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과 지원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erception of Independent Living in Community and Need for Supporting Service for Mental Disorder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6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Purpose: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ho were using mental health service in the Seoul mental health agenc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 of the independent living considered by the corresponding people and the perception and need for leading an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As a quantitative study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independent life support service system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in seoul helping them lead an independent life based on their needs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a policy basis.


      ▪Study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for the 19-year-old or olde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ho were using mental health agencies in Seoul, from September 21 (Mon.) to December 2(Wen.), 2020. The total 20 agencies in the 5 regions were purposively sampled to prevent the bias of the survey subjects in each region of Seoul, and the final data on the 287 people of the 5 agency types were analyzed. SPSS 18.0 was used to do a frequency analysis for checking general subject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and a priority analysis for checking the meaning of an independent living.

      ▪Study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study participant perceived the preparation of an independent residential space and the independence of an economic situation as the greatest factor of an independent living and expected the recovery of everyday life by living an independent life for itself through an independent living. It was identified that a supporting service was necessary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o lead independent livings more stably and that the plan and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 reflect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ed, and necessity of an individual were to be accompanied essentially.

      ▪Conclusion: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nd proposals were derived on the basis of study results. First, in order to actually lead an independent living, a sufficient and independent residential space needs, with the economic and living supports required accordingly. Second, the role of the mental health agency of a community is very important, and the function of each agency needs to be strengthened. Third, the various services reflecting the individual need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competence of a service provider should be also accompanied.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come the basis for preparing the service system and policy foundation for supporting an independent living focusing on the need and option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ccordingly.

      ▪Keywords: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community, independence, independent living, supporting service
      번역하기

      ▪Study Purpose: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ho were using mental health service in the Seoul mental health agenc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 of the independent living considered by the corresponding people and the perception and ...

      ▪Study Purpose: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ho were using mental health service in the Seoul mental health agenc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 of the independent living considered by the corresponding people and the perception and need for leading an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As a quantitative study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independent life support service system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in seoul helping them lead an independent life based on their needs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a policy basis.


      ▪Study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for the 19-year-old or olde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ho were using mental health agencies in Seoul, from September 21 (Mon.) to December 2(Wen.), 2020. The total 20 agencies in the 5 regions were purposively sampled to prevent the bias of the survey subjects in each region of Seoul, and the final data on the 287 people of the 5 agency types were analyzed. SPSS 18.0 was used to do a frequency analysis for checking general subject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and a priority analysis for checking the meaning of an independent living.

      ▪Study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study participant perceived the preparation of an independent residential space and the independence of an economic situation as the greatest factor of an independent living and expected the recovery of everyday life by living an independent life for itself through an independent living. It was identified that a supporting service was necessary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o lead independent livings more stably and that the plan and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 reflect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ed, and necessity of an individual were to be accompanied essentially.

      ▪Conclusion: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nd proposals were derived on the basis of study results. First, in order to actually lead an independent living, a sufficient and independent residential space needs, with the economic and living supports required accordingly. Second, the role of the mental health agency of a community is very important, and the function of each agency needs to be strengthened. Third, the various services reflecting the individual need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competence of a service provider should be also accompanied.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come the basis for preparing the service system and policy foundation for supporting an independent living focusing on the need and option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ccordingly.

      ▪Keywords: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community, independence, independent living, supporting serv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 정신건강관련 기관에서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당사자가 생각하는 자립생활의 개념과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영위하는 것에 대한 인식 및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된 양적연구로, 향후 당사자가 욕구에 기반한 자립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서비스 체계 구축 및 정책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0년 09월 21일(월)부터 12월 02일(수)까지 서울시 정신건강관련 기관을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서울 지역구별 조사대상자가 편중되지 않도록 5개 권역의 총 20개 기관을 유의표집하였으며, 5개 기관 유형의 287명을 최종 데이터 분석하였다. SPSS 18.0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자립생활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한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가 생각하는 자립생활이란 독립적인 거주공간 마련 및 경제적 독립을 가장 큰 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자립생활을 통해 스스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감으로써 일상의 회복을 기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사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자립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지원서비스가 필요하며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뿐 아니라 욕구와 필요도를 반영한 서비스의 계획 및 이행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정책적 함의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제 자립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충분한 독립적 주거공간 확보와 이를 위한 경제적, 생활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련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각 기관의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당사자의 개별적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하며, 서비스제공자의 역량강화도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욕구와 선택권을 중심으로 한 자립생활지원 서비스 체계 및 정책적 기반 마련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용어: 정신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자립생활, 지원서비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 정신건강관련 기관에서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당사자가 생각하는 자립생활의 개념과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영위하는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 정신건강관련 기관에서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당사자가 생각하는 자립생활의 개념과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영위하는 것에 대한 인식 및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된 양적연구로, 향후 당사자가 욕구에 기반한 자립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서비스 체계 구축 및 정책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0년 09월 21일(월)부터 12월 02일(수)까지 서울시 정신건강관련 기관을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서울 지역구별 조사대상자가 편중되지 않도록 5개 권역의 총 20개 기관을 유의표집하였으며, 5개 기관 유형의 287명을 최종 데이터 분석하였다. SPSS 18.0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자립생활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한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가 생각하는 자립생활이란 독립적인 거주공간 마련 및 경제적 독립을 가장 큰 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자립생활을 통해 스스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감으로써 일상의 회복을 기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사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자립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지원서비스가 필요하며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뿐 아니라 욕구와 필요도를 반영한 서비스의 계획 및 이행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정책적 함의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제 자립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충분한 독립적 주거공간 확보와 이를 위한 경제적, 생활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련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각 기관의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당사자의 개별적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하며, 서비스제공자의 역량강화도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욕구와 선택권을 중심으로 한 자립생활지원 서비스 체계 및 정책적 기반 마련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용어: 정신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자립생활, 지원서비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정신장애인의 삶
      • 2.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 3. 자립생활 지원서비스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정신장애인의 삶
      • 2.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 3. 자립생활 지원서비스
      • Ⅲ. 연구방법
      • 1. 조사대상
      • 2. 조사기간 및 표집방법
      • 3. 조사 도구
      • 4. 분석 방법
      • Ⅳ. 연구결과
      • 1. 일반적 특성
      • 2. 지역사회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 및 욕구
      • 3. 자립생활 지원서비스에 관한 욕구
      • Ⅴ. 결론
      • 1. 정책적 제언
      • 2.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 Ⅵ.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