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속도로 차선성능 DB구축, 2006  :  (Construction of Data Base for Pavement Marking Retroreflectivities in Korea Highw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39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vement marking provides the delineation to drivers and make the night time driving possible. It is well known that night time delineation is correlated with night time traffic accident. Therefore, highway officers have to keep the desirable pavement marking performance sustainable.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the DB system on which the future PMMS can be developed and on which a lot of characteristics of pavement marking performance such as the material and resurfacing period characteristics would be defined. The DB system includes two year's measurement in '05~'06 over Korean freeway pavement marking periodically. The mobile measurement system was employed for the purpose. The DB has provided a lot of information about materials and performance of the specific pavement marking such as: The performance of white pavement marking is measured higher than of yellow pavement marking. The performance of water borne pavement marking i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The geometric, traffic volume, or material characteristic is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affects pavement marking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the comparison of pavement marking performances under diversified conditions. Based on current pavement marking performances over the country, this study provides a new measurement ways considering standard deviations. The results mentioned above are all about the currently observed values. These values reflect the current method , usual practices, and environments of pavement markings. Therefore, these results are very limited to explain future performance of pavement marking. For more generalized conclusions, the more study which include all national or provicial roads over the country and periodic studies are necessary.
      번역하기

      Pavement marking provides the delineation to drivers and make the night time driving possible. It is well known that night time delineation is correlated with night time traffic accident. Therefore, highway officers have to keep the desirable pavement...

      Pavement marking provides the delineation to drivers and make the night time driving possible. It is well known that night time delineation is correlated with night time traffic accident. Therefore, highway officers have to keep the desirable pavement marking performance sustainable.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the DB system on which the future PMMS can be developed and on which a lot of characteristics of pavement marking performance such as the material and resurfacing period characteristics would be defined. The DB system includes two year's measurement in '05~'06 over Korean freeway pavement marking periodically. The mobile measurement system was employed for the purpose. The DB has provided a lot of information about materials and performance of the specific pavement marking such as: The performance of white pavement marking is measured higher than of yellow pavement marking. The performance of water borne pavement marking i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The geometric, traffic volume, or material characteristic is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affects pavement marking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the comparison of pavement marking performances under diversified conditions. Based on current pavement marking performances over the country, this study provides a new measurement ways considering standard deviations. The results mentioned above are all about the currently observed values. These values reflect the current method , usual practices, and environments of pavement markings. Therefore, these results are very limited to explain future performance of pavement marking. For more generalized conclusions, the more study which include all national or provicial roads over the country and periodic studies are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차선반사성능은 운전자가 야간에도 전방을 주시할 수 있는 시인성을 제공하여 야간에 주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차선의 시인성은 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차선은 도로관리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운전자가 만족하는 적정 수준의 차선반사성능을 어떻게 유지하고 차선을 언제 도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중요한 논점들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또 각 종류의 도로관리자들은 차선반사성능의 교통량과 위치별 특징, 도료특징, 재료살포시기, 내마모성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지관리용 차선관리시스템(PMMS)의 이전단계로서 현재 고속도로에서 관측된 차선성능의 특성을 전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연구형 DB를 구축하였다. 본 DB는 가급적 전국을 포괄 할 수 있는 고속도로 노선을 선정하여 2년에 걸쳐 구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고속도로에 존재하는 각 차선의 종류를 모두 포함하였다. 따라서 DB로 인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현재 주어진 조건에서 우리나라 고속도로를 대표하는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DB 구축을 통한 차선성능 특성 분석은 현재에 고속도로에서 반복적으로 관찰된 차선성능에 대한 값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값이 과거의 고속도로에서 시공법과 환경, 관행을 통해 얻어진 값으로 장래의 값들을 절대적으로 대신할 수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보다 일반화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유사한 연구가 국도와 지방도에서 또 고속도로에서는 주기적으로 시행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차선반사성능은 운전자가 야간에도 전방을 주시할 수 있는 시인성을 제공하여 야간에 주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차선의 시인성은 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

