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스트모더니티와 여성주의에서 본 젠더와 정체성" 5 (5): 2005
2 "이야기로 풀어내는 주체성" 29 : 115-145, 2006b
3 "여성주의철학 입문"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6
4 "아도르노의 모더니티 극복과 칸트의 유산" 16 (16): 270-283, 2006a
5 "사이렌들과 오딧세우스 비동일적 자아에 대한 철학적 탐색" 76 : 289-314, 2003
6 "사드의 철학과 성윤리" 서울: 인간사랑 1997
7 "노성숙 ▶ 아도르노의 모더니티 비판과 타자로서의 여성성 169"
8 "남성적 계몽의 해석학 : 아도르노의 여성 (문제) 이해" 74 : 63-85, 2006
9 "근대적 자아와 다중심적 자아 철학연구회" 65 : 101-123, 2004
10 "Werke in zehn Bnden" 1975
1 "포스트모더니티와 여성주의에서 본 젠더와 정체성" 5 (5): 2005
2 "이야기로 풀어내는 주체성" 29 : 115-145, 2006b
3 "여성주의철학 입문"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6
4 "아도르노의 모더니티 극복과 칸트의 유산" 16 (16): 270-283, 2006a
5 "사이렌들과 오딧세우스 비동일적 자아에 대한 철학적 탐색" 76 : 289-314, 2003
6 "사드의 철학과 성윤리" 서울: 인간사랑 1997
7 "노성숙 ▶ 아도르노의 모더니티 비판과 타자로서의 여성성 169"
8 "남성적 계몽의 해석학 : 아도르노의 여성 (문제) 이해" 74 : 63-85, 2006
9 "근대적 자아와 다중심적 자아 철학연구회" 65 : 101-123, 2004
10 "Werke in zehn Bnden" 1975
11 "Werke in zehn Bnden" 1983
12 Wolff, "The in visible fneuse women and the literature on modernity The Problems of Modernity" 1989
13 "The Ridle of Feminity" SAGE Publications 141-160,
14 Lloyd, "The Man of Reason. Male and Female in Western Philos-ophy" 1984
15 "The Gender of Modern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6 R, "Frauen und Deklasierung. Geschlecht und Klase Klase Geschlecht. Feministische Gesellschaftsanalyse und Wisenschaftskritik" 1987pp.187~235.
17 Knap, G.A, "Fragile Foundations, Strong Traditions, Situated Questioning: Critical Theory in German-speaking Feminism" London: SAGE Publications 119-140, 1999
18 Nho, S, "Die Selbstkritik und Rettung der Aufklrung: Untersuchungen zum Begriff der Aufklrung in der Dialektik der Aufklrung von Adorno und Horkheimer" Frankfurt a. M.: Peter Lang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