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 윤휴(1617~1680)가 살았던 17세기의 조선 사회는 한국유학사에 있어 일대 전환기로 알려져 있다. 1392년에 건국된 조선 왕조의 지도적 이념이었던 성리학은 조금 앞선 16세기에 그 정치한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백호 윤휴(1617~1680)가 살았던 17세기의 조선 사회는 한국유학사에 있어 일대 전환기로 알려져 있다. 1392년에 건국된 조선 왕조의 지도적 이념이었던 성리학은 조금 앞선 16세기에 그 정치한 이...
백호 윤휴(1617~1680)가 살았던 17세기의 조선 사회는 한국유학사에 있어 일대 전환기로 알려져 있다. 1392년에 건국된 조선 왕조의 지도적 이념이었던 성리학은 조금 앞선 16세기에 그 정치한 이론의 꽃을 활짝 피었다. 특히 퇴계 이황(1501~1570)과 율곡 이이(1536~1584)의 철학은 고도의 이론 체계를 수립하여 이후 한국성리학의 특성을 정립하였을 뿐 아니라 양인은 강학에도 힘을 써 근세에 까지 계승된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형성은 이로부터 비롯되었던 것이다. 실로 한국 유학사에서의 양 개 학파의 공로는 지대한 것이었다. 백호가 살았던 때는 바로 이들 학파가 형성된 지1세기가 경과하여 그에 따른 전통이 공고해지기 시작하던 시대였다. 양 학파는 각기 학조의 이론에 근거하여 상대방의 학설을 비판한 것이 두드러진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