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한글 필사본 [뎡니의궤(整理儀軌)] 서체의 특징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0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yeongni-uigwe, a Korean manuscript, is written about ‘Hyun-Yoong-Won Won-Haeng’ and ‘Hwa-Sung-Sung-Yuk’; these people are the key figures that represent the cultural politics during period of Jung-Cho dynasty. The eastern language school library in Franceownsonlytwelvebooks(volume29~36,40,46~48) amongtotalforty-eightbooks.
      This study is held currently based on Dyeongni-uigwe, which is the nationally certified official documentary. It is transcribed in Hangul that is used during Joseon Dynasty, and it is legally transcribed in Goong-Chae, which was created during a very advanced period. The whol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oong-Chae’s principle of conception and standardized Goong-Chae’s model based on the analyzed font’s shaping element.
      Dyeongni-uigwe, plasticly described feature of font, i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separ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it deals with the chronologic order of letters inside the sentence or movement of writing technique of the dot stroke. Hence, the volumes that describe the characteristic of font well became the main books to be analyzed in comparison between each other. Those books are following: volume 29, 33, 35, 37 and the written rite, Dyeongni-uigwe, which is transcribed by the narrating court lady f
      번역하기

      Dyeongni-uigwe, a Korean manuscript, is written about ‘Hyun-Yoong-Won Won-Haeng’ and ‘Hwa-Sung-Sung-Yuk’; these people are the key figures that represent the cultural politics during period of Jung-Cho dynasty. The eastern language school libr...

      Dyeongni-uigwe, a Korean manuscript, is written about ‘Hyun-Yoong-Won Won-Haeng’ and ‘Hwa-Sung-Sung-Yuk’; these people are the key figures that represent the cultural politics during period of Jung-Cho dynasty. The eastern language school library in Franceownsonlytwelvebooks(volume29~36,40,46~48) amongtotalforty-eightbooks.
      This study is held currently based on Dyeongni-uigwe, which is the nationally certified official documentary. It is transcribed in Hangul that is used during Joseon Dynasty, and it is legally transcribed in Goong-Chae, which was created during a very advanced period. The whol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oong-Chae’s principle of conception and standardized Goong-Chae’s model based on the analyzed font’s shaping element.
      Dyeongni-uigwe, plasticly described feature of font, i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separ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it deals with the chronologic order of letters inside the sentence or movement of writing technique of the dot stroke. Hence, the volumes that describe the characteristic of font well became the main books to be analyzed in comparison between each other. Those books are following: volume 29, 33, 35, 37 and the written rite, Dyeongni-uigwe, which is transcribed by the narrating court lady 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뎡니의궤는 정조시대의 문화정치를 대표하는 ‘顯隆圓園行’과 ‘華城城役’에 관한 내용을 날짜순으로 기록한 한글 필사본이다. 이는 전체 48책 중에서 현재 12책(권29~36, 40, 46~48)이 프랑스 동양어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조선시대 한글로 필사된 국가 공식 기록물로서는 가장 이른 시기의 궁체로 精寫된 뎡니의궤를 중심으로 서체의 조형요소를 분석 검토하여 궁체의 개념정의와 정형화한 궁체의 典型 등을 제시하고, 뎡니의궤의 한글서예사적 위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뎡니의궤 서체의 조형적 특징을 문장의 배자 및 배열과 용필에서의 점획의 움직임을 子·母音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12책의 뎡니의궤 가운데 서체의 특징이 돋보이는 권29, 33, 35, 47과 함께 憲宗代 서사궁녀에 의해 필사된 의례서 뎡미가례시일긔 서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정조대의 사관에 의해 필사된 뎡니의궤와 헌종대 서사궁녀에 의해 필사된 뎡미가례시일긔 서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궁중의례에 쓰인 궁체는 자음의 형태는 이미 正祖代에 완성을 보았으며, 憲宗代로 오면서 모음 세로획이 짧아지면서 圓形의 형태를 이루는 조형 체계에 예술적 미감을 발휘하였다.
      번역하기

      뎡니의궤는 정조시대의 문화정치를 대표하는 ‘顯隆圓園行’과 ‘華城城役’에 관한 내용을 날짜순으로 기록한 한글 필사본이다. 이는 전체 48책 중에서 현재 12책(권29~36, 40, 46~48)이 프...

      뎡니의궤는 정조시대의 문화정치를 대표하는 ‘顯隆圓園行’과 ‘華城城役’에 관한 내용을 날짜순으로 기록한 한글 필사본이다. 이는 전체 48책 중에서 현재 12책(권29~36, 40, 46~48)이 프랑스 동양어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조선시대 한글로 필사된 국가 공식 기록물로서는 가장 이른 시기의 궁체로 精寫된 뎡니의궤를 중심으로 서체의 조형요소를 분석 검토하여 궁체의 개념정의와 정형화한 궁체의 典型 등을 제시하고, 뎡니의궤의 한글서예사적 위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뎡니의궤 서체의 조형적 특징을 문장의 배자 및 배열과 용필에서의 점획의 움직임을 子·母音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12책의 뎡니의궤 가운데 서체의 특징이 돋보이는 권29, 33, 35, 47과 함께 憲宗代 서사궁녀에 의해 필사된 의례서 뎡미가례시일긔 서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정조대의 사관에 의해 필사된 뎡니의궤와 헌종대 서사궁녀에 의해 필사된 뎡미가례시일긔 서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궁중의례에 쓰인 궁체는 자음의 형태는 이미 正祖代에 완성을 보았으며, 憲宗代로 오면서 모음 세로획이 짧아지면서 圓形의 형태를 이루는 조형 체계에 예술적 미감을 발휘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