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동북아 국제관계 = THAAD 배치의 정치동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rounds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decision to deploy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threat using the theory of alliance dilemma.
      South Korea needs both the strategic alliance with the US and the economic relations with China. It thus had maintained a strategic ambiguity between the two. However, as the struggle for hegemony between the US and China in East Asia intensifies, South Korea is trapped in a ‘hostility game’ being forced to choose one or the other. This situation no longer allowed South Korea’s ‘diplomacy of suspended thinking,’ which was an outcome of strategic ambiguity.
      South Korean government’s decision to deploy THAAD is the result of over-concern with the Sino-US relations in the midst of increasing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consequently has led to confusion over the issue at stak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rounds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decision to deploy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threat using the theory of alliance dilemma. South Korea needs both the strategic al...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rounds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decision to deploy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threat using the theory of alliance dilemma.
      South Korea needs both the strategic alliance with the US and the economic relations with China. It thus had maintained a strategic ambiguity between the two. However, as the struggle for hegemony between the US and China in East Asia intensifies, South Korea is trapped in a ‘hostility game’ being forced to choose one or the other. This situation no longer allowed South Korea’s ‘diplomacy of suspended thinking,’ which was an outcome of strategic ambiguity.
      South Korean government’s decision to deploy THAAD is the result of over-concern with the Sino-US relations in the midst of increasing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consequently has led to confusion over the issue at stak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헤럴드경제"

      2 모준영, "한반도 내 THAAD 배치와 미국의 전략"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7) : 27-47, 2016

      3 박휘락,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에서 사드(THAAD) 논란이 갖는 의미: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의 적용"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1 (21): 33-63, 2016

      4 나영주, "한국의 THAAD 배치와 중국의 대응전략"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7) : 48-77, 2016

      5 "한겨레"

      6 구본학, "한·미동맹과 한·중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조화" 신아시아연구소 22 (22): 135-161, 2015

      7 김영호, "탄도미사일 방어: 현황과 한국의 선택" 한국국제정치학회 50 (50): 2010

      8 고성빈, "중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 수직적 인식을 넘어서 수평적 인식으로의 발전전망" 세종연구소 12 (12): 105-134, 2006

      9 연합뉴스 동북아센터, "중국은 왜? 한반도 사드 배치에 민감한가?" 2016 (2016): 2016

      10 엄상윤, "우보 전략으로 결정 최대한 늦춰라" 동아일보사 2015

      1 "헤럴드경제"

      2 모준영, "한반도 내 THAAD 배치와 미국의 전략"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7) : 27-47, 2016

      3 박휘락,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에서 사드(THAAD) 논란이 갖는 의미: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의 적용"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1 (21): 33-63, 2016

      4 나영주, "한국의 THAAD 배치와 중국의 대응전략"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7) : 48-77, 2016

      5 "한겨레"

      6 구본학, "한·미동맹과 한·중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조화" 신아시아연구소 22 (22): 135-161, 2015

      7 김영호, "탄도미사일 방어: 현황과 한국의 선택" 한국국제정치학회 50 (50): 2010

      8 고성빈, "중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 수직적 인식을 넘어서 수평적 인식으로의 발전전망" 세종연구소 12 (12): 105-134, 2006

      9 연합뉴스 동북아센터, "중국은 왜? 한반도 사드 배치에 민감한가?" 2016 (2016): 2016

      10 엄상윤, "우보 전략으로 결정 최대한 늦춰라" 동아일보사 2015

      11 "연합뉴스"

      12 김병남, "안보란 무엇인가" 한울 2011

      13 "아주신문"

      14 쉬창원, "아베 총리 집권 후, 한미중일 경제관계분석" 2016

      15 "서울신문"

      16 이기완, "사드와 AIIB를 둘러싼 미중관계와 한국"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8 (18): 331-346, 2015

      17 우정엽, "사드가 중국에게 위협이 되는가?" 제주평화연구원 2015

      18 홍규덕, "사드(THAAD) 배치에 관한 주요쟁점과 미사일방어(MD) 전략" 신아시아연구소 22 (22): 110-134, 2015

      19 이상현, "사드 배치 발표 이후 중국의 인식과 한국의 대응" 세종연구소 2016

      20 윤정원, "북핵 위협의 실태와 우리의 대응방안, in 세계의 주요 갈등 분쟁의 실태 및 쟁점" 2016

      21 김태우, "북핵 위협과 THAAD 논쟁" 북한연구소 520 : 2015

      22 박휘락, "미국 사드의 한국 배치 논란에서 드러난 오인식(misperception)과 집단사고(groupthink) 분석" 국가정책연구소 29 (29): 25-48, 2015

      23 정철호, "미국 2012 신국방전략과 한국의 군사전략 발전방향" 세종연구소 2012

      24 "문화일보"

      25 "동아일보"

      26 이기완, "동아시아 안보에서의 초국가적 위협"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6 (16): 54-69, 2013

      27 이수형, "동맹의 딜레마와 포기-연루의 순환" 한국국제정치학회 39 (39): 1999

      28 "뉴스 1"

      29 이병구, "美, 사드 배치 논의 중국 태도 변화 이끌 카드" 평화문제연구소 387 : 2016

      30 "環球時報"

      31 박병광, "中, 한반도 사드 배치 제2의 쿠바 미사일 사태로 인식?" 평화문제연구소 387 : 2016

      32 "http://blog.naver.com/keltis"

      33 Walt, Stephen M, "Why Alliances Endure or Collapse" 39 (39): 1997

      34 Snyder, Glenn H, "The Security Dilemma in Alliance Politics" 36 (36): 1984

      35 Mandelbaum, Michael, "The Nuclear Revolution: International Politics Before and After Hiroshi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36 신영순, "THAAD논쟁에 얽힌 허와 실"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5 : 2014

      37 정경영, "THAAD 배치 논란과 한국의 안보" 한국군사학회 (81) : 2015

      38 Rothstein, Robert L, "Alliances and Small Power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39 Snyder, Glenn H, "Alliance Theory: A Neo-realist First Cut" 44 (44):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Politic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77 1.22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