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한기 기학의 근대적 인간관 = The modern view on human of Choe Han-ki’s Ki-h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19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존연구들이 최한기 기학 성립에 영향을 준 서양의 자연과학적
      성과에만 주목하고 그것의 전제가 되는 근대적 정신 및 인간관에는 크게 주
      목하지 않았다고 보고 이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최
      한기의 기학에 여전히 전통적인, 성리학적인, 비과학적인, 반실증주의적인 요
      인들이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적 인간이 출현할 수 있는 이념적
      요소와 논리 체계를 일정 부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로써 기학적 인간이 전근
      대와 근대를 잇는 가교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인간학적 토대를 해
      명할 수 있었다. 최한기의 기학적 인간관이 갖는 근대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을 신기적 존재로 파악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실
      증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기학적 인간관이 이성의 각성을 강조함으로써 인간 정신의 자유로운
      활동과 무한한 진보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셋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의 주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성리학의 전체주의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개인주의적 인간이 탄생할 이념적 토대를 제공했다.
      넷째, 기학적 인간관은 사물에 대한 인식이 대기운화라는 자연법칙에 의존
      하는 과학주의적 관점을 가졌다. 자연의 물리적 법칙이 인간사회의 규범적 원
      리로 간주된다.
      다섯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의 도덕성을 선천적 본성이 아니라 구체적 사
      회적 관계에서 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였다.
      여섯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 정신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어 낙관적인 세계관을 가졌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기존연구들이 최한기 기학 성립에 영향을 준 서양의 자연과학적 성과에만 주목하고 그것의 전제가 되는 근대적 정신 및 인간관에는 크게 주 목하지 않았다고 보고 이것을 밝히...

      본 논문은 기존연구들이 최한기 기학 성립에 영향을 준 서양의 자연과학적
      성과에만 주목하고 그것의 전제가 되는 근대적 정신 및 인간관에는 크게 주
      목하지 않았다고 보고 이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최
      한기의 기학에 여전히 전통적인, 성리학적인, 비과학적인, 반실증주의적인 요
      인들이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적 인간이 출현할 수 있는 이념적
      요소와 논리 체계를 일정 부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로써 기학적 인간이 전근
      대와 근대를 잇는 가교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인간학적 토대를 해
      명할 수 있었다. 최한기의 기학적 인간관이 갖는 근대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을 신기적 존재로 파악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실
      증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기학적 인간관이 이성의 각성을 강조함으로써 인간 정신의 자유로운
      활동과 무한한 진보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셋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의 주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성리학의 전체주의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개인주의적 인간이 탄생할 이념적 토대를 제공했다.
      넷째, 기학적 인간관은 사물에 대한 인식이 대기운화라는 자연법칙에 의존
      하는 과학주의적 관점을 가졌다. 자연의 물리적 법칙이 인간사회의 규범적 원
      리로 간주된다.
      다섯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의 도덕성을 선천적 본성이 아니라 구체적 사
      회적 관계에서 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였다.
      여섯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 정신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어 낙관적인 세계관을 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verify the modern view on human in the Choe Han-ki's
      Ki-hak(philosophy of Ki). The great part of Choe Han-ki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cientific achievement but overlooked the modern view on human of a western science
      as a ground for his Ki-hak. Through this study, I could find some modern ideological
      factors and logical systems in the Ki-hak, in spite of having many traditional,
      neo-confucian, non-scientific, and anti-positivist factors. By this, I could explain the
      anthropologic foundation of the view on human of Choe Han-ki who undertook the
      role of connection between premodern and modern. I can summarize the connotations
      of the view on human of Choe Han-ki's Ki-hak as follows.
      First, the view on human of the Ki-hak allowed positivist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 by understanding human as Ki's being.
      Second, the view on human of Ki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nfinite progress of
      human by emphasizing the disenchantment of reason.
      Third, the view on human of Ki-hak provided ideological base for the birth of
      individual human by emphasizing human subjectivity which is free from the
      totalitarian world-view of neo-confucianism.
      For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had scientific perspective which the perception
      for matter depend on Dea-ki-un-wa as a natural law. It regards the physical law of
      nature as a normative principle of human society.
      Fif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perceives human as social being in the fact
      that it look for human morality in the social relationship, not in the innate nature.
      Six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had optimistic world view in the fact that it
      hold belief for successive progress of the human mind.
      번역하기

      This paper aimed to verify the modern view on human in the Choe Han-ki's Ki-hak(philosophy of Ki). The great part of Choe Han-ki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cientific achievement but overlooked the modern view on human of a western science as a gr...

      This paper aimed to verify the modern view on human in the Choe Han-ki's
      Ki-hak(philosophy of Ki). The great part of Choe Han-ki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cientific achievement but overlooked the modern view on human of a western science
      as a ground for his Ki-hak. Through this study, I could find some modern ideological
      factors and logical systems in the Ki-hak, in spite of having many traditional,
      neo-confucian, non-scientific, and anti-positivist factors. By this, I could explain the
      anthropologic foundation of the view on human of Choe Han-ki who undertook the
      role of connection between premodern and modern. I can summarize the connotations
      of the view on human of Choe Han-ki's Ki-hak as follows.
      First, the view on human of the Ki-hak allowed positivist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 by understanding human as Ki's being.
      Second, the view on human of Ki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nfinite progress of
      human by emphasizing the disenchantment of reason.
      Third, the view on human of Ki-hak provided ideological base for the birth of
      individual human by emphasizing human subjectivity which is free from the
      totalitarian world-view of neo-confucianism.
      For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had scientific perspective which the perception
      for matter depend on Dea-ki-un-wa as a natural law. It regards the physical law of
      nature as a normative principle of human society.
      Fif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perceives human as social being in the fact
      that it look for human morality in the social relationship, not in the innate nature.
      Six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had optimistic world view in the fact that it
      hold belief for successive progress of the human mi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언
      • 2. 이성적 인간에 대한 각성
      • 3. 주체적 인간상의 확립
      • 4. 지적, 과학적 인간의 탄생
      • 5. 사회적 존재로서의 성장
      • 1. 서언
      • 2. 이성적 인간에 대한 각성
      • 3. 주체적 인간상의 확립
      • 4. 지적, 과학적 인간의 탄생
      • 5. 사회적 존재로서의 성장
      • 6. 역사적으로 성장하는 존재
      • 7. 맺는 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