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수로왕 탄생신화의 심리학적 해석-분석심리학 관점에서 =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Birth-Myth of King Surothe viewpoint of analytical psych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58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birth-myth of King Suro. It is based on the premise of Analytical Psychology that a myth is the product of human psyche and the projection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In this study, mythologem, the key motif in myth, and the development of mythological contents were regarded to correspond to archetypal images and libidinal transformation processes. Symbolic meanings of myth were explored through the hermeneutic method with amplification of symbols and comparisons among similar stories. And meanings of the mythical symbols were interpreted as an intra-psychic phenomena. The purpose of myth analysis in Analytical Psychology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a that occur inside of human psyche. To comprehend mythical symbols could be one way to get insights into the abyssal unconsciousness, which is called "Object Psyche, i.e. the Other in me"; therefore we can get help in restoring the psychic totality and equilibrium through walking out of one-sidedness of the consciou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uggestions were made.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birth-myth of King Suro. It is based on the premise of Analytical Psychology that a myth is the product of human psyche and the projection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In this study, mythologem, the key motif in my...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birth-myth of King Suro. It is based on the premise of Analytical Psychology that a myth is the product of human psyche and the projection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In this study, mythologem, the key motif in myth, and the development of mythological contents were regarded to correspond to archetypal images and libidinal transformation processes. Symbolic meanings of myth were explored through the hermeneutic method with amplification of symbols and comparisons among similar stories. And meanings of the mythical symbols were interpreted as an intra-psychic phenomena. The purpose of myth analysis in Analytical Psychology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a that occur inside of human psyche. To comprehend mythical symbols could be one way to get insights into the abyssal unconsciousness, which is called "Object Psyche, i.e. the Other in me"; therefore we can get help in restoring the psychic totality and equilibrium through walking out of one-sidedness of the consciou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uggestions were ma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수로왕 탄생신화에 대한 분석으로 신화란 인간정신의 소산이며 인간정신의 심층에 있는 집단무의식의 내용물이 투사된 것이라는 분석심리학적인 전제를 기초로 하였다. 본문에서는 신화의 핵심 주제인 신화소와 신화내용의 전개를 집단무의식의 원형과 리비도의 변환과정에 상응하는 것으로 보고, 상징에 대한 확충과 유화비교를 통한 해석학적 방법으로 신화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와 개인 내면의 정신현상과 어떻게 연관될 수 있는지 탐구해 보았다. 분석심리학에서 신화를 분석하는 목적은 정신의 심층적인 내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무의식에 대한 통찰의 한 방편이며, 이를 통해 의식이 지향하는 일방성에서 벗어나 전체 정신의 균형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수로왕 탄생신화에 대한 분석으로 신화란 인간정신의 소산이며 인간정신의 심층에 있는 집단무의식의 내용물이 투사된 것이라는 분석심리학적인 전제를 기초로 하였다. 본문에서는...

      본고는 수로왕 탄생신화에 대한 분석으로 신화란 인간정신의 소산이며 인간정신의 심층에 있는 집단무의식의 내용물이 투사된 것이라는 분석심리학적인 전제를 기초로 하였다. 본문에서는 신화의 핵심 주제인 신화소와 신화내용의 전개를 집단무의식의 원형과 리비도의 변환과정에 상응하는 것으로 보고, 상징에 대한 확충과 유화비교를 통한 해석학적 방법으로 신화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와 개인 내면의 정신현상과 어떻게 연관될 수 있는지 탐구해 보았다. 분석심리학에서 신화를 분석하는 목적은 정신의 심층적인 내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무의식에 대한 통찰의 한 방편이며, 이를 통해 의식이 지향하는 일방성에서 벗어나 전체 정신의 균형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신화" 129-134, 1998

      2 "한국민속대사전" 1998

      3 "한국무속연구" 문당 : 77 314 359-78 316 360, 1981

      4 "한국고대시문학사 연구" 한신문화사 11-47, 1984

      5 "한국 민간의 정신병관과 그 치료 -무속사회의 정신병관" 35-45, 1970

      6 "증산사상에서의 상제와 동학의 하느님 증산사상연구 제 20집" 411-432, 1994

      7 "중국의 고대신화" 문예출판사 1997

      8 "조선무가 연구 I" 조선총독부 1937

      9 "제주도 신화" 36-63, 1996

      10 "융학파의 꿈 해석" 83-84, 2004

      1 "한국의 신화" 129-134, 1998

      2 "한국민속대사전" 1998

      3 "한국무속연구" 문당 : 77 314 359-78 316 360, 1981

      4 "한국고대시문학사 연구" 한신문화사 11-47, 1984

      5 "한국 민간의 정신병관과 그 치료 -무속사회의 정신병관" 35-45, 1970

      6 "증산사상에서의 상제와 동학의 하느님 증산사상연구 제 20집" 411-432, 1994

      7 "중국의 고대신화" 문예출판사 1997

      8 "조선무가 연구 I" 조선총독부 1937

      9 "제주도 신화" 36-63, 1996

      10 "융학파의 꿈 해석" 83-84, 2004

      11 "신화와 현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12 "소위 강신적 입무과정의 정신의학적 연구-한국무속 관계 자료에 의거한" 32-57, 1962

      13 "세계의 창조신화" 2001

      14 "문학과 지성 제 28" 29 : 1977

      15 "목소리 원형" 2003

      16 "김수로왕 탄생신화 및 영신가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123-135, 1970

      17 "구지가 연구" 7-17, 1997

      18 "고대예술과 제의" 1996

      19 "가락국기의 신화학적 연구" 37-59, 1998

      20 "Two kinds of thinking In Symbols of transformation The collected works of C" 1952

      21 "The way of the dream- conversations on Jungian dream interpretation with M-L von Franz" 1994

      22 "The psychology of child archetype The collected works of C" 9-1, 1940

      23 "The masks of god" Ltd 1964

      24 "The masks of god" Ltd 1962

      25 "The collected works of C" 1944

      26 "Symbols of transformation The collected works of C" 1952

      27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mother archetype The collected works of C" 9-1, 1938

      28 "On psychic energy in The structure & dynamics of the psyche The collected works of C" 1928

      29 "Motif index of folk-literature" Indiana university press 1975

      30 "Interpretation of Fairytales" 1970

      31 "I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The collected works of C" 67-91, 1957

      32 "Essays on a science of myth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8

      33 "Archetype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collected works of C" 9-1, 1934

      34 "Archaic techniques of ecstacy Bollingen Princeton university of press" 1964

      35 Routledge, "A dictionary of symbols" 234-237,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