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 권력 그리고 정의  :  목회자 성적 탈선 문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분석과 대책 = Sex, Power, and Justice: A Christian Ethical Analysis of Clergy Sexual Misconduct and Its Prev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43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목회자의 성 탈선에 해 기독교 윤리학으로 분석하고 이어 방책과 응책을 제시한다. 목회자의 성과 성에 한 두 상반된 견해가 교회 사를 통해 흘러내려오고 있고 수도사 성 제를 더 우월한 것으로 보는 사제 독신주의가 엘리티즘과 합류하여 로마 카톨릭 교회의 한 지류로 내려오고 있지만, 성경은 성을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고 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인간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기능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나아 나님을 알아가는 것과 도 계있음을 말한다. 논문은 이 입장을 성경 근거와 신학 해석을 통해 제 시한다. 이어 이 논문은 목회자의 성 에지와 욕구가 억리고 결핍되면 성 탈선 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지하면서 교회 사역에서 일어나는 목회자의 성 탈선 의 엄연한 실을 직시하고 목회자 성 탈선의 다양한 유형과 탈선하는 목회자 의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분석한다: 약탈자, 방랑자, 그리고 연인. 각각의 유형을 분석하고 구체인 를 설명한다. 이어서 탈선을 낳는데 가장 핵심으로 작용 하는 원인으로서 목회사역의 구조와 개인 요인을 지고 살펴본다. 무엇보다 이 논문의 핵심인 분석 내용은 목회자의 성 탈선의 근본인 성격을 규명하는 것인데, 논문은 목회자의 탈선의 성격은 성직에 내재된 권력을 악용하는 것이고 교인과 목회자 간에 기되고 유지되어야 하는 신뢰의 계를 배신하는 것으로 악한다. 이것은 목사와 교인을 묶고 있는 탁된 신뢰를 배신 함으로 결국 공동체의 신뢰구조를 가게 해서 흔들고 와해시키는 한 악임을 분석한다. 이어 후반부에서 논문은 이 괴 악에서 교회 공동체와 목회자를 보호하기 한 방책으로 성 탈선의 경고하는 사인을 담은 ‘경고 체계’와 아울 러 방을 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여 가동해아 할 것임을 주장하고 그것의 구 체쩍 내용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성 탈선이 일어났을 때 교회는 반드시 응보 정의와 회복 정의가 구되도록 이 사건을 공으로 다루고 피해자에 한 한 로와 보상이 이지도록 해야 함을 강조한다. 즉 목회자의 성 탈선을 정의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공으로 다루도록 해야 하고, 이것을 공정하게 처벌 할 수 있는 교회법의 정립과 성윤리 강령을 교단들이 속히 제정할 것을 재안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목회자의 성 탈선에 해 기독교 윤리학으로 분석하고 이어 방책과 응책을 제시한다. 목회자의 성과 성에 한 두 상반된 견해가 교회 사를 통해 흘러내려오고 있고 수도사 성 제를 더...

      이 논문은 목회자의 성 탈선에 해 기독교 윤리학으로 분석하고 이어 방책과 응책을 제시한다. 목회자의 성과 성에 한 두 상반된 견해가 교회 사를 통해 흘러내려오고 있고 수도사 성 제를 더 우월한 것으로 보는 사제 독신주의가 엘리티즘과 합류하여 로마 카톨릭 교회의 한 지류로 내려오고 있지만, 성경은 성을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고 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인간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기능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나아 나님을 알아가는 것과 도 계있음을 말한다. 논문은 이 입장을 성경 근거와 신학 해석을 통해 제 시한다. 이어 이 논문은 목회자의 성 에지와 욕구가 억리고 결핍되면 성 탈선 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지하면서 교회 사역에서 일어나는 목회자의 성 탈선 의 엄연한 실을 직시하고 목회자 성 탈선의 다양한 유형과 탈선하는 목회자 의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분석한다: 약탈자, 방랑자, 그리고 연인. 각각의 유형을 분석하고 구체인 를 설명한다. 이어서 탈선을 낳는데 가장 핵심으로 작용 하는 원인으로서 목회사역의 구조와 개인 요인을 지고 살펴본다. 무엇보다 이 논문의 핵심인 분석 내용은 목회자의 성 탈선의 근본인 성격을 규명하는 것인데, 논문은 목회자의 탈선의 성격은 성직에 내재된 권력을 악용하는 것이고 교인과 목회자 간에 기되고 유지되어야 하는 신뢰의 계를 배신하는 것으로 악한다. 이것은 목사와 교인을 묶고 있는 탁된 신뢰를 배신 함으로 결국 공동체의 신뢰구조를 가게 해서 흔들고 와해시키는 한 악임을 분석한다. 이어 후반부에서 논문은 이 괴 악에서 교회 공동체와 목회자를 보호하기 한 방책으로 성 탈선의 경고하는 사인을 담은 ‘경고 체계’와 아울 러 방을 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여 가동해아 할 것임을 주장하고 그것의 구 체쩍 내용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성 탈선이 일어났을 때 교회는 반드시 응보 정의와 회복 정의가 구되도록 이 사건을 공으로 다루고 피해자에 한 한 로와 보상이 이지도록 해야 함을 강조한다. 즉 목회자의 성 탈선을 정의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공으로 다루도록 해야 하고, 이것을 공정하게 처벌 할 수 있는 교회법의 정립과 성윤리 강령을 교단들이 속히 제정할 것을 재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nature of sexual misconduct by clergy and to present a proposal for its prevention and appropriate response to cases of misconduct. Throughout church history, there have been two main theological views on clergy sexuality and its relation to spirituality. While one affirms it positively, the other does not; while one rejects the elevation of celibacy, the other does not. However, the Bible clearly says that God created humankind as male and female according to God’s image. Both man and woman are sexual beings. The Hebrew Scripture understands the human being as a psychosomatic unity. The spirit and the body are closely interrelated. It means that the human being exists as an embodied person. If spirit has to do with body, spiritualty has to do with bodily life. Spiritual life is not separated from bodily life at