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학과 인문학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법과 문학 운동’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51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즈음 인문학의 위기가 이야기 되고 있다. 인간의 삶의 근본문제들을 탐구하던 인문학이 실용학문에 밀려 초라해 지고 있다. 이 논문은 법학에서 인문학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생겨났던 ‘법과 문학 운동’을 탐구한다. 이 운동은 법실증주의로 대변되는 자연과학방법론과 법경제학으로 대변되는 사회과학방법론에 매몰당할 처지에 있는 법학을 철학적 해석학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을 빌려 인문학적인 전통을 되살리려는 것이다. 법인문학은 고유한 인문학이 인간의 삶을 바라보는 창으로 내세우는 자유정신을 되살리면서,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언어학과 텍스트 해석의 문제의식을 법학과 연결시켜서, 법의 규범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법해석의 자율성과 법관계자들의 책임의식을 고양시킨다.
      법과 문학은 각각의 독자적인 기능과 방법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인간에게 고유한 자유와 정의문제는 법과 문학의 영원한 과제에 해당된다.
      번역하기

      요즈음 인문학의 위기가 이야기 되고 있다. 인간의 삶의 근본문제들을 탐구하던 인문학이 실용학문에 밀려 초라해 지고 있다. 이 논문은 법학에서 인문학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으로 미국을...

      요즈음 인문학의 위기가 이야기 되고 있다. 인간의 삶의 근본문제들을 탐구하던 인문학이 실용학문에 밀려 초라해 지고 있다. 이 논문은 법학에서 인문학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생겨났던 ‘법과 문학 운동’을 탐구한다. 이 운동은 법실증주의로 대변되는 자연과학방법론과 법경제학으로 대변되는 사회과학방법론에 매몰당할 처지에 있는 법학을 철학적 해석학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을 빌려 인문학적인 전통을 되살리려는 것이다. 법인문학은 고유한 인문학이 인간의 삶을 바라보는 창으로 내세우는 자유정신을 되살리면서,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언어학과 텍스트 해석의 문제의식을 법학과 연결시켜서, 법의 규범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법해석의 자율성과 법관계자들의 책임의식을 고양시킨다.
      법과 문학은 각각의 독자적인 기능과 방법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인간에게 고유한 자유와 정의문제는 법과 문학의 영원한 과제에 해당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1960, when H. -G. Gadamer published ‘Truth and Methode’, hermeneutics has been criticized and taken in different directions, These developments have implications for legal interpretation, and the current task is to spell them out. All text, including literary ones, came within the purview of hermeneutic threorist.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and increasingly within the last forty years, literary studies as a discipline has devoted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problematics of interpretive theory. Almost all aspects of a legal system involve recourse to written documents, ranging from the wills of discrete, individuals to constitution of a modern nation-state. What all such legal events do have in common is the necessity of interpretation. of giving meaning to the black ink on the white page.
      Hermeneutical mediation surely must do its work, linking past and present understandings without granting sovereign mastery to “original intent”: such privileging would stylize the Constitution and the statute into an abstract document removed from the labor of interpretive praxis.
      One purpose of legal hermeneutics is to situate contemporary debates on legal interpretation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interpretation in general. To see the problem of reading the law in terms of law's history, the linguistic constitution of law.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way law is read and understood is to set legal interpretation squarely within the humanist tradition.
      The text at once creates and constrains a liberty in its reader. and doing so defines for the reader a particular kind of responsibility. It is in that combination-liberty, constraint, and responsibility. for the reader and marker of texts-that the ethical and intellectual heart of the law can be found.
      Interaction between law and literary theory will forster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and a deeper exploration of the issues and stakes involved in contemporary theories of reading cultural texts, whether legal or literary.
      번역하기

      Since 1960, when H. -G. Gadamer published ‘Truth and Methode’, hermeneutics has been criticized and taken in different directions, These developments have implications for legal interpretation, and the current task is to spell them out. All text, ...

