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학교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친구관계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측면 및 만족감으로 구성된 친구관계의 질과 학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7843899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00. 8
2000
한국어
375.2 판사항(4)
서울
v, 68p.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학교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친구관계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측면 및 만족감으로 구성된 친구관계의 질과 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학교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친구관계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측면 및 만족감으로 구성된 친구관계의 질과 학교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후 서로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1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3,4학년 아동 총 326명이었다. 친구관계의 질은 이은해, 고윤주(1999)의 척도를, 학교에 대한 태도는 이은해, 김정윤, 오원정(진행중)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학년과 성에 따른 친구관계의 질과 학교에 대찬 태도에 대한 기술적인 통계량을 산출하고, 각각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친구관계의 질과 학교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하위영역간 학년과 성을 통제한 부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관계의 질은 학년에 따라 대체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경쟁 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학년 아동이 4학년보다 친구관계에서 경쟁심을 더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관계의 질은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아가 남아보다 친밀감, 정서적 안정을 포함하여 친구관계의 사회 정서적 자원 기능이 높았다.
셋째, 학교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으로 3학년이 4학년보다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에 대한 선호’, ‘선생님에 대한 태도’ 그리고 ‘학업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급우에 대한 태도’ 나 ‘학교에 대한 부정적 감정’ 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학교에 대한 태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전반적이기보다 부분적으로만 나타났으며, 남아는 급우들에 대해, 여아는 교사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다.
다섯째, 친구관계의 질은 학교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즉 친구관계의 질에 있어서 지원적이며, 만족스럽게 지각할수록, 학교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친구 관계에서 갈등은 학교에 대한 선호가 낮고, 학교에 대해 부정적 감정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riendship quality and attitudes toward school. The subjects were 326 children in the 3rd and 4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Friendship quality was assessed by Friend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riendship quality and attitudes toward school. The subjects were 326 children in the 3rd and 4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Friendship quality was assessed by Friendship Quality Scale (Rhee & Koh, 1999). The attitudes toward school was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hee, Kim, and Oh(in pr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scores, Standard Deviations, ANOVAs, and Partial correlations using SPSS/PC+(ver.8.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friendship quality between the 3rd and 4th grades except competition. Children in 3rd grade showed higher level of competition in friendship than the 4th grade.
Second, girls had higher levels of friendship functions including intimacy and emotional security than boys.
Third, the 3rd grader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chool than the 4th grade children.
Fourth, overal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in the attitudes toward school. However, girl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ers than boys did, and boy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ers than girls.
Fifth, children's friendship functions and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attitudes toward school, while conflict in friendship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preference of schoo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