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라남도 강소기업 수출지원과 수출증대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analysis of support export benefits by ‘Small Giants’ SMEs in Jeollanam-do and export increase eff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7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pans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xport competency is demanded more in Korean econom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overseas trade. Mos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are weak in terms of available resources and professional personnel and therefore, are highly dependently on export support programs by the government and supporting agencies. It examined the export environment, export expansion status, support project benefits for small giant exporters in Jeollanam-do, and designed a research model to increase export among companies in Jeollanam-do to study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support system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by the government and export support agencies to consider effective support plans in establishing export increase support policy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improve performance.
      번역하기

      Expans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xport competency is demanded more in Korean econom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overseas trade. Mos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are weak in terms of available resources and professional person...

      Expans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xport competency is demanded more in Korean econom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overseas trade. Mos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are weak in terms of available resources and professional personnel and therefore, are highly dependently on export support programs by the government and supporting agencies. It examined the export environment, export expansion status, support project benefits for small giant exporters in Jeollanam-do, and designed a research model to increase export among companies in Jeollanam-do to study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support system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by the government and export support agencies to consider effective support plans in establishing export increase support policy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improve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경제적 특성의 한국경제에서 중소기업의 수출역량 확대는 더욱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 대부분은 보유자원과 전문인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정부와 지원기관의 수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므로 수출 강소기업의 지원 수혜 실태분석과 수출증대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전라남도 강소기업을 중심으로 수출 환경, 해외 진출 현황, 지원사업 수혜 등을 연구하고, 이를 통한 전라남도 기업의 수출증대를 위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실증분석과 가설 검증을 통해 지원제도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는 정부를 비롯한 수출지원 기관들이 중소기업의 수출증대 지원정책 수립 시 효과적 지원방안을 고려하고 성과제고를 위하는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경제적 특성의 한국경제에서 중소기업의 수출역량 확대는 더욱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 대부분은 보유자원과 전문인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정부와 ...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경제적 특성의 한국경제에서 중소기업의 수출역량 확대는 더욱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 대부분은 보유자원과 전문인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정부와 지원기관의 수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므로 수출 강소기업의 지원 수혜 실태분석과 수출증대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전라남도 강소기업을 중심으로 수출 환경, 해외 진출 현황, 지원사업 수혜 등을 연구하고, 이를 통한 전라남도 기업의 수출증대를 위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실증분석과 가설 검증을 통해 지원제도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는 정부를 비롯한 수출지원 기관들이 중소기업의 수출증대 지원정책 수립 시 효과적 지원방안을 고려하고 성과제고를 위하는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이현, "해외시장진출 지원체계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5-34, 2019

      2 이재은, "해외경험의 깊이와 폭이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광주 · 전남지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3 (13): 351-369, 2017

      3 김건우, "중소기업의 유망소비재 수출 동향과 신생 기업의 수출활동 분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19, 2017

      4 오동윤, "중소기업의 수출특성과 정책 시사점" 중소기업연구원 2-22, 2012

      5 전은경, "중소기업 수출지원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2-64, 2014

      6 김대용, "중소기업 수출지원 사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4 (4): 1-34, 2019

      7 전홍기, "중소기업 수출 진흥을 위한 정책방향" 중소기업진흥공단 1 (1): 27-42, 2013

      8 홍성철, "중소기업 수출 다변화, 성과와 과제" 중소기업연구원 1-9, 2018

      9 유관희, "중소기업 마케팅 지원정책 효율화 방안 연구보고서"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중소기업학회 27-44, 2015

      10 정수성, "중소기업 글로벌화를 위한 지원강화 및 수출촉진 방안" 산업통상자원위원회 6-67, 2014

      1 조이현, "해외시장진출 지원체계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5-34, 2019

      2 이재은, "해외경험의 깊이와 폭이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광주 · 전남지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3 (13): 351-369, 2017

      3 김건우, "중소기업의 유망소비재 수출 동향과 신생 기업의 수출활동 분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19, 2017

      4 오동윤, "중소기업의 수출특성과 정책 시사점" 중소기업연구원 2-22, 2012

      5 전은경, "중소기업 수출지원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2-64, 2014

      6 김대용, "중소기업 수출지원 사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4 (4): 1-34, 2019

      7 전홍기, "중소기업 수출 진흥을 위한 정책방향" 중소기업진흥공단 1 (1): 27-42, 2013

      8 홍성철, "중소기업 수출 다변화, 성과와 과제" 중소기업연구원 1-9, 2018

      9 유관희, "중소기업 마케팅 지원정책 효율화 방안 연구보고서"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중소기업학회 27-44, 2015

      10 정수성, "중소기업 글로벌화를 위한 지원강화 및 수출촉진 방안" 산업통상자원위원회 6-67, 2014

      11 정병호, "중소기업 과거 수출성과가 수출몰입과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309-332, 2016

      12 표한영, "중소 제조기업에 대한 수출지원사업의 성과는 있는가" 중소기업연구원 1-14, 2018

      13 이은정, "우리 기업 수출 어디서 지원받을 수 있지 – 부족한 인적 물적 자원 메워주는 수출지원기관"

      14 장상식, "신규 수출기업의 수출 지속 중단 현황과 시사점"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33, 2015

      15 장현숙, "수출부진 속에 쾌속질주하는 중소기업의 비결은 무엇인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13, 2015

      16 이재은, "기술역량과 국내 마케팅역량이 수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시장변동성의 조절효과: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무역학회 42 (42): 21-47, 2017

      17 PIAO XUELIAN,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전략적 지향성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비재무적 수출성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3 (13): 359-377, 2017

      18 강지원,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전략적 지향성이 국제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상정보학회 20 (20): 161-186, 2018

      19 양영수,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기술역량과 국제마케팅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CEO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역학회 45 (45): 261-277, 2020

      20 박정민, "The Effect of Strategic Orientation on the Speed of Internationaliz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South Korea" 한국무역연구원 14 (14): 21-42, 2018

      21 Aiken, L. S.,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1991

      22 Murray, J. Y., "Market Orientation and Performance of Export Ventures: the Process through Marketing Capabilities and Competitive Advantages" 39 (39): 252-269, 2011

      23 양영수, "K콘텐츠에 대한 중국소비자들의 경험이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상정보학회 22 (22): 333-351, 2020

      24 Yang, Q., "Conventional and reverse knowledge flow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34 (34): 882-902, 2008

      25 Kale, P., "Alliance capability, stock market response, and long-term alliance success : the role of the alliance function" 23 (23): 747-767, 2002

      26 이유진, "2018년 중소 제조기업 수출경쟁력 실태조사"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3-31, 2018

      27 장현숙, "2017년 중소 수출기업 경쟁력 실태조사"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41,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Global Commerce And Cyber Trade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KCI등재
      2007-03-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For Global Commerce And Cyber Trade ->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1.02 1.21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