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해조, "지역학의 정체성과 패러다임 모색 Ⅱ" 지중해지역원 9 (9): 277-298, 2007
2 하병주, "지역학의 정체성과 패러다임 모색 I" 지중해지역원 9 (9): 249-276, 2007
3 한주성, "지역관련 학문의 맥락적 이해와 관계론적 접근방법" 한국지역지리학회 24 (24): 32-50, 2018
4 최경섭,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2부 ― 학문과 예술의 초월론적 근간으로서 ‘지역’과 철학의 근본문제들 ―" 한국철학회 (104) : 151-184, 2010
5 최경섭,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1부 ― 후설의 후기현상학에서 생활세계개념의 지역학적 개진 ―" 한국철학회 (103) : 99-128, 2010
6 이순예, "독어독문학 그리고 독일지역학 - 전망모색을 위한 하나의 사변" 한국독일어문학회 26 (26): 163-183, 2018
7 채오병, "냉전과 지역학— 미국의 헤게모니 프로젝트와 그 파열, 1945-1996" 한국사회사학회 (104) : 297-333, 2014
8 Adorno, Theodor W., "Ästhetische Theorie" Suhrkamp 1990
9 Apel Friedmar, "Goethe Saemtliche Werke, Briefe, Tagebücher und Gespräch. Bd. 2. Gedichte 1800-1832" 1988
10 Freidmar Apel, "Goethe Saemtliche Werke, Briefe, Tagebücher und Gespräch, Bd. 2" 380-, 1988
1 정해조, "지역학의 정체성과 패러다임 모색 Ⅱ" 지중해지역원 9 (9): 277-298, 2007
2 하병주, "지역학의 정체성과 패러다임 모색 I" 지중해지역원 9 (9): 249-276, 2007
3 한주성, "지역관련 학문의 맥락적 이해와 관계론적 접근방법" 한국지역지리학회 24 (24): 32-50, 2018
4 최경섭,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2부 ― 학문과 예술의 초월론적 근간으로서 ‘지역’과 철학의 근본문제들 ―" 한국철학회 (104) : 151-184, 2010
5 최경섭,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1부 ― 후설의 후기현상학에서 생활세계개념의 지역학적 개진 ―" 한국철학회 (103) : 99-128, 2010
6 이순예, "독어독문학 그리고 독일지역학 - 전망모색을 위한 하나의 사변" 한국독일어문학회 26 (26): 163-183, 2018
7 채오병, "냉전과 지역학— 미국의 헤게모니 프로젝트와 그 파열, 1945-1996" 한국사회사학회 (104) : 297-333, 2014
8 Adorno, Theodor W., "Ästhetische Theorie" Suhrkamp 1990
9 Apel Friedmar, "Goethe Saemtliche Werke, Briefe, Tagebücher und Gespräch. Bd. 2. Gedichte 1800-1832" 1988
10 Freidmar Apel, "Goethe Saemtliche Werke, Briefe, Tagebücher und Gespräch, Bd. 2" 380-, 1988
11 Kant, Immanuel, "Erste Einleitung in die Krritik der Urteilskraft" Meiner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