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정교린지"
2 이훈, "조선후기 표류민과 한일관계" 국학자료원 2000
3 양흥숙, "조선후기 동래 지역과 지역민 동향 : 왜관 교류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4 이근우, "조선표류일기" 소명출판 2020
5 "조선왕조실록"
6 이승민, "조선산 黃毛筆의 생산과 일본과의 교역" 한일관계사학회 (70) : 157-182, 2020
7 정성일, "전라도와 일본 조선시대 해난사고 분석" 경인문화사 2013
8 "비변사등록"
9 "변례집요"
10 정성일, "동아시아 표해록" 역사공간 2018
1 "증정교린지"
2 이훈, "조선후기 표류민과 한일관계" 국학자료원 2000
3 양흥숙, "조선후기 동래 지역과 지역민 동향 : 왜관 교류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4 이근우, "조선표류일기" 소명출판 2020
5 "조선왕조실록"
6 이승민, "조선산 黃毛筆의 생산과 일본과의 교역" 한일관계사학회 (70) : 157-182, 2020
7 정성일, "전라도와 일본 조선시대 해난사고 분석" 경인문화사 2013
8 "비변사등록"
9 "변례집요"
10 정성일, "동아시아 표해록" 역사공간 2018
11 小田省吾, "釜山府史原稿 2"
12 雨森芳洲, "裁判記錄"
13 池內敏, "薩摩藩士 朝鮮漂流日記" 講談社新書 2009
14 "東萊府事例"
15 安田義方, "朝鮮漂流日記"
16 田代和生, "新․倭館-鎖國時代の日本人町" 株式會社ゆまに書房 2013
17 이근우, "『조선표류일기』의 회화자료에 대하여" 동북아역사재단 (64) : 239-258, 2019
18 이윤정, "『조선표류일기』속 상급 관리들의 복식 양상"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03-132, 2020
19 심민정, "『朝鮮漂流日記』(1819)에 나타난표류왜인 호송과 접대 실태" 한일관계사학회 (70) : 127-156, 2020
20 "『各司謄錄』 7, 忠淸道篇 2, 「忠淸兵營啓錄」"
21 문경호, "<<朝鮮漂流日記>>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방안" 진단학회 (135) : 227-257,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