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니니안 스마트, "현대 종교학" 청년사 1986
2 김탁, "한국종교사에서의 도교와 증산교의 만남" 8 : 1994
3 김탁, "증산교학" 미래향문화 1992
4 홍범초, "증산교개설" 창문각 1982
5 "전경"
6 김문식,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7 홍범초, "범증산교사" 범증산교연구원 1988
8 이정만, "무극도장의 자취를 찾아서" 134 : 2012
9 마노 다카야, "도교의 신들" 들녘 2001
10 葛兆光, "도교와 중국문화: 도교의 우주론・의례와 방술・신들의 계보" 동문선 1993
1 니니안 스마트, "현대 종교학" 청년사 1986
2 김탁, "한국종교사에서의 도교와 증산교의 만남" 8 : 1994
3 김탁, "증산교학" 미래향문화 1992
4 홍범초, "증산교개설" 창문각 1982
5 "전경"
6 김문식,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7 홍범초, "범증산교사" 범증산교연구원 1988
8 이정만, "무극도장의 자취를 찾아서" 134 : 2012
9 마노 다카야, "도교의 신들" 들녘 2001
10 葛兆光, "도교와 중국문화: 도교의 우주론・의례와 방술・신들의 계보" 동문선 1993
11 쿠보 노리타다, "도교와 신선의 세계" 법인문화사 2007
12 안동준, "도교문화 15강" 알마 2011
13 이욱, "대한제국기 환구제에 관한 연구" 30 : 2003
14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현재와 미래, In 한국 종교의 확산전략"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2012
15 윤기봉, "대순진리회의 의례와 믿음의 상관성의 관한 연구" 16 : 2003
16 "대순진리회요람"
17 이경원, "대순진리회 치성의례의 종교적 특질에 관한 연구" 한국신종교학회 20 (20): 133-162, 2009
18 박상규, "대순진리회 조직의 특성, In 한국 종교교단의 조직"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2013
19 이재호, "대순진리회 수행의 이론과 실제" 13 : 2005
20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Ⅱ)"
21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Ⅰ)" 20 : 2013
22 이경원, "대순진리회 기도의례의 종교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국신종교학회 19 (19): 181-212, 2008
23 이경원, "대순종학원론" 문사철 2013
24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대순종교사상연구소 1987
25 구중회, "경책문화와 역사" 민속원 2009
26 中國道敎協會, "道敎神仙畵集" 華夏出版社 1994
27 "講座道敎 第二卷" 雄山閣出版 2000
28 "牛堂의 生涯와 思想" 대순진리회 2003
29 村山智順, "朝鮮의 類似宗敎" 계명대학교출판부 1991
30 "普天敎誌"
31 김도현, "太白山 天祭의 歷史와 儀禮" 한국역사민속학회 (31) : 195-231, 2009
32 "修道正典"
33 朴美羅, "中國 祭天儀禮 硏究 : 郊祀의례에 나타난 上帝와 天의 이중적 天神觀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4 Gernot Prunner, "The Birthday of God : A Sacrificial Service of Chungsangyo" 16 (16): 1976
35 Shepherd, John J, "Ninian Smart on World Religion" Asgate 2009
36 구중회, "A Study on 'OkChuGyeong'( A Bible of Taoism)" 동문선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