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후기 소론학계의 지각론 형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8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iscern that a thinking frame composed among Soron scholars has induced Ho-Rak Debates by review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Perception Theory(知覺論), 2) and to review the effects of Yang-Ming Studies (Doctrines of Wang Yang Ming) by Hagok Jeong Jae‐du on the composition of Perception in Soron school. This report summarized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perception and intelligence of Min Yi‐seung who was the most important person in this research topic by reviewing Yangji -argument between Jeong Jae‐du and Min Yi‐seung, who belonged to Soron and studied Yang-Ming Studies, and perception- argument between Min Yi‐seung and Kim Chang‐hyup afterward. Min Yi‐seung experienced ideological transition on perception and intelligence through the argument with Jeong Je‐du and then entered perception- argument again with Kim Chang‐hyup based on the new awarenes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Ho-Rak Debates is not limited to the legacy of Noron but it was induced by sharing critical mind of Yang-Ming Studies which was rejected ostensibly.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iscern that a thinking frame composed among Soron scholars has induced Ho-Rak Debates by review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Perception Theory(知覺論), 2) and to review the effects of Yang-Ming Studies (Doctri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iscern that a thinking frame composed among Soron scholars has induced Ho-Rak Debates by review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Perception Theory(知覺論), 2) and to review the effects of Yang-Ming Studies (Doctrines of Wang Yang Ming) by Hagok Jeong Jae‐du on the composition of Perception in Soron school. This report summarized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perception and intelligence of Min Yi‐seung who was the most important person in this research topic by reviewing Yangji -argument between Jeong Jae‐du and Min Yi‐seung, who belonged to Soron and studied Yang-Ming Studies, and perception- argument between Min Yi‐seung and Kim Chang‐hyup afterward. Min Yi‐seung experienced ideological transition on perception and intelligence through the argument with Jeong Je‐du and then entered perception- argument again with Kim Chang‐hyup based on the new awarenes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Ho-Rak Debates is not limited to the legacy of Noron but it was induced by sharing critical mind of Yang-Ming Studies which was rejected ostensib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조선 후기소론학계의 知覺論 형성을 고찰함으로써 소론학계 내에서 형성된 일정한 사유틀이 호락논쟁을 촉발시켰음을 밝히고, 2)그 과정에서 소론학계의 知覺論 형성에 하곡 鄭齊斗의 양명학이 끼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보고서는 소론계이면서 양명학자였던 정제두와 민이승의 양지논쟁, 그리고 이후 민이승과 김창협의 지각 논쟁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 과제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인 민이승의 지각과 지성 개념의 변천과정을 정리한 내용에 해당한다. 민이승은 정제두와의 논변을 통해 지각과 지에 대한 사상적 전환을 겪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김창협과 지각논쟁을 벌였다. 이를 통해서 호락논쟁은 단지 노론계만의 지적 유산이 아니며 표면적으로는 이단으로 배척되었던 양명학의 문제의식을 공유함으로써 촉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1)조선 후기소론학계의 知覺論 형성을 고찰함으로써 소론학계 내에서 형성된 일정한 사유틀이 호락논쟁을 촉발시켰음을 밝히고, 2)그 과정에서 소론학계의 知覺論 형성에 ...

      본 연구의 목적은 1)조선 후기소론학계의 知覺論 형성을 고찰함으로써 소론학계 내에서 형성된 일정한 사유틀이 호락논쟁을 촉발시켰음을 밝히고, 2)그 과정에서 소론학계의 知覺論 형성에 하곡 鄭齊斗의 양명학이 끼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보고서는 소론계이면서 양명학자였던 정제두와 민이승의 양지논쟁, 그리고 이후 민이승과 김창협의 지각 논쟁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 과제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인 민이승의 지각과 지성 개념의 변천과정을 정리한 내용에 해당한다. 민이승은 정제두와의 논변을 통해 지각과 지에 대한 사상적 전환을 겪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김창협과 지각논쟁을 벌였다. 이를 통해서 호락논쟁은 단지 노론계만의 지적 유산이 아니며 표면적으로는 이단으로 배척되었던 양명학의 문제의식을 공유함으로써 촉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