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자는 전반적인 조선교육사 연구를 위해서 급선무라고 할 수 있는 「교육관련 사료집」 구성을 시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후기 교육실태를 파악하려 하였다. 즉, 조선후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1825
-
2008년
Korean
勸學節目 ; resident study ; school for selected intellects ; temporary residence ; composition contest ; intellectual competition ; master of lecture ; periodical contest ; public examination system ; report on resident study ; regulation for entrance ; record on composition contest ; r ; 新設學校節目 ; 官學院錄 ; 京學院 ; 經學院 ; 營學院 ; 官學院 ; 面學院 ; 樂育齋 ; 希顯堂 ; 各面學徒 ; 居齋儒生 ; 長都會 ; 文會堂 ; 仁賢堂 ; 作成庫 ; 贍學庫 ; 經學庫 ; 公都會 ; 都會 ; 白日場 ; 儒生白日場 ; 選士白日場 ; 塾師 ; 齋長 ; 訓長 ; 里訓長 ; 面訓長 ; 都訓長 ; 坊敎長 ; 面敎長 ; 都敎長 ; 里塾 ; 鄕塾 ; 私塾 ; 養士齋 ; 養士廳 ; 養賢堂 ; 鄕校 ; 書院 ; 書堂 ; 四學 ; 成均館 ; 書齋 ; 書塾 ; 家塾 ; 講長 ; 都講長 ; 郡講長 ; 面講長 ; 講經 ; 講學 ; 講讀 ; 日課 ; 月講 ; 旬講 ; 朔望講 ; 製述 ; 巡題 ; 旬題 ; 考講 ; 應講 ; 落講 ; 講會 ; 會講 ; 都講 ; 居接 ; 通讀 ; 面講 ; 背講 ; 小學講 ; 官學院應講 ; 學令 ; 講規 ; 學規 ; 齋規 ; 院規 ; 塾規 ; 洞規 ; 讀法 ; 講法 ; 講儀 ; 學校模範 ; 學校事目 ; 敎養官 ; 提督官 ; 敎授 ; 訓導 ; 學長 ; 延英院 ; 照訖講 ; 善惡籍 ; 講案 ; 歸農 ; 可敎者 ; 月課法 ; 季考法 ; 歲試法 ; 小學校 ; 師範學校 ; 外庠生 ; 郡學校 ; 經義問對 ; 政術問對 ; 經義時務 ; 經義時務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자는 전반적인 조선교육사 연구를 위해서 급선무라고 할 수 있는 「교육관련 사료집」 구성을 시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후기 교육실태를 파악하려 하였다. 즉, 조선후기 ...
본 연구자는 전반적인 조선교육사 연구를 위해서 급선무라고 할 수 있는 「교육관련 사료집」 구성을 시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후기 교육실태를 파악하려 하였다. 즉, 조선후기 교육실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주요 사료를 수집・분류・정리함으로써, 본격적인 연구에 필요한 기초작업을 탄탄히 한 다음, 조선후기 흥학사업의 시기적 지역적 범위와 규모 그리고 그 특성 등을 구명해냄으로써, 일본인들에 의해 비롯되었고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답습되고 있는 조선후기 학교부재론의 허구성을 밝히고, 새로운 안목에서 조선조 사회의 교육상황을 조감하고자 하였다.
당초 3개년에 걸친 본 연구의 계획은 제1차년도에 조선후기 교육사 연구에 필요한 주요 사료를 수집·정리하여 제2·3차년도에는 이를 바탕으로 각 년도마다 한 편의 연구논문을 작성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럼으로써 조선후기 교육사 연구에 필요한 사료집 작성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한편, 제1차년도에 마련해 놓은 사료집에 바탕을 두고 작성한 연구논문이 어느 정도 면밀하게 조선조의 교육실태를 구명해 내는지 보여주려고 하였다. 또한 제2·3차년도에도 연구논문 작성과 함께 사료의 수집·정리 작업은 계속 추구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료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단기간의 개인적 작업에서 올 수 있는 성긴 사료집의 가능성을 가급적 낮추려 하였다.
제1차년도(연구개시일에서부터 2008년 7월까지)에 수행한 작업은 사료의 복사 및 원문 입력, 원문 추출, 원문 목록작성 등이다. 사료 복사 및 원문 입력 작업은 이미 파악해 둔 주요 사료를 주요 도서관에서 복사하여 원문을 직접 입력하는 것이었고, 원문 추출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나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국학진흥원 등 전문 웹사이트에 이미 올라 있는 원문 중에서 필요한 사료를 추출하여 정리하는 작업이었다.
이런 작업을 통하여 131종의 고서·고문서에서 371건의 교육관련 사료 원문(지리지류 12종 58건; 관문서류 28종 138건; 문집류 77종 142건; 일기류 11종 30건; 기타 3종 3건)을 정리하여 「조선교육사 자료 원문 사료집」 1권(A4 용지 261쪽, 200자 원고지 2,000여 매 분량)을 구성하였다. 보다 상세한 목록은 보고서의 말미에 첨부하였다. 이 원문 사료집은 아직 연대순 나열에 그치는 단순한 것이며 단어색인 작업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있다.
제1차년도에 수행하기로 예정된 과제에는 연구논문 작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사료의 원문 입력 및 정리 작업을 수행하는 가운데 드러난 몇 몇 주요 사료를 바탕으로 제2·3차년도에 수행할 연구의 기초작업을 겸하는 논문(제목: 19세기말 更張期 朝鮮의 교육개혁과 「官學院錄」)을 작성하였으며, 2008년 4월 교육사학회에서 발표하였고, 6월 동 학회 학술지 ꡔ敎育史學硏究ꡕ(제18집 제1호)에 게재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two major topics. One is construction of The Resource Book on history of education in Chosen Dynasty. The other is making some papers for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mechanism, process, etc. based on The Resource Book. These two kind ...
This study has two major topics. One is construction of The Resource Book on history of education in Chosen Dynasty. The other is making some papers for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mechanism, process, etc. based on The Resource Book.
These two kind of works will correct the error or defect on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introduced by Jap. scholars to justify korean colonization.
It increases the efficiency and new insight on traditional society especially in education, and on the other hand decreases the misunderstanding, prejudice or bias, and error.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scattered hundred and thousand historical records on traditional education in one point, i.e. The Resource Book.
I made one resource book which has 131 kinds 371 pieces of old documents or records on traditional education in Chosen Dynasty, and one research paper on 「Reformation and regulations on public education system in late Chosen Dynasty」.
This study introduces ꡔWritings of Public Schoolsꡕ(ꡔ官學院錄ꡕ) containing 「Rules on establishment of school」(「新設學校節目」) etc. in late Chosen Dynasty in original form and translates its regulations, and evaluate the historical educational meaning of it, and traces the trends of educational reformation in those days.
Several measures taken in the period of reform at late Chosen Dynasty were the reflections of State Will to permeate the educational benefit into even the region of small village. The most essential public officials who had the responsibility for performing these trends were provincial mandarins(守令). They were not the simple functionaries under the command of the provincial governor(觀察使) or State Court(朝廷) but the core executors of educational policy to the level of whole region of Chosen Dynasty.
The most important point of view in this study is the understanding that the executions of local education policy such as academic conference(講會) or composition contest(製述, 白日場) in the several forms of school were not the products of arbitrary intention or decision of provincial mandarin but the necessary and systematic and public enforcement of the local educational policy.
Educational activity of provincial mandarin was not private temporary event but the periodical public expression of a civil servant as the exemplary member of society who had the core responsibility to civilize each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