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23年 共産國際對華奇生政策之形成 = An Parasitism policy of Comintern on the China in 192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582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콤민태른」이 中國에서의 寄生政策을 전개한 것은, 「콤미태른」의 당시 戰略一般論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콤민태른」의 제3차 집행위원회의 결의에 근거한 「大衆에로」(To the Ma...

      「콤민태른」이 中國에서의 寄生政策을 전개한 것은, 「콤미태른」의 당시 戰略一般論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콤민태른」의 제3차 집행위원회의 결의에 근거한 「大衆에로」(To the Mass)의 구호가 그 함축된 意義를 잘 나타내어 준다고 할 수 있다. 거기에서 파생된 戰略的 표현이 이른바 「東方迂廻論」이라고 하겠다. 이는 Lenin에 의해 주장된 사실이지만, 보다 구체적인 戰略은 Stalin에 의해 수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戰略의 수립과정을 보면, 「콤민태른」의 中國政策은 그 성립 초기부터라고 하겠다. 이는 1918년에 발표된 Stalin의 「Don't forget East」란 論文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즉, 그는 同論文을 통하여 「단 1분동안이라도 東方을 잊을 수 없다. 왜냐하면, 東方은 世界帝國主義가 完全히 占領할 수 없는 後備力量으로 가장 믿을만한 後方이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이는 곧, 「콤민태른」의 「東方에 대한 관심」으로 평가되어 온 사실이다.
      특히 이것은 西勢의 東漸化 현상과 日本帝國主義의 「東洋化」政策에 대한 별개의 문제로 볼 수 있다는 데에 留意해야 될 것이다. 물론, 당시 中國은 西勢의 거센 침략적 파도에 핥키운 상처도 컸거니와 日本의 帝國主義政策이 겨냥하는 크다란 표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콤민태른」의 世界戰略에 종속되는 객관적 상황으로 意味될 뿐이며, 반드시 그 같은 상황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戰略的 필연성을 말할 수는 없다.
      다만 그러한 條件이 객관적으로 성립됨으로써 「콤민태른」의 戰略的 우선순위를 결정함에 미친 바 영향은 적지 않다고 보겠다. 말하자면, 당시 「콤민태른」은 「유럽」을 공격하기에는 때 이른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戰略의 우선목표를 東方에 두었고, 그 중에서도 中樞的 존재인 中國에 두게 된 것이다. 여기에 그들이 제시할 수 있는 戰略의 조건이 民族主義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궁극적 목표는 民族의 분열과 民族主義의 여 부정이지만,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그들의 民族主義를 부정하지 않으려고 했다.
      특히 이러한 民族主義에 대한 戰略的 變容은 곧 第一次國共合作(Kuo-ming-Connunist Collaboration)으로 구체화 된 셈이다. 그래서 그들은 이를 통하여 표면상 民族主義의 자각을 일깨웠고, 나아가 中國에 대한 「中華」的 歸屬意識을 고무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抵抗民族運動을 反政府運動으로 正當化시키려고 한 것이다. 中共의 初期 革命過程이 그러한 형태의 典型으로 이른바 「人民民主主義革命」이 된 것은, 이런 뜻에서 우연한 것이 못된다고 하겠다.
      물론 당시 孫文의 입장으로는 反中華的 異質 理念과의 갈등을 극복하고, 통일된 「中華」로서의 國民黨政府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그를 추진할 수 있는 理念이 「三民主義」라고 했다. 그러나 「볼쉐비끼」革命을 起點으로 한 Marxism의 물결은 이른바 新思潮로 표현된 激浪을 일으킴으로써 결국 反革命이 反民族으로 통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서 「콤민태른」의 一國社會主義論은 Marx의 國際主義的 보편성을 띠고 正當視 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콤민태른」의 寄生政策은 엄격히 소련의 國家戰略에 종속되고 있다. 이는 Louis Fischer의 「The Soviet in World affairs에서도 밝혀지고 있거니와, David J. Dallin의 「蘇俄俄侵略遠東史」에서 한층 명백히 드러나고 있다. 즉, 「계급간의 共同利益이란 그 자체가 모스크바의 利益인 것이다」라는 그의 주장은 근거있는 말이다. 그래서 中共黨은 「콤민태른」의 한 支部로 만족하여 中國內의 온갖 民族利益을 헤치면서 「모스크바」의 指示에 충실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소련은 이를 보장 받기 위하여 많은 콤민태른」의 代表들을 번갈아 中國에 파견하여 國民黨政府를 현혹시키는 것으로 일관한 사실이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