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해양생태계의 침입 외래종으로 보고되어 있는 유령멍게(Ciona intestinalis)의 알 발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그리고 두 인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여 유령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72982
서울: 삼육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삼육대학교 대학원 , 융합과학과 생명과학전공 , 2017. 6
2017
한국어
660.6 판사항(23)
서울
x, 58 p.: 삽화; 26 cm.
지도교수: 신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해양생태계의 침입 외래종으로 보고되어 있는 유령멍게(Ciona intestinalis)의 알 발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그리고 두 인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여 유령멍...
본 연구는 국내 해양생태계의 침입 외래종으로 보고되어 있는 유령멍게(Ciona intestinalis)의 알 발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그리고 두 인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여 유령멍게의 최적 발육 조건을 확인하고 생태적 특성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유령멍게의 알 발육 실험에 사용된 개체는 2016년 11월 구룡포항의 항벽, 항구 내 시설물 및 로프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성체를 채집하였고 신속하게 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 해수 수조에서 사육하였다. 유령멍게의 성체로부터 정자와 난자를 채취하여 수정시키고, 수정란을 24 well plate의 각 wcell에 한 개씩 분주한 후, 항온수조에서 유지하며 알의 부화 및 유생의 부착을 8시간 간격으로 조사하고 기록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유령멍게 알 발육에서의 수온 및 염분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5개의 수온 조건(10, 12, 16, 20, 24℃)과 8개의 염분 조건(26, 28, 30, 32, 34, 36, 38, 40psu)에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령멍게 알의 발육은 수온과 더불어 염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최적 발육 수온 범위는 16∼20℃, 염분 범위는 32∼34psu 사이로 판단된다.
두 번째 실험은 유령멍게 알의 저온 발육임계수온을 파악하고 염분의 차이가 유령멍게 알의 최적 발육 수온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첫 번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2개의 염분 조건(30psu와 34psu)과 9개의 수온 조건(10, 12, 14, 16, 18, 20, 22, 24, 26℃)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30psu 조건에서 16∼22℃, 34psu 조건에서 12∼22℃로 추정되었고, 유령멍게 알의 저온 발육임계수온은 34psu에서 약 4.25℃ (y=0.0044x-0.0187), 30psu에서 약 7.69℃ (y=0.0055x–0.0426)로 추정되었다. 고염분 조건(34psu)에서는 저염분 조건(30psu)에 비하여 부화 및 부착을 위한 수온 범위가 넓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해(32∼35psu), 남해(30∼33psu) 그리고 서해(29∼32psu)의 연중 염분 변동을 고려할 때, 서해 염분 조건은 유령멍게의 알 발육에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며 실제 유령멍게가 발견되지 않는 원인으로 생각되며, 제주 지역까지는 확산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령멍게의 분포 및 확산을 추정하는데 수온과 염분 및 두 인자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인자로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