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벼 누른오갈병(Downey mildew of rice plant, Sclerophthora macrospora(Sacc.) Thirum., Shaw&Naras) = The Occurrence of Downey Mildew of Ric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30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벼 누른 오갈병은 Saccardo(1890)dp 의하여 최초로 Alopecurus sp.에서 분리 기록되었으며 Yamada(1911)에 의하여 수도에 병원성이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Sporangial stage가 Scerospora보다는 Phytophthora에 가깝...

      벼 누른 오갈병은 Saccardo(1890)dp 의하여 최초로 Alopecurus sp.에서 분리 기록되었으며 Yamada(1911)에 의하여 수도에 병원성이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Sporangial stage가 Scerospora보다는 Phytophthora에 가깝기 때문에 Phytophthora oryzae 또는 Phytophthora macrospora Sacc.로 명명되었으며 현재 Sclerophthora macrospora Sacc.라고도 불리워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27년에 발간된 조선작물병해목록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1862년 향문사에서 발간된 식물병리학과 부민문화사의 식물병해충명감에 벼 누른 오갈병으로 수록되어 있다. 그 후 한국식물보호학회에서 오갈병으로 수록되어있다. 그후 한국식물보호학회에서 발간한 한국식물병해충잡초명감에도 벼 누른오갈병으로 되어 있다. 본병은 1965년 이전에는 거의 발병이 없었다. 1966년 7월 김포평야에서 이병주가 발견된 이래 전국 각 지방에1971년 대전에서 처음 통일품종에 발병되었고 일반품종에는 거의 발병이 없었으며 주로 통일푸장에 발병이 되어왔다. 특히 1974년에는 통일재배단지에서는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본 병은 병징이 바이러스와 흡사하여 1966년에는 신바이러스로 알고 계속 동정한 결과 1973년 병원균을 확인함으로서 재확인되었으므로 보고하는 바이다. 본 병은 저위지인 습답에 많이 발생하며 묘형본답에서 발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wney mildew was scarcely observed in the field until 1965. Now that downey mildew was found around Gimpo are3, Gyungi Province in 1966, the disease was found sporadically every where through the country. Since the disease was found on the recommende...

      Downey mildew was scarcely observed in the field until 1965. Now that downey mildew was found around Gimpo are3, Gyungi Province in 1966, the disease was found sporadically every where through the country. Since the disease was found on the recommended variety, Tongil, in 1971, it has been estabilished to be serious disease on Tongil, especially this year,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