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도르노의 모더니티 비판과 타자로서의 여성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85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eminism today,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theories, ha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e of its own thinking, situated somewhere between a critique of modernity and postmodern destruction.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examines how Adorno’s critique of modernity is related to feminism.
      I initially analyze Adorno’s critique of modernity, i. e. his critiques of enlightenment and instrumental reason, before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feminine based on that critique. While his critique points out the male-centrism of modernity and identifies the feminine as its “other”, it does show an affinity for feminism. However, his ideas are limited by merely criticizing the patriarchal factors of modernity. Although it offers a starting point for the feminist critique of modernity, it is insufficient in creating a solution to overcoming patriarchal modernity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번역하기

      Feminism today,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theories, ha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e of its own thinking, situated somewhere between a critique of modernity and postmodern destruction.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examines how Adorno’s...

      Feminism today,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theories, ha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e of its own thinking, situated somewhere between a critique of modernity and postmodern destruction.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examines how Adorno’s critique of modernity is related to feminism.
      I initially analyze Adorno’s critique of modernity, i. e. his critiques of enlightenment and instrumental reason, before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feminine based on that critique. While his critique points out the male-centrism of modernity and identifies the feminine as its “other”, it does show an affinity for feminism. However, his ideas are limited by merely criticizing the patriarchal factors of modernity. Although it offers a starting point for the feminist critique of modernity, it is insufficient in creating a solution to overcoming patriarchal modernity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포스트모더니티와 여성주의에서 본 젠더와 정체성" 5 (5): 2005

      2 "이야기로 풀어내는 주체성" 29 : 115-145, 2006b

      3 "여성주의철학 입문"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6

      4 "아도르노의 모더니티 극복과 칸트의 유산" 16 (16): 270-283, 2006a

      5 "사이렌들과 오딧세우스 비동일적 자아에 대한 철학적 탐색" 76 : 289-314, 2003

      6 "사드의 철학과 성윤리" 서울: 인간사랑 1997

      7 "노성숙 ▶ 아도르노의 모더니티 비판과 타자로서의 여성성 169"

      8 "남성적 계몽의 해석학 : 아도르노의 여성 (문제) 이해" 74 : 63-85, 2006

      9 "근대적 자아와 다중심적 자아 철학연구회" 65 : 101-123, 2004

      10 "Werke in zehn Bnden" 1975

      1 "포스트모더니티와 여성주의에서 본 젠더와 정체성" 5 (5): 2005

      2 "이야기로 풀어내는 주체성" 29 : 115-145, 2006b

      3 "여성주의철학 입문"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6

      4 "아도르노의 모더니티 극복과 칸트의 유산" 16 (16): 270-283, 2006a

      5 "사이렌들과 오딧세우스 비동일적 자아에 대한 철학적 탐색" 76 : 289-314, 2003

      6 "사드의 철학과 성윤리" 서울: 인간사랑 1997

      7 "노성숙 ▶ 아도르노의 모더니티 비판과 타자로서의 여성성 169"

      8 "남성적 계몽의 해석학 : 아도르노의 여성 (문제) 이해" 74 : 63-85, 2006

      9 "근대적 자아와 다중심적 자아 철학연구회" 65 : 101-123, 2004

      10 "Werke in zehn Bnden" 1975

      11 "Werke in zehn Bnden" 1983

      12 Wolff, "The in visible fneuse women and the literature on modernity The Problems of Modernity" 1989

      13 "The Ridle of Feminity" SAGE Publications 141-160,

      14 Lloyd, "The Man of Reason. Male and Female in Western Philos-ophy" 1984

      15 "The Gender of Modern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6 R, "Frauen und Deklasierung. Geschlecht und Klase Klase Geschlecht. Feministische Gesellschaftsanalyse und Wisenschaftskritik" 1987pp.187~235.

      17 Knap, G.A, "Fragile Foundations, Strong Traditions, Situated Questioning: Critical Theory in German-speaking Feminism" London: SAGE Publications 119-140, 1999

      18 Nho, S, "Die Selbstkritik und Rettung der Aufklrung: Untersuchungen zum Begriff der Aufklrung in der Dialektik der Aufklrung von Adorno und Horkheimer" Frankfurt a. M.: Peter Lang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 Stud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간연구 창간호 -> 인간연구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0.85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