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에 관한 인식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5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복지시설은 국민에게 전문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복지시설 조직의 효율적인 운영과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 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이행의무를 가진다. 이에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사회복지시설의 책임성 검증을 위해 사회복지시설 평가가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가 제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기준의 타당성문제와 평가과정상의 객관성의 결여,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위한 정보제공의 한계,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보다는 서비스의 실적에 치우친 평가, 평가활동의 결과에 중점을 둔채 평가이후 결과의 활용에 대해 무관심, 정성적 평가의 미흡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 실시되고 있는 사회복시시설 평가제도의 실효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인 제도적 요인, 운영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및 평가활용정도에 관련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집단은 전국 33개 종합사회복지관(전국의 12%)에 근무하는 실무자인 사회복지사들이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설문조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에 관해 전반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으며, 단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특성 중에서 학력수준이 낮을수록(전문대졸 이하), 또한 직급이 사회복지사인 경우가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에서 다소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점에 있어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설계에 있어 좀 더 현장성과 적실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인식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구조화한 평가의 제도적인 측면의 인식, 평가기간과 지원예산, 운영적 요인, 환경적인 요인 및 평가정보활용 정도의 변수들이 전반적인 평가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중회귀분석에서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인식에 중요한 변수로 평가기간 및 지원예산(β=.413), 평가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인식(β=.219), 평가활용의 정도(β=.149), 평가의 제도적 측면에 대한 인식(β=.097) 순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사회복지시설은 국민에게 전문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복지시설 조직의 효율적인 운영과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 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이행의무를 가진다. 이에 우리나라는 1999...

      사회복지시설은 국민에게 전문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복지시설 조직의 효율적인 운영과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 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이행의무를 가진다. 이에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사회복지시설의 책임성 검증을 위해 사회복지시설 평가가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가 제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기준의 타당성문제와 평가과정상의 객관성의 결여,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위한 정보제공의 한계,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보다는 서비스의 실적에 치우친 평가, 평가활동의 결과에 중점을 둔채 평가이후 결과의 활용에 대해 무관심, 정성적 평가의 미흡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 실시되고 있는 사회복시시설 평가제도의 실효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인 제도적 요인, 운영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및 평가활용정도에 관련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집단은 전국 33개 종합사회복지관(전국의 12%)에 근무하는 실무자인 사회복지사들이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설문조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에 관해 전반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으며, 단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특성 중에서 학력수준이 낮을수록(전문대졸 이하), 또한 직급이 사회복지사인 경우가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에서 다소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점에 있어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설계에 있어 좀 더 현장성과 적실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인식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구조화한 평가의 제도적인 측면의 인식, 평가기간과 지원예산, 운영적 요인, 환경적인 요인 및 평가정보활용 정도의 변수들이 전반적인 평가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중회귀분석에서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인식에 중요한 변수로 평가기간 및 지원예산(β=.413), 평가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인식(β=.219), 평가활용의 정도(β=.149), 평가의 제도적 측면에 대한 인식(β=.097) 순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조사설계
      • Ⅳ. 분석결과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조사설계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홍기, "한국과 일본의 사회복지시설평가 특성 비교 연구- OECD 공공관리 평가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81-411, 2009

      2 최홍기, "한국과 일본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체계 비교연구: 3단계 모니터링 평가체계의 모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현구, "중앙행정기관 주요정책과제평가와 분석적 논고" 한국정책학회 12 (12): 291-315, 2003

      4 임성옥, "중앙정부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에 대한 비판적 분석:메타평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9 (9): 9-296, 2003

      5 김준현, "조정성과지표모형을 통한 복지기관 성과 평가 - 지역자활센터 성과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8 (18): 219-247, 2009

      6 김옥희, "일본노인복지시설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3) : 333-358, 2006

      7 김형모, "인증제 도입 검토 및 평가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99-152, 2010

      8 김효신, "유료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수준 및 관련요인 - 시설종사자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4) : 373-392, 2009

      9 이번송, "서울시 사회복지서비스의 평가모형 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10 정기원, "사회복지평가제도의 개선을 위한 인증제도의 도입방안의 모색" 4 : 61-87, 2001

      1 최홍기, "한국과 일본의 사회복지시설평가 특성 비교 연구- OECD 공공관리 평가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81-411, 2009

      2 최홍기, "한국과 일본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체계 비교연구: 3단계 모니터링 평가체계의 모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현구, "중앙행정기관 주요정책과제평가와 분석적 논고" 한국정책학회 12 (12): 291-315, 2003

      4 임성옥, "중앙정부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에 대한 비판적 분석:메타평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9 (9): 9-296, 2003

      5 김준현, "조정성과지표모형을 통한 복지기관 성과 평가 - 지역자활센터 성과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8 (18): 219-247, 2009

      6 김옥희, "일본노인복지시설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3) : 333-358, 2006

      7 김형모, "인증제 도입 검토 및 평가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99-152, 2010

      8 김효신, "유료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수준 및 관련요인 - 시설종사자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4) : 373-392, 2009

      9 이번송, "서울시 사회복지서비스의 평가모형 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10 정기원, "사회복지평가제도의 개선을 위한 인증제도의 도입방안의 모색" 4 : 61-87, 2001

      11 최재성, "사회복지평가의 진단과 정책과제" 3-28, 2000

      12 이선우, "사회복지시설평가의 현실과 개선방안:장애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5) : 135-156, 2002

      13 최 균, "사회복지시설 평가전담기구 설치방안" 한국사회복지협의회 63-97, 2010

      14 손광훈, "사회복지시설 평가결과 활용방안" 한국사회복지협의회 39-61, 2010

      15 오충순, "사회복지시설 유형별 최소기준안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7-37, 2010

      16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안내"

      17 강철희, "사회복지서비스 기기관의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의 질 산출(qualrity output)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49 : 343-378, 2002

      18 최재성, "사회복지관 평가모델개발의 방향과 과제: 장애인복지관 운영평가프로그램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5 : 265-290, 1998

      19 황성철, "사회복지관 운영평가 및 모형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20 김찬우, "노인장기요양제도 1년 평가와 서울시・경기도의 역할" 10 (10): 37-51, 2009

      21 김선중, "노인복지법 시설기준에 따른 울산시 노인의료복지시설 평가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103-117, 2006

      22 김명수, "공공정책평가론" 박영사 2003

      23 Masterson, D., "What business are use it?, In The AMA handbook of marketing for the service industries"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1991

      24 Au, Choi-fai, "Rethink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tu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0 (20): 1-21, 1996

      25 Chelimsky, E., "Program Evaluation: Patterns and Directions" American Society for Public Administration 1985

      26 Castrol, N. 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taff turnover in nursing homes" 46 : 62-73, 2006

      27 보건복지부, "2009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28 변재관, "2000년 사회복지시설 평가 I・II"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부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행정학회 -> 한국공공관리학회
      영문명 : Chung-Ang Academy Of Public Administr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3 1.25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