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자의 교육적 인간상과 탈현대적 함의 = The Post-modern Implications of Confucious an Educational ide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1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사회에서 교육위기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된 것은 오래
      된 일이다.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높아지는 반면, 교육에 대한 만
      족도는 떨어지고 있으며 교육현실에 대한 불만은 커지고 있다.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투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호전
      되기보다는 더 많은 교육문제가 대두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논문에서는 현대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근본 원인은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낡은 교육관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그로 인해
      서, 오늘날 교육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대표적인 교육위기의
      실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교육은 교육목표를 상실하였다. 둘째, 교
      육현장은 파괴되고 있다. 셋째, 교육적 인간상이 왜곡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현대교육이 직면한 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해서, 먼저 공자의 교육관을 교육의 목표, 교육의 원칙, 교육의 방법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공자의 교육적 인간상을 도道와
      하나가 되는 인간, 복례復禮하는 인간, 공감하는 인간의 관점에서 모색
      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공자의 교육적 인간상이 가지는 탈현대적
      함의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우리사회에서 교육위기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된 것은 오래 된 일이다.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높아지는 반면, 교육에 대한 만 족도는 떨어지고 있으며 교육현실에 대한 불만...

      우리사회에서 교육위기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된 것은 오래
      된 일이다.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높아지는 반면, 교육에 대한 만
      족도는 떨어지고 있으며 교육현실에 대한 불만은 커지고 있다.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투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호전
      되기보다는 더 많은 교육문제가 대두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논문에서는 현대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근본 원인은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낡은 교육관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그로 인해
      서, 오늘날 교육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대표적인 교육위기의
      실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교육은 교육목표를 상실하였다. 둘째, 교
      육현장은 파괴되고 있다. 셋째, 교육적 인간상이 왜곡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현대교육이 직면한 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해서, 먼저 공자의 교육관을 교육의 목표, 교육의 원칙, 교육의 방법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공자의 교육적 인간상을 도道와
      하나가 되는 인간, 복례復禮하는 인간, 공감하는 인간의 관점에서 모색
      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공자의 교육적 인간상이 가지는 탈현대적
      함의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became long time that social consensus of educational crisis has formed in
      Korea. Concern and investment to education has increased. But satisfaction to
      education has fallen and discontents to education has heightened. What is the reason
      that more educational problems are arisen in spite of higher concern and more
      investment to education?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old view of education which can not meet the
      requirement of the time a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As the results, today’s education is faced with the serious crisis. The current states of
      educational cri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rn education loose the educational
      goal. Second, the educational spot is been destructing. Third, the educational view of
      human being is distorted.
      In this paper, we will look for Confucious view of education to find the answer of
      modern educational crisis. We will describe Confucious view of education as
      educational goal, educational principle, and educational methods. Next, we will explain
      Confucious educational view of human being as human being becoming one with tao,
      human being recovering courtesy, and sympathizing human being. Finally, we will
      explore the post-modern implications of Confucious educational view of human being.
      번역하기

      It became long time that social consensus of educational crisis has formed in Korea. Concern and investment to education has increased. But satisfaction to education has fallen and discontents to education has heightened. What is the reason that mo...

      It became long time that social consensus of educational crisis has formed in
      Korea. Concern and investment to education has increased. But satisfaction to
      education has fallen and discontents to education has heightened. What is the reason
      that more educational problems are arisen in spite of higher concern and more
      investment to education?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old view of education which can not meet the
      requirement of the time a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As the results, today’s education is faced with the serious crisis. The current states of
      educational cri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rn education loose the educational
      goal. Second, the educational spot is been destructing. Third, the educational view of
      human being is distorted.
      In this paper, we will look for Confucious view of education to find the answer of
      modern educational crisis. We will describe Confucious view of education as
      educational goal, educational principle, and educational methods. Next, we will explain
      Confucious educational view of human being as human being becoming one with tao,
      human being recovering courtesy, and sympathizing human being. Finally, we will
      explore the post-modern implications of Confucious educational view of human be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 Ⅱ. 공자의 교육관
      • Ⅲ. 교육적 인간상
      • Ⅳ. 결 론
      • 참고문헌
      • Ⅰ. 문제제기
      • Ⅱ. 공자의 교육관
      • Ⅲ. 교육적 인간상
      • Ⅳ. 결 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신문, "학교 컨설팅, 교육 문제의 해답될 것" 2014

