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카프 방향전환론의 재검토 = A Re-examination on the Re-orientation of the KAP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828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re-examine the arguments around the re-orientation of the KAPF. The re-orientation had been so far approached either in terms of critical history or by the sorting out of participants’ theoretical positions on particular issues. However, the former approach is not entitled to be called a proper study of this matter; the latter has a corresponding weakness in that i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articipants.
      The alleged thesis of "reorientation" sprang from the recognition that now was the time of struggle. Thinking that the new tendencious literary form was unable to play an adequate role for the time of struggle, those left-leaning writers demanded new artistic forms that would facilitate commitment to the political struggle. In short, they aimed to develop a logic combining art and literature with the political struggle.
      They faced many problems. To mention a few, the relationship of the artistic particularity to the political struggle; the class movement and allied national fro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 movement and the artistic movement. However, they did not develop any convincing logics to solves those problems. Furthermore, failure to provide successful literary works that corresponded to their theories of the second phase shows that the thesis was no more than an empty rhetoric that led to no real practice.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to re-examine the arguments around the re-orientation of the KAPF. The re-orientation had been so far approached either in terms of critical history or by the sorting out of participants’ theoretical positions on particular issue...

      This study is aimed to re-examine the arguments around the re-orientation of the KAPF. The re-orientation had been so far approached either in terms of critical history or by the sorting out of participants’ theoretical positions on particular issues. However, the former approach is not entitled to be called a proper study of this matter; the latter has a corresponding weakness in that i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articipants.
      The alleged thesis of "reorientation" sprang from the recognition that now was the time of struggle. Thinking that the new tendencious literary form was unable to play an adequate role for the time of struggle, those left-leaning writers demanded new artistic forms that would facilitate commitment to the political struggle. In short, they aimed to develop a logic combining art and literature with the political struggle.
      They faced many problems. To mention a few, the relationship of the artistic particularity to the political struggle; the class movement and allied national fro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 movement and the artistic movement. However, they did not develop any convincing logics to solves those problems. Furthermore, failure to provide successful literary works that corresponded to their theories of the second phase shows that the thesis was no more than an empty rhetoric that led to no real pract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투쟁기와 방향전환
      • Ⅲ. 이론투쟁과 작품활동
      • Ⅳ. 결론
      • 참 고 문 헌
      • Ⅰ. 서론
      • Ⅱ. 투쟁기와 방향전환
      • Ⅲ. 이론투쟁과 작품활동
      • Ⅳ. 결론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일 프로문학론의 비교연구" 푸른사상 2000

      2 "한국현대문학비평입문" 자유사상사 1995

      3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1973

      4 "한국 현대문학 논쟁의 비평사적 연구" 1980

      5 "한국 프롤레타리아 문학연구" 1992

      6 "한국 민족문학론 연구" 1988

      7 "한국 근대문학 비평사" 소명출판 1999

      8 "한국 근대 문학비평론 연구"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96

      9 "한국 계급문학 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10 "프로문예운동의 방향전환에 있어서 레닌주의와 그에 대한 비판 관악어문연구 12권" 1987

      1 "한일 프로문학론의 비교연구" 푸른사상 2000

      2 "한국현대문학비평입문" 자유사상사 1995

      3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1973

      4 "한국 현대문학 논쟁의 비평사적 연구" 1980

      5 "한국 프롤레타리아 문학연구" 1992

      6 "한국 민족문학론 연구" 1988

      7 "한국 근대문학 비평사" 소명출판 1999

      8 "한국 근대 문학비평론 연구"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96

      9 "한국 계급문학 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10 "프로문예운동의 방향전환에 있어서 레닌주의와 그에 대한 비판 관악어문연구 12권" 1987

      11 "카프비평의 이해" 1989

      12 "카프 제1차 방향전환론의 몇 가지 유형" 한국언어문학회 42 : 1999

      13 "제2 투쟁기는 도래하였다"

      14 "일본 프로문학론과 운동" 문예미학회 3 : 1997

      15 "일본 프로문학과 한국문학 연구사" 1987

      16 "역사문제연구소 카프 문학운동 연구" 1994

      17 "신경향파 문학과 무산파의 문학"

      18 "속 뇌동성 문예론의 극복" 조선일보 719-23,

      19 "소위 단계와 프로문예운동" 조선일보 31-9,

      20 "방향전환기에 입한 문예운동" 17-20,

      21 "문예의식 구성과 계급문학의 진출"

      22 "문예운동의 이론과 실제" 본부초안

      23 "문예운동의 방향전환"

      24 "문예운동의 목적의식론"

      25 "무산예술운동의 집단적 의의"

      26 "무산계급 예술운동의 정치적 역할"

      27 "뇌동성 문예론의 극복"

      28 "계급예술론의 신전개"

      29 "강허봉 ‘비마르크스주의 문예론의 배격’을 배격함" 3-10,

      30 "1920-30년대 문예운동에 있어서의 방향전환론 연구"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