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급변사태 논의의 역설 = 간과된 변수로서의 ‘북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approach that may make discussions about North Korean sudden change more appropriate and practical. To achieve this, it first analyzes and reviews the existing ones. This study examines them by using two groups. One is ‘the sudden change disourse,’ distributed from government and the media, which mainly says possibilities that some sudden changes could happen in North Korea. The others are academic and professional studies. Those two groups are closely related, but there is also a certain gap in contents and meanings. This paper makes 3 following proposals mainly based upon the assessment of the latter group. First, there are inaccurate assumptions that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means an entire anarchy or non-existence of government. Second, due to this skewed perception, North Korea, especially its people, have been overlooked among key variables. Lastly, following studies about sudden change need to focus on how to gain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people in North Korea by revising the concept for sudden chan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approach that may make discussions about North Korean sudden change more appropriate and practical. To achieve this, it first analyzes and reviews the existing ones. This study examines them by using two 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approach that may make discussions about North Korean sudden change more appropriate and practical. To achieve this, it first analyzes and reviews the existing ones. This study examines them by using two groups. One is ‘the sudden change disourse,’ distributed from government and the media, which mainly says possibilities that some sudden changes could happen in North Korea. The others are academic and professional studies. Those two groups are closely related, but there is also a certain gap in contents and meanings. This paper makes 3 following proposals mainly based upon the assessment of the latter group. First, there are inaccurate assumptions that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means an entire anarchy or non-existence of government. Second, due to this skewed perception, North Korea, especially its people, have been overlooked among key variables. Lastly, following studies about sudden change need to focus on how to gain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people in North Korea by revising the concept for sudden chan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수호, "한국의 정권교체와 대북정책 변화: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35-165, 2010

      2 "한겨레신문"

      3 정성장, "한.미의 북한 급변사태 논의와 대북 군사전략 과제" 세종연구소 2009

      4 "통일부"

      5 박성조, "통일독일과 분단한국"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6 이정철, "탈냉전기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 정책연합의 불협화음과 전환기 리더십의 한계"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131-161, 2012

      7 장형수, "최근 통일 논의에 대한 재고찰" 한국개발연구원 2015

      8 "조선중앙통신"

      9 "조선일보"

      10 이정철, "조선 로동당 3차 당 대표자회와 김정일 후계 체제 - 개혁 개방기 덩샤오핑의 후계전략과 비교를 중심으로" 아시아.유럽미래학회 8 (8): 187-205, 2011

      1 임수호, "한국의 정권교체와 대북정책 변화: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35-165, 2010

      2 "한겨레신문"

      3 정성장, "한.미의 북한 급변사태 논의와 대북 군사전략 과제" 세종연구소 2009

      4 "통일부"

      5 박성조, "통일독일과 분단한국"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6 이정철, "탈냉전기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 정책연합의 불협화음과 전환기 리더십의 한계"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131-161, 2012

      7 장형수, "최근 통일 논의에 대한 재고찰" 한국개발연구원 2015

      8 "조선중앙통신"

      9 "조선일보"

      10 이정철, "조선 로동당 3차 당 대표자회와 김정일 후계 체제 - 개혁 개방기 덩샤오핑의 후계전략과 비교를 중심으로" 아시아.유럽미래학회 8 (8): 187-205, 2011

      11 대통령 기록관, "제49주년 광복절 경축사"

      12 박대광, "외부사조의 북한 내 유입 확대 방향" 한국국방연구원 2011

      13 임을출, "악의 축과의 대화: 북미 핵․미사일 협상의 정치학" 한울아카데미 2004

      14 이근욱,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미국의 딜레마: 전략과 국내정치, 그리고 마약을 둘러싼 미국의 선택" 신아시아연구소 22 (22): 45-67, 2015

      15 Harrison, Selig, "셀리그 해리슨의 코리아 엔드게임" 삼인 2003

      16 양창석, "브란덴 부르크 비망록" (주)늘품플러스 2011

      17 Chinoy, Mike, "북핵 롤러코스터" (주)참언론 시사IN북 2010

      18 안경모, "북한의 대외전략 분석(2008-2016): ‘편승’에서 ‘균형’으로의 변화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2 (22): 5-32, 2016

      19 한관수, "북한의 급변사태와 군사 대비"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6 (16): 63-93, 2009

      20 이상근, "북한붕괴론의 어제와 오늘: 1990년대와 2000년대의 북한붕괴론에 대한 평가"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12 (12): 2000

