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교육성과 평가를 위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o Evaluate Higher Education outco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3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이 대학의 교육성과로 공정하게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활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다양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사례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우선 취업통계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을 위한 평가기준에 취업률이 25% 반영되고 있으며, 다른 기준에 비해 대학간 편차가 크게 때문에 의사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취업통계 활용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취업통계 산정기준 측면에서는 취업자 정의, 취업자 구분 등에서 문제점이 드러났고, 취업통계 조사방법 측면에서는 취업통계 조사시기, 조사 신뢰도 등에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취업통계 결과활용 측면에서는 정규직 취업률 비중과 취업의 질 미반영 등의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활용의 문제점 진단을 토대로 취업통계 산정기준(취업자 정의 및 구분, 취업현황 조사항목), 취업통계 조사방법(취업통계 조사시기, 취업률 조사 신뢰도 확보), 취업통계 결과활용(취업률 지표 공식 개선, 학교특성 반영, 재추적 조사결과에 따른 가점/감점 부여)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고등교육기관의 교육성과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취업통계 뿐만 아니라 졸업생 만족도, 졸업생 학습성과 등과 같은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이 대학의 교육성과로 공정하게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활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다양한 국내·외 선행연�...

      이 연구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이 대학의 교육성과로 공정하게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활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다양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사례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우선 취업통계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을 위한 평가기준에 취업률이 25% 반영되고 있으며, 다른 기준에 비해 대학간 편차가 크게 때문에 의사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취업통계 활용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취업통계 산정기준 측면에서는 취업자 정의, 취업자 구분 등에서 문제점이 드러났고, 취업통계 조사방법 측면에서는 취업통계 조사시기, 조사 신뢰도 등에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취업통계 결과활용 측면에서는 정규직 취업률 비중과 취업의 질 미반영 등의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활용의 문제점 진단을 토대로 취업통계 산정기준(취업자 정의 및 구분, 취업현황 조사항목), 취업통계 조사방법(취업통계 조사시기, 취업률 조사 신뢰도 확보), 취업통계 결과활용(취업률 지표 공식 개선, 학교특성 반영, 재추적 조사결과에 따른 가점/감점 부여)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고등교육기관의 교육성과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취업통계 뿐만 아니라 졸업생 만족도, 졸업생 학습성과 등과 같은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as to suggest directions and strategies to improve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1)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using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to evaluate higher education's outcomes, (2) analyzing the problems of using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3) based on the problems, mak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of using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following find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problems and suggestions of applying of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are summarized into three ways: calculation criteria, survey method, applying survey results, (2) calculation criteria should be strengthened and fractionated, (3) survey methods should be adjusted for achieving reliability, (4) when applying survey results, quality of employment and characteristic of institutions should be inclu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as to suggest directions and strategies to improve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1)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using statistical surve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as to suggest directions and strategies to improve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1)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using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to evaluate higher education's outcomes, (2) analyzing the problems of using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3) based on the problems, mak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of using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following find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problems and suggestions of applying of statistical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are summarized into three ways: calculation criteria, survey method, applying survey results, (2) calculation criteria should be strengthened and fractionated, (3) survey methods should be adjusted for achieving reliability, (4) when applying survey results, quality of employment and characteristic of institutions should be inclu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정윤,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Ⅰ"

      2 교육과학기술부, "학생 및 교수․연구자 중심의 대학재정지원 사업 개편 시안 설명회 보도자료.교육인적자원부"

      3 김미란, "청년층 첫 직장 이행 in; 진로지도와 노동시장 이행"

      4 노동부,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발표 보도자료"

      5 한국경영자총협회, "기업규모 간 임금격차 확대의 현황과 과제"

      6 교육인적자원부,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 보도자료"

      7 Howell,D.R, "New labor market indicator: Taking job quality seriously" 1 : 12-34, 2005

      8 Ewell,P, "Assessment:What's It All About?" 32 : 1985

      9 Burke,J.C, "Achieving accountability in higher education" Jossey-BASS 2006

      10 한국고용정보원, "2006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08

      1 최정윤,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Ⅰ"

      2 교육과학기술부, "학생 및 교수․연구자 중심의 대학재정지원 사업 개편 시안 설명회 보도자료.교육인적자원부"

      3 김미란, "청년층 첫 직장 이행 in; 진로지도와 노동시장 이행"

      4 노동부,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발표 보도자료"

      5 한국경영자총협회, "기업규모 간 임금격차 확대의 현황과 과제"

      6 교육인적자원부,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 보도자료"

      7 Howell,D.R, "New labor market indicator: Taking job quality seriously" 1 : 12-34, 2005

      8 Ewell,P, "Assessment:What's It All About?" 32 : 1985

      9 Burke,J.C, "Achieving accountability in higher education" Jossey-BASS 2006

      10 한국고용정보원, "2006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