all. It means sexuality is an integral part of spirituality: the more a clergyman is filled with wholesome sexual energy, the deeper he experiences spiritual fullness. Conversely, the less a pastor is sexually satisfied, the greater the temptation is to slip into sexual misconduct. In reality, sexual misconduct by pastors in the ministry is quite prevalent. According to analyses, there are three major types of sexual offenders: the predator, the wanderer, and the lover, respectively. The cor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nature of sexual misconduct by clergy. The paper defines it in terms of abuse of clerical power. It is characterized as betrayal of trust between pastor and congregant, which eventually shakes trust-based community. Then, this paper proposes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clerical sexual misconduct. It puts an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warning system of some kind in order to determine what levels of attraction and intimacy are unacceptable, by which pastors can be alerted and refrain from dangerous intimacy. Finally, the paper suggests what the Church should do in order to carry out justice after a case of sexual misconduct has occurred. The Church is called to make the case public and to take preferential care of the victimized. Finally, the Church ought to prepare an ethical code regarding clerical sexuality and laws in order for her to carry out ecclesiastically sanctioned punishment and rehabilit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nature of sexual misconduct by clergy and to present a proposal for its prevention and appropriate response to cases of misconduct. Throughout church history, there have been two main theological views on c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nature of sexual misconduct by clergy and to present a proposal for its prevention and appropriate response to cases of misconduct. Throughout church history, there have been two main theological views on clergy sexuality and its relation to spirituality. While one affirms it positively, the other does not; while one rejects the elevation of celibacy, the other does not. However, the Bible clearly says that God created humankind as male and female according to God’s image. Both man and woman are sexual beings. The Hebrew Scripture understands the human being as a psychosomatic unity. The spirit and the body are closely interrelated. It means that the human being exists as an embodied person. If spirit has to do with body, spiritualty has to do with bodily life. Spiritual life is not separated from bodily life at all. It means sexuality is an integral part of spirituality: the more a clergyman is filled with wholesome sexual energy, the deeper he experiences spiritual fullness. Conversely, the less a pastor is sexually satisfied, the greater the temptation is to slip into sexual misconduct. In reality, sexual misconduct by pastors in the ministry is quite prevalent. According to analyses, there are three major types of sexual offenders: the predator, the wanderer, and the lover, respectively. The cor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nature of sexual misconduct by clergy. The paper defines it in terms of abuse of clerical power. It is characterized as betrayal of trust between pastor and congregant, which eventually shakes trust-based community. Then, this paper proposes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clerical sexual misconduct. It puts an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warning system of some kind in order to determine what levels of attraction and intimacy are unacceptable, by which pastors can be alerted and refrain from dangerous intimacy. Finally, the paper suggests what the Church should do in order to carry out justice after a case of sexual misconduct has occurred. The Church is called to make the case public and to take preferential care of the victimized. Finally, the Church ought to prepare an ethical code regarding clerical sexuality and laws in order for her to carry out ecclesiastically sanctioned punishment and rehabilit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