-67, 2015
15 Harrison, Selig, "셀리그 해리슨의 코리아 엔드게임" 삼인 2003
16 양창석, "브란덴 부르크 비망록" (주)늘품플러스 2011
17 Chinoy, Mike, "북핵 롤러코스터" (주)참언론 시사IN북 2010
18 안경모, "북한의 대외전략 분석(2008-2016): ‘편승’에서 ‘균형’으로의 변화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2 (22): 5-32, 2016
19 한관수, "북한의 급변사태와 군사 대비"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6 (16): 63-93, 2009
20 이상근, "북한붕괴론의 어제와 오늘: 1990년대와 2000년대의 북한붕괴론에 대한 평가"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12 (12): 2000
21 김명기, "북한붕괴 시 흡수통일에의 미국개입의 법적 근거와 개입배제대책" 국제법학회 43 (43): 1998
22 박창희, "북한급변사태와 중국의 군사개입 전망" 세종연구소 16 (16): 33-60, 2010
23 이재봉, "북한 붕괴론과 전쟁 도발설에 관하여" 한국동북아학회 6 : 1997
24 김일영, "북한 붕괴 시 한국군의 역할 및 한계"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46 (46): 2003
25 손도심, "북한 급변사태의 이론적 재검토 : 조건·변수·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26 소치형, "북한 급변사태와 중국의 개입유형" 한양대학교 중소문제연구소 20 : 2001
27 홍현익,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 ․ 대응방안" 세종연구소 2013
28 고재홍, "북한 급변사태관련 국제적 협력문제 고찰" 북한연구소 33 (33): 205-239, 2008
29 황주희, "북한 급변사태 연구현황과 동향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30 김성한, "북한 급변사태 시 한미공조의 방향" 신아시아연구소 18 (18): 19-44, 2011
31 박휘락, "북한 ‘급변사태’ 논의의 현실성 분석과 과제: 부작용의 인식과 최소화" 통일연구원 23 (23): 41-66, 2014
32 장달중, "북미 대립"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33 Sigal, Leon V., "미국은 협력하려 하지 않았다: 북한과 미국의 핵외교" 사회평론 1999
34 전재성, "미-이라크전의 전후 처리 과정 분석: 반테러 전쟁과 민주정권 수립을 위한 개입적 패권 사업" 세종연구소 9 (9): 5-29, 2003
35 김태현, "미 대북정책 변화의 숨은 디자이너, 필립 젤리코 전 국무부 자문관" 동아일보사 2007
36 박동형, "리비아에 대한 ‘보호책임(R2P)’ 적용 사례 연구: 북한에 주는 교훈과 시사점"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287-312, 2012
37 정상돈, "동독급변사태 시 서독의 통일정책" 한국국방연구원 2012
38 양무진, "동·서독 통일의 관점에서 본남북통일 과정에서의 쟁점" 심연북한연구소 18 (18): 197-230, 2015
39 Zelikow, Philip, "독일통일과 유럽의 변환" 모음북스 2008
40 염돈재,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 한국보훈학회 11 (11): 125-150, 2012
41 김동명, "독일 통일, 그리고 한반도의 선택" 한울아카데미 2010
42 정용길, "독일 1990년 10월 3일" 동국대학교출판부 2009
43 청와대, "대통령 연설"
44 민병기, "대북식량지원 운동의 정치기회구조와 남남갈등 : 김영삼 정부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3 (43): 99-124, 2009
45 김종대, "노무현, 시대의 문턱을 넘다" 나무의 숲 2010
46 이기동,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 접근방식 비교" 북한연구학회 12 (12): 269-287, 2008
47 김연철, "냉전의 추억: 선을 넘어 길을 만들다" 후마니타스 2009
48 박태균, "남남갈등으로 표류한 김영삼 정부의 대북정책" 통일평화연구원 6 (6): 3-47, 2014
49 고유환, "김정은 후계구축과 북한 리더십 변화: 군에서 당으로 권력이동" 한국정치학회 45 (45): 175-192, 2011
50 정성임, "김정은 정권의 제도적 기반: 당과 국가기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1 (21): 31-55, 2012
51 안경모, "김정은 시대 북한 정치체제 변화에 대한 분석: 혁명정권의 딜레마와 당-국가체제적 속성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59 (59): 80-115, 2016
52 이신화, "국가실패와 보호책임(R2P)의 북한 적용가능성" 한국정치학회 46 (46): 257-281, 2012
53 "경향신문"
54 Luck, Gary., "Testimony before the House Armed Services Committee"
55 최완규, "Icarus의 비운: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 실패요인 분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4 (14): 1998
56 유상범, "Counterinsurgency의 변화와 현대적 의미에 관한 소고"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9 (59): 107-125, 2016
57 이석, "1994~2000년 북한기근: 발생, 충격 그리고 특징" 통일연구원 2004
58 이수훈, "'제2판' 급변사태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극동문제연구소 27 (27): 1-3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