      Since 1960, when H. -G. Gadamer published ‘Truth and Methode’, hermeneutics has been criticized and taken in different directions, These developments have implications for legal interpretation, and the current task is to spell them out. All text, including literary ones, came within the purview of hermeneutic threorist.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and increasingly within the last forty years, literary studies as a discipline has devoted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problematics of interpretive theory. Almost all aspects of a legal system involve recourse to written documents, ranging from the wills of discrete, individuals to constitution of a modern nation-state. What all such legal events do have in common is the necessity of interpretation. of giving meaning to the black ink on the white page.
      Hermeneutical mediation surely must do its work, linking past and present understandings without granting sovereign mastery to “original intent”: such privileging would stylize the Constitution and the statute into an abstract document removed from the labor of interpretive praxis.
      One purpose of legal hermeneutics is to situate contemporary debates on legal interpretation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interpretation in general. To see the problem of reading the law in terms of law's history, the linguistic constitution of law.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way law is read and understood is to set legal interpretation squarely within the humanist tradition.
      The text at once creates and constrains a liberty in its reader. and doing so defines for the reader a particular kind of responsibility. It is in that combination-liberty, constraint, and responsibility. for the reader and marker of texts-that the ethical and intellectual heart of the law can be found.
      Interaction between law and literary theory will forster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and a deeper exploration of the issues and stakes involved in contemporary theories of reading cultural texts, whether legal or liter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면서 : 인문학의 위기
      • Ⅱ. 법과 문학 : 무엇이 문제인가?
      • Ⅲ. 법과 문학 운동 : 그 발단과 전개
      • Ⅳ.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면서 : 인문학의 위기
      • Ⅱ. 법과 문학 : 무엇이 문제인가?
      • Ⅲ. 법과 문학 운동 : 그 발단과 전개
      • Ⅳ.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Ⅴ. ‘법’과 ‘문학’에 대한 새로운 정의
      • Ⅵ. 해석의 문제
      • Ⅶ. 포스너 (R. A. Posner)의 ‘법과 문학 운동’에 대한 비판
      • Ⅷ.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인문학으로서의 법학: 체계적 사고와 문제 중심적 사고의 간격" 한국법철학회 9 (9): 2006

      2 ""인문정신으로서의 법 : 여성의 삶의 양식을 중심으로"" 한국법철학회 5 (5): 2002.

      3 ""법과 언어"" 한국법철학회 4 (4): 2001.

      4 ""법경제학의 기초"" 한국법철학회 7 (7): 2004.

      5 "현실주의로부터 비판법학까지 현상과 인식" 한국인문사회과학회 1987.

      6 "해석학과 문학비평 비판적 순환의 고찰" 문학과지성사 1988.

      7 "왜 ‘법과 문학’인가 시민과 변호사" 서울지방변호사회 1994.79.

      8 "영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현대법철학의 흐름" 법문사 1986.

      9 "법철학 1:법도덕힘" 법문사 1989.

      10 "법과 문학 사이" 까치출판사 1995.

      1 ""인문학으로서의 법학: 체계적 사고와 문제 중심적 사고의 간격" 한국법철학회 9 (9): 2006

      2 ""인문정신으로서의 법 : 여성의 삶의 양식을 중심으로"" 한국법철학회 5 (5): 2002.

      3 ""법과 언어"" 한국법철학회 4 (4): 2001.

      4 ""법경제학의 기초"" 한국법철학회 7 (7): 2004.

      5 "현실주의로부터 비판법학까지 현상과 인식" 한국인문사회과학회 1987.

      6 "해석학과 문학비평 비판적 순환의 고찰" 문학과지성사 1988.

      7 "왜 ‘법과 문학’인가 시민과 변호사" 서울지방변호사회 1994.79.

      8 "영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현대법철학의 흐름" 법문사 1986.

      9 "법철학 1:법도덕힘" 법문사 1989.

      10 "법과 문학 사이" 까치출판사 1995.

      11 "기호와 우리,우리의 기호" 민음사 1994.

      12 "Yale Journal of Law and the Humanities. vol. 1 No 1 Yale Journal of Law and the Humanities" 1988.

      13 "What can a lawyer learn from literature?" 102 : 1989.

      14 "Warheit und Methode:Grundz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J.C.B. Mohr 1986.

      1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16 "The Probrems of Jurisprud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17 "The Law of Text in the Texts of Law" 1991.

      18 "Refrections on the Law and Literature Revival" 1991.

      19 "Probrems with an uninvited Guest" 69 : 1989.

      20 "Law as Rhetoric Rhetiric as Law The arts of cultual and communal life The University of Chicago Law Review" -52, 1985.

      21 "Law and Literature:A Misunderstood Rel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9-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Law Review -> Law Review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Law Review -> Korean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法學硏究 -> 법학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2 1.08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