      차선반사성능은 운전자가 야간에도 전방을 주시할 수 있는 시인성을 제공하여 야간에 주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차선의 시인성은 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차선은 도로관리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운전자가 만족하는 적정 수준의 차선반사성능을 어떻게 유지하고 차선을 언제 도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중요한 논점들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또 각 종류의 도로관리자들은 차선반사성능의 교통량과 위치별 특징, 도료특징, 재료살포시기, 내마모성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지관리용 차선관리시스템(PMMS)의 이전단계로서 현재 고속도로에서 관측된 차선성능의 특성을 전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연구형 DB를 구축하였다. 본 DB는 가급적 전국을 포괄 할 수 있는 고속도로 노선을 선정하여 2년에 걸쳐 구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고속도로에 존재하는 각 차선의 종류를 모두 포함하였다. 따라서 DB로 인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현재 주어진 조건에서 우리나라 고속도로를 대표하는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DB 구축을 통한 차선성능 특성 분석은 현재에 고속도로에서 반복적으로 관찰된 차선성능에 대한 값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값이 과거의 고속도로에서 시공법과 환경, 관행을 통해 얻어진 값으로 장래의 값들을 절대적으로 대신할 수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보다 일반화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유사한 연구가 국도와 지방도에서 또 고속도로에서는 주기적으로 시행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내용
      • 1.3 연구범위 및 수행방법
      • 제2장 차선반사도 관련 현황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내용
      • 1.3 연구범위 및 수행방법
      • 제2장 차선반사도 관련 현황
      • 2.1 차선반사의 원리
      • 2.2 차선도색 관리기준
      • 2.3 국내·외 연구사례
      • 2.3.1 도로환경 및 도색재료 관련연구
      • 2.3.2 최소반사도 설정 관련 연구
      • 2.3.3 차선유지관리시스템 구축 관련 연구
      • 2.3.4 수명예측 모델 구축 관련 연구
      • 제3장 모바일 차선반사도 측정시스템 활용방안
      • 3.1 시스템 구성
      • 3.2 측정원리
      • 3.3 데이터 수집
      • 3.4 데이터 처리방법
      • 3.4.1 실선 (거리에 따른 샘플링)
      • 3.4.2 점선 (시간에 따른 샘플링)
      • 3.5 데이터 출력
      • 제4장 고속도로 차선성능 DB 구축 계획
      • 4.1 차선성능 DB 항목
      • 4.1.1 1차 차선성능 DB항목 결정
      • 4.1.2 2차 차선성능 DB항목 결정
      • 4.2 고속도로 차선성능 전수조사
      • 4.2.1 2005년도 고속도로 차선성능 전수조사
      • 4.2.2 2006년도 고속도로 차선성능 전수조사
      • 4.3 고속도로 차선성능 실험용 DB구축
      • 4.3.1 차선성능 실험용 DB구축 목적
      • 4.3.2 차선성능 실험용 DB 구축 방법
      • 4.3.3 차선성능 실험용 DB 활용방안
      • 제5장 고속도로 차선성능 추적조사 분석
      • 5.1 차선성능 추적조사 분석 개요
      • 5.2 차선성능 현황
      • 5.2.1 2005년도 차선성능 현황
      • 5.2.2 2006년도 차선성능 현황
      • 5.3 공용 기간별 분석결과
      • 5.3.1 2005년도 공용 기간별 분석결과
      • 5.3.2 2005년도 공용 3개월 전/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3.3 2006년도 공용 기간별 분석결과
      • 5.4 포장 재료별 차선성능 분석
      • 5.4.1 2005년도 포장 재료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4.2 2006년도 포장 재료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5 도색 재료별 차선성능 분석
      • 5.5.1 2005년도 도색재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5.2 2006년도 도색재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6 교통량(ADT/lane)별 차선성능 분석
      • 5.6.1 2005년도 교통량(ADT/lane)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6.2 2006년도 교통량(AADT)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7 공사구간 차선성능 분석
      • 5.7.1 2005년도 공사구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7.2 2006년도 공사구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8 지역별 차선성능 분석
      • 5.8.1 2005년도 지역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8.2 2006년도 지역별 차선성능 분석결과
      • 5.9 차선성능 추적조사 결론
      • 5.9.1 2005년도 차선성능 추적조사 결론
      • 5.9.2 2006년도 차선성능 추적조사 결론
      • 제6장 기하구조별 차선성능 검토
      • 6.1 개요
      • 6.2 대상구간 선정
      • 6.3 데이터 분석
      • 6.3.1. 데이터 분석개요
      • 6.3.2. 곡선반경별 데이터 비교 분석
      • 6.3.3. 오르막차로구간 데이터 분석
      • 6.3.4. IC구간 특성 데이터 분석
      • 6.3.5. 터널구간 데이터 분석
      • 6.4 기하구조별 차선성능 검토 결과
      • 제7장 차선성능 수명예측 모델
      • 7.1 개요
      • 7.2 Data 확보
      • 7.2.1 Data 확보
      • 7.2.2 Data 확보를 위한 가정
      • 7.3 모델 구축 방법론
      • 7.3.1 집합모델
      • 7.3.2 상세모델
      • 7.4 차선성능 수명 예측 모델(1) - 집합모델
      • 7.4.1 색상별 차선성능 수명예측 모델
      • 7.4.2 포장재료별 차선성능 수명예측 모델
      • 7.4.3 도색재료별 차선성능 수명예측 모델
      • 7.4.4 교통량 등급별 차선성능 수명예측 모델
      • 7.4.5 교통량별 차선성능 수명예측 모델
      • 7.4.6 지역별 차선성능 수명예측 모델
      • 7.5 상세모델식 구축 - 재료별 서비스 수명예측
      • 7.5.1 모델식 구축
      • 7.5.2 차선성능 수명예측 모델구축 - 상세모델
      • 7.6 차선성능 수명예측 모델 산정 결론
      • 제8장 차선성능 평균과 표준편차를 반영한 관리기준
      • 8.1 차선성능 확률분포
      • 8.2 평균과 표준편차를 고려한 관리기준
      • 8.2.1 색상별 관리기준 제시
      • 8.3 결론
      • 제9장 요약 및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