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 기반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한 체육 전공 대학생의 경험 및 방향성 탐색 = The Exploration the Experiences and Dir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in Community-Base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5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한 체육 전공 대학생의 경험과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시의 대학에 재학 중인 체육 전공 대학생 10명을 유목적 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을 통해 연구참여자로 표집하였고 지역 내 발달장애인 센터의 장애아동과 함께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한 후,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범주화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기반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한 체육 전공 대학생의 긍정적 경험에서는 ‘장애인식 및 거리감 해소‘, ’교수자 역할의 중요성‘, ’직접하는 현장경험‘ 등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7개의 테마가 도출되었다. 둘째, 부정적 경험에서는 ’내게는 아직 먼 친구들‘, ’배움의 아쉬움‘ 등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4개의 테마가 도출되었다. 셋째, 방향성에서는 ’이상과 현실의 경계‘, ’미래에 대한 청사진‘ 등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4개의 테마가 도출되었다. 이에 향후 체육 전공 대학생이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통합체육 수업을 운영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학령기 중심이 아닌 지역사회 및 전 연령을 대상으로 통합체육이라는 개념이 확대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한 체육 전공 대학생의 경험과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시의 대학에 재학 중인 체육 전공 대학생 10명을 유목적 표집법(p...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한 체육 전공 대학생의 경험과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시의 대학에 재학 중인 체육 전공 대학생 10명을 유목적 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을 통해 연구참여자로 표집하였고 지역 내 발달장애인 센터의 장애아동과 함께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한 후,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범주화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기반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한 체육 전공 대학생의 긍정적 경험에서는 ‘장애인식 및 거리감 해소‘, ’교수자 역할의 중요성‘, ’직접하는 현장경험‘ 등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7개의 테마가 도출되었다. 둘째, 부정적 경험에서는 ’내게는 아직 먼 친구들‘, ’배움의 아쉬움‘ 등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4개의 테마가 도출되었다. 셋째, 방향성에서는 ’이상과 현실의 경계‘, ’미래에 대한 청사진‘ 등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4개의 테마가 도출되었다. 이에 향후 체육 전공 대학생이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통합체육 수업을 운영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학령기 중심이 아닌 지역사회 및 전 연령을 대상으로 통합체육이라는 개념이 확대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dire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ed in community-base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For this purpose, 10 physical education major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City C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fter participating in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a local developmental disability center.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xperiences of physical education majors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base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resulted in three categories and seven themes, including 'disability awareness and distance',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or's role', and 'hands-on field experience'. Second, For negative experiences, two categor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friends who are still far away from me" and "regret of learning", and four themes were identified. Third, For direction, two categories were derived, including 'boundary between ideal and reality' and 'blueprint for the future', and four themes were deriv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o run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in the community, and provide empirical data for the concept of inclusive physical activity to be expanded to the community and all ages instead of focusing on school a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dire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ed in community-base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For this purpose, 10 physical education majors enrolled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dire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ed in community-base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For this purpose, 10 physical education major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City C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fter participating in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a local developmental disability center.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xperiences of physical education majors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base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resulted in three categories and seven themes, including 'disability awareness and distance',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or's role', and 'hands-on field experience'. Second, For negative experiences, two categor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friends who are still far away from me" and "regret of learning", and four themes were identified. Third, For direction, two categories were derived, including 'boundary between ideal and reality' and 'blueprint for the future', and four themes were deriv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o run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in the community, and provide empirical data for the concept of inclusive physical activity to be expanded to the community and all ages instead of focusing on school 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형 ; 임효경, "특수체육교사의 장애학생 스포츠 활동 지도경험: 통합교육현장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29-45, 2022

      2 김지태, "특수체육" 진영디엔피 2019

      3 하윤수 ; 박수경 ; 이현수, "통합체육의 국내 학술 연구동향 분석: 2015~2020" 한국특수체육학회 29 (29): 135-146, 2021

      4 한수아 ; 신민혜 ; 조남기, "통합체육수업을 위한 장애인스포츠지도자의 우선적 가치정향" 한국사회체육학회 (90) : 437-446, 2022

      5 정현철 ; 제성준, "통합체육 수업 개선을 위한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한국체육교육학회 25 (25): 149-162, 2021

      6 하윤수 ; 박진우 ; 이현수, "초등 체육전담교사가 통합체육 수업에서 겪는 딜레마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141-154, 2022

      7 김지태 ; 강은영, "체육계열 대학생의 장애아동 체육교실 봉사활동 참여가 통합교육과 체육활동가치인식 및 재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473-483, 2009

