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저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역사 속의 치과의료를 고찰한다. 치과의사의 전문직화, 의사와 치과의사의 관계, 르네상스와 의료의 발전, 세균설과 생의학 모형, 산업화 과정과 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1425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저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역사 속의 치과의료를 고찰한다. 치과의사의 전문직화, 의사와 치과의사의 관계, 르네상스와 의료의 발전, 세균설과 생의학 모형, 산업화 과정과 치...
본 저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역사 속의 치과의료를 고찰한다. 치과의사의 전문직화, 의사와 치과의사의 관계, 르네상스와 의료의 발전, 세균설과 생의학 모형, 산업화 과정과 치과의료 및 건강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역사적 맥락에서 검토한다.
❍ 둘째, 철학 속의 치과의료를 고찰한다. 생명철학과 질병모형, 우식증 발생론, 질병발생원인론 등을 과학철학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사회복지와 구강보건의료 등을 역사철학적 관점에서 평가한다.
❍ 셋째, 사회 속의 치과의료를 고찰한다. 전쟁과 구강건강, 우식증(충치)의 예방제인 불소의 발견, 사회문화적 전통과 구강건강, 미국의 공중구강보건사업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평가한다
❍ 넷째, 대중 속의 치과의료를 고찰한다. 임상치의학의 정립, 치약과 잇솔, 타액과 건강, 미래의 구강보건의료의 전망, 한국구강보건의료를 대중적 관점에서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