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세대별·성별·산업별·고용형태별 불안정성이 중첩되는 간접고용 여성 서비스 산업 중 중첩된 불안정성을 노동조합을 통해 가장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1758
201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세대별·성별·산업별·고용형태별 불안정성이 중첩되는 간접고용 여성 서비스 산업 중 중첩된 불안정성을 노동조합을 통해 가장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노�...
이 연구는 세대별·성별·산업별·고용형태별 불안정성이 중첩되는 간접고용 여성 서비스 산업 중 중첩된 불안정성을 노동조합을 통해 가장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노동자 집단인 A콜센터 상담노동자와 B대학 청소노동자 집단을 사례로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이 연구에서 다룰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불안정 노동에 대한 대응으로써의 노동조합 조직화”: 노동조합 조직화가 가장 어려운 것으로 여겨지는 간접고용/여성/서비스 산업 노동자들은 어떻게 성공적으로 노동조합을 조직화하여 불안정성에 대응해왔는가? 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노동조합 조직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첫 번째 주요 내용이다. 이 연구는 청년-여성-간접고용-비정규직 서비스 노동자 집단인 A콜센터 상담원과 노인-여성-간접고용-비정규직 서비스 노동자 집단인 B대학 청소원들의 노동조합 조직화의 추동력은 어디로부터 비롯되었는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비정규직 노동운동 연구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여겨지는 비정규직의 연대(solidarity)의 문제를 살펴보면서, 연대의 대상이 된 주체들로부터 어떠한 형태의 노동조합 성격이 만들어지는지를 살펴보고 여성 중심 서비스산업 노동조합의 조직화와 노동조합 활동은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를 깊게 읽어낸다. 이러한 분석은 여성이 노동조합의 주체로서 성장하는 과정에 집중함으로써 남성 중심 노동조합 연구를 극복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2) “내 삶을 바꾸는 노동조합?”: 불안정 노동자의 작업장 내부/외부 삶의 모습은 노동조합을 통해 어떻게 변화되는가? 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A콜센터, B대학 노동자들의 조직화 이후 노동자의 변화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두 번째 주요 내용이다. 이 연구는 불안정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조직화를 불안정 노동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turning point)으로 간주하지만, 단순히 불안정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조직하여 투쟁의 기구를 설립했다는 사건으로서의 분석에만 그치지 않는다. 이 연구는 불안정 노동자들의 조직화는 물론 조직화 이후의 투쟁 과정과 노동조합을 통한 노동자의 삶의 변화에 주목한다. 여성 노동자가 경험하는‘개인’과‘노동자’사이에서의 다중적 정체성에 주목하면서 작업장 내부에서의 노동조건의 변화와 함께 작업장 외부에서의 노동자 개개인의 삶의 변화를 나누어 살펴본다. 노동조합을 통한 삶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통해 이 연구는 노동조합에 대한 대중적 인식을 제고 하고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