      8 조흥식,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5

      9 신미리, "지체부자유 학생의 협력·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태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용욱 ; 송정희 ; 김병하, "지역사회중심 통합교육의 전개과정과 특수교육적 함의 : 포항 M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379-403, 2011

      1 김민형 ; 임효경, "특수체육교사의 장애학생 스포츠 활동 지도경험: 통합교육현장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29-45, 2022

      2 김지태, "특수체육" 진영디엔피 2019

      3 하윤수 ; 박수경 ; 이현수, "통합체육의 국내 학술 연구동향 분석: 2015~2020" 한국특수체육학회 29 (29): 135-146, 2021

      4 한수아 ; 신민혜 ; 조남기, "통합체육수업을 위한 장애인스포츠지도자의 우선적 가치정향" 한국사회체육학회 (90) : 437-446, 2022

      5 정현철 ; 제성준, "통합체육 수업 개선을 위한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한국체육교육학회 25 (25): 149-162, 2021

      6 하윤수 ; 박진우 ; 이현수, "초등 체육전담교사가 통합체육 수업에서 겪는 딜레마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141-154, 2022

      7 김지태 ; 강은영, "체육계열 대학생의 장애아동 체육교실 봉사활동 참여가 통합교육과 체육활동가치인식 및 재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473-483, 2009

      8 조흥식,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5

      9 신미리, "지체부자유 학생의 협력·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태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용욱 ; 송정희 ; 김병하, "지역사회중심 통합교육의 전개과정과 특수교육적 함의 : 포항 M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379-403, 2011

      11 김춘종 ; 김도윤, "중학생 관점의 통합체육 제약요인과 극복전략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159-169, 2022

      12 윤현수 ; 이의재, "중학교 경력 체육교사의 첫 통합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37-52, 2017

      13 이현수, "정신지체 학생과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비장애중학생의 부정적 태도 원인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17-28, 2005

      14 문희원 ; 이숙향,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을 위한 랩어라운드 모델의 이해 및 적용을 위한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9 (9): 165-196, 2010

      15 윤석민, "일반체육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이 비장애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8 (58): 361-370, 2019

      16 박재국, "유아교육기관중심통합교육" 서현사 2011

      17 김욱 ; 이현 ; 김학환, "예비·경력체육교사의 통합체육 교수내용지식(PCK)에 관한 개념도 비교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137-149, 2022

      18 부경희 ; 공현주 ; 박성준,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돌봄 부담과 삶의 질의 관계 - 우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발달장애학회 25 (25): 249-271, 2021

      19 유진호 ; 강유석, "성공적인 통합체육수업 실행 환경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스포츠인류학회 16 (16): 47-70, 2021

      20 박상수 ; 김춘종, "성공적 통합체육을 위한 구성요소 및 우선순위 선정"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135-148, 2011

      21 "서울신문"

      22 김태중 ; 문경민 ; 이현수,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수업 참여가 장애인식 변화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117-132, 2020

      23 박민정,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2 (22): 1-13, 2014

      24 이서희,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의 통합체육의 적용" 한국체육과학회 29 (29): 777-789, 2020

      25 박상수 ; 고영환 ; 김춘종, "미국 통합체육 수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체험적 사례연구: 버지니아 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1 (51): 455-465, 2012

      26 김원형, "메타버스 동아리를 활용한 특수학교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27 진주연 ; 이후경 ; 김지안 ; 최서언, "국내 통합체육 연구의 동향: 텍스트 마이닝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117-135, 2022

      28 이재현, "‘소크라테스 산파술’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대동철학회 101 : 233-252, 2022

      29 Bruns, E. J., "Who administers wraparound?" 15 (15): 156-168, 2007

      30 Rose, 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16 : 66-67, 2000

      31 Bota, A., "Unified sports–a social inclusion factor in school communities for you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17 : 21-26, 2014

      32 이학준 ; 김영선 ; 김용욱, "UDL 기반 통합체육에서 e스포츠의 효용과 활용"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1 (21): 215-234, 2020

      33 Nilholm, C., "Research about inclusive education in 2020–How can we improve our theories in order to change practice?" 36 (36): 358-370, 2021

      34 Nordness, P. D., "Reliability of the wraparound observation form—second version : An instrument designed to assess the fidelity of the wraparound approach" 5 (5): 89-96, 2003

      35 Stambaugh, L. F., "Outcomes from wraparound and multisystemic therapy in a center for mental health services system-of-care demonstration site" 15 (15): 143-155, 2007

      36 Guba, E. G.,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Sage 1989

      37 Van Kaam, A., "Existential foundations of psychology" Doubleday 1969

      38 Dickinson, K. J.,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principles to surgical education during the COVID-19pandemic" 77 (77): 1008-1012,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