      2 홍승표, "탈현대와 동양사상의 재발견" 계명대학교출판부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2

      3 김용석, "철학정원" 한겨레출판, 2007

      4 정재걸, "전통 교육, 근대 교육, 탈근대 교육" 사회사상과 문화 6 : 133 ~ 168, 2002

      5 이현지, "유교연구의 새로운 지평-근대성을 넘어서" 철학논총 4 (54) : 131 ~ 145, 2008

      6 박재주, "유가윤리에서의 공감(sympathy)의 원리" 도덕교육연구 18 (2) : 215 ~ 238, 2007

      7 정재걸, "유가 교육 사상의 탈근대적 의미" 동양사회사상 2 : 127 ~ 162, 1999

      8 홍승표, "동양사상과 탈현대적 삶" 계명대학교출판부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1

      9 유교문화연구소, "논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10 이영재, "공자의‘서(恕)’개념에 관한 공감도덕론적 해석" 한국정치학회보 47 (1) : 29 ~ 46, 2013

      1 한국교육신문, "학교 컨설팅, 교육 문제의 해답될 것" 2014

      2 홍승표, "탈현대와 동양사상의 재발견" 계명대학교출판부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2

      3 김용석, "철학정원" 한겨레출판, 2007

      4 정재걸, "전통 교육, 근대 교육, 탈근대 교육" 사회사상과 문화 6 : 133 ~ 168, 2002

      5 이현지, "유교연구의 새로운 지평-근대성을 넘어서" 철학논총 4 (54) : 131 ~ 145, 2008

      6 박재주, "유가윤리에서의 공감(sympathy)의 원리" 도덕교육연구 18 (2) : 215 ~ 238, 2007

      7 정재걸, "유가 교육 사상의 탈근대적 의미" 동양사회사상 2 : 127 ~ 162, 1999

      8 홍승표, "동양사상과 탈현대적 삶" 계명대학교출판부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1

      9 유교문화연구소, "논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10 이영재, "공자의‘서(恕)’개념에 관한 공감도덕론적 해석" 한국정치학회보 47 (1) : 29 ~ 46, 2013

      11 심우섭, "공자의 인간각치관에 관한 연구- 인사상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39 : 1 ~ 26, 2004

      12 김대곤, "공자의 이상적 인간관" 경산대학교 대학원, 2001

      13 고재욱, "공자의 사회사상 연구" 중국학보 53 : 261 ~ 280, 2006

      14 장윤수, "공자의 발문을 통해서 본 유가적 교학이념의 특징" 철학논총 4 (38) : 55 ~ 79, 2004

      15 김경미, "공자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2009

      16 이광소, "공자의 교육사상과 방법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7 이재설, "공자의 교육사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18 장승희, "공자사상에서 정서교육의 해법 찾기『논어』에 대한 경영학적 해석" 동양철학연구 (61) : 159 ~ 192, 2010

      19 이진희, "공감과 그 도덕 교육적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도덕윤리과교육 (26) : 77 ~ 100, 2008

      20 정재걸, "경북의 유학과 선비정신" 한국국학진흥원 : 177 ~ 197, 2014

      21 장흥효, "敬堂日記" 한국국학진흥원, 2012

      22 박연호, "敎師로서의 孔子: 業績과 그 敎育史的意義" 교육사학연구 12 : 1 ~ 70, 2002

      23 이현지, "儒家的 삶의 脫現代的 含意 -敬堂 張興孝의 工夫論과 持敬의 삶을 중심으로-" 유교사상문화연구 (54) : 317 ~ 338, 2013

      24 임가희, "《논어》속에 나타난 공자의 교육관"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