      21 김명기, "북한붕괴 시 흡수통일에의 미국개입의 법적 근거와 개입배제대책" 국제법학회 43 (43): 1998

      22 박창희, "북한급변사태와 중국의 군사개입 전망" 세종연구소 16 (16): 33-60, 2010

      23 이재봉, "북한 붕괴론과 전쟁 도발설에 관하여" 한국동북아학회 6 : 1997

      24 김일영, "북한 붕괴 시 한국군의 역할 및 한계"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46 (46): 2003

      25 손도심, "북한 급변사태의 이론적 재검토 : 조건·변수·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26 소치형, "북한 급변사태와 중국의 개입유형" 한양대학교 중소문제연구소 20 : 2001

      27 홍현익,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 ․ 대응방안" 세종연구소 2013

      28 고재홍, "북한 급변사태관련 국제적 협력문제 고찰" 북한연구소 33 (33): 205-239, 2008

      29 황주희, "북한 급변사태 연구현황과 동향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30 김성한, "북한 급변사태 시 한미공조의 방향" 신아시아연구소 18 (18): 19-44, 2011

      31 박휘락, "북한 ‘급변사태’ 논의의 현실성 분석과 과제: 부작용의 인식과 최소화" 통일연구원 23 (23): 41-66, 2014

      32 장달중, "북미 대립"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33 Sigal, Leon V., "미국은 협력하려 하지 않았다: 북한과 미국의 핵외교" 사회평론 1999

      34 전재성, "미-이라크전의 전후 처리 과정 분석: 반테러 전쟁과 민주정권 수립을 위한 개입적 패권 사업" 세종연구소 9 (9): 5-29, 2003

      35 김태현, "미 대북정책 변화의 숨은 디자이너, 필립 젤리코 전 국무부 자문관" 동아일보사 2007

      36 박동형, "리비아에 대한 ‘보호책임(R2P)’ 적용 사례 연구: 북한에 주는 교훈과 시사점"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287-312, 2012

      37 정상돈, "동독급변사태 시 서독의 통일정책" 한국국방연구원 2012

      38 양무진, "동·서독 통일의 관점에서 본남북통일 과정에서의 쟁점" 심연북한연구소 18 (18): 197-230, 2015

      39 Zelikow, Philip, "독일통일과 유럽의 변환" 모음북스 2008

      40 염돈재,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 한국보훈학회 11 (11): 125-150, 2012

      41 김동명, "독일 통일, 그리고 한반도의 선택" 한울아카데미 2010

      42 정용길, "독일 1990년 10월 3일" 동국대학교출판부 2009

      43 청와대, "대통령 연설"

      44 민병기, "대북식량지원 운동의 정치기회구조와 남남갈등 : 김영삼 정부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3 (43): 99-124, 2009

      45 김종대, "노무현, 시대의 문턱을 넘다" 나무의 숲 2010

      46 이기동,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 접근방식 비교" 북한연구학회 12 (12): 269-287, 2008

      47 김연철, "냉전의 추억: 선을 넘어 길을 만들다" 후마니타스 2009

      48 박태균, "남남갈등으로 표류한 김영삼 정부의 대북정책" 통일평화연구원 6 (6): 3-47, 2014

      49 고유환, "김정은 후계구축과 북한 리더십 변화: 군에서 당으로 권력이동" 한국정치학회 45 (45): 175-192, 2011

      50 정성임, "김정은 정권의 제도적 기반: 당과 국가기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1 (21): 31-55, 2012

      51 안경모, "김정은 시대 북한 정치체제 변화에 대한 분석: 혁명정권의 딜레마와 당-국가체제적 속성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59 (59): 80-115, 2016

      52 이신화, "국가실패와 보호책임(R2P)의 북한 적용가능성" 한국정치학회 46 (46): 257-281, 2012

      53 "경향신문"

      54 Luck, Gary., "Testimony before the House Armed Services Committee"

      55 최완규, "Icarus의 비운: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 실패요인 분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4 (14): 1998

      56 유상범, "Counterinsurgency의 변화와 현대적 의미에 관한 소고"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9 (59): 107-125, 2016

      57 이석, "1994~2000년 북한기근: 발생, 충격 그리고 특징" 통일연구원 2004

      58 이수훈, "'제2판' 급변사태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극동문제연구소 27 (27): 1-30,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Politic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